[목차] == 외국어 == === phone, 목소리 === 본래 '[[목소리]]'를 뜻하는 그리스어 단어지만 1876년 [[전화기]]가 발명되면서 "멀리 있는 목소리",[* 한국에서 이를 직접 [[번역차용]]하여 '원어기'(遠語機)라는 말을 만든 적도 있다.] 즉 'telephone'이라는 단어가 생기고서는 전화의 준말로 쓰이는 경우가 많아졌다. 오늘날의 전화기가 발명된 1870년대 이전에 이미 1830년대에 쉬드레(Sudré)가 전화기 개념을 떠올려 téléphone(불어)이라는 단어를 만들었다고 한다. [[대한민국]]에서는 (일반 전화는 대개 그냥 '전화'라 하기에) 특히 [[휴대폰]]의 준말로 쓰인다. [[언어학]]에서는 원뜻대로 [[음성]](音聲)을 의미한다. 그래서 [[음성학]]은 phonetic/phonics, [[음소]]는 phoneme, [[음운론]]은 phonology로 모두 phone 어근을 공유한다. === phon === [[소리]]의 크고 작음을 나타내는 단위. === pawn, [[영어]] [[졸병]]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폰(체스))] [[졸병]], 앞잡이 등을 뜻하는 [[영어]]. 체스의 [[폰(체스)|폰]]이 유명하다. 동음이의어로 [[담보]]물을 뜻하기도 한다. pawn shop이라고 하면 [[전당포]]. 여담으로 발음이 [[포르노|porn]]과 거의 혹은 완전히 같다. 미국식 영어에서는 porn의 r 발음을 살려 발음하기 때문에([pɔrn]) pawn([pɔn])과 발음이 달라지지만, 영국식 영어에서는 porn을 [pɔːn]으로 발음하기 때문에 pawn과 같게 된다. === [[von]], [[독일어]] 칭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von)] === porn, [[포르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포르노)] == 은어 == === [[폰은정|폰]], 2018년 [[인터넷 유행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폰은정)] == 실존 인물 == === PawN, 前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허원석]]의 ID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허원석)] === [[PON]], [[BEMANI 시리즈의 아티스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PON)] Power Of Nature의 약자이다. 본명에서 따왔을 가능성이 높다. == 가상 인물 == === [[퐁(가정교사 히트맨 REBORN!)|펑]](風, フォン), [[가정교사 히트맨 REBORN!]]의 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퐁(가정교사 히트맨 REBORN!))] 원판 [[가타카나]]를 [[외래어 표기법/일본어|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한글로 전환하면 '폰'이다. 정발판 음차 표기는 '[[퐁]]'이나, [[風]]의 [[표준 중국어]] 발음에서 왔음을 감안해 [[한어병음]] fēng을 [[한글]]로 전환하면 '[[펑]]'이 맞다. === [[폰(세븐나이츠)|폰]], [[세븐나이츠]]의 등장 영웅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폰(세븐나이츠))] === [[폰(템빨)|폰]](Pon), 웹소설 [[템빨(소설)|템빨]]의 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폰(템빨))] == 작품 == === [[폰(영화)|폰]](Phone), 대한민국 공포 영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폰(영화))] [[분류:동음이의어]][[분류:영어 단어]][[분류:독일어 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