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static.comicvine.com/2878123-paul_dini_2012_writers_guild_awards_red_carpet_erhh7fgjecvl.jpg]] [목차] == 개요 == Paul Dini. [[DC 코믹스]] 소속의 만화 작가. 1957년생. == 생애 == 원래 분야는 [[TV판]] 애니메이션으로, 활동 초창기엔 [[필메이션]], [[해나-바베라]] 등지에서 시나리오 작가로 일했다가 1989년 [[워너 브라더스]]에 입사하여 [[트랜스포머]], [[타이니 툰]], [[덕 다저스]] 등의 스탭에서 일했다. 그 후 [[배트맨 TAS]] TV [[애니메이션]]에서 작가, 연출가, 편집가 등으로 일했으며 이것이 크게 호평을 받아 [[배트맨 비욘드]] 등 많은 수의 [[DC 코믹스]]가 배경이 된 애니메이션에 손을 댔다. 애니메이션 일로 [[에미상]]을 다섯 개나 땄다. 배트맨의 TV 애니메이션이 엄청난 대히트를 쳐서 만화 작가로 전형, 2006년에 [[배트맨]]의 월간 시리즈인 디텍티브 코믹스의 작가가 되었고, 이 역시 크게 인기를 끌어 2009년에는 배트맨: 스트리츠 오브 고덤과 배트맨: 고덤 시티 사이렌즈 등 두 개의 월간 작품으로 뻗어 나갔다. 자타가 공인하는 [[배트맨]] 전문가로, 이것저것 복잡한 설정 끌어들이지 않고 배트맨으로 심플하면서도 재미있는 스토리를 만드는 법을 아는 사람이다. 그가 디텍티브 코믹스를 맡았을 당시 배트맨의 다른 월간지인 배트맨은 [[그랜트 모리슨]]이 맡고 있었는데 대책없이 복잡해지고 다소 맛이 간(?)~~나는 약간 맛이간 사람이고...mc..~~ 설정을 등장시킨 모리슨의 스토리와 간단명료하면서도 단순한 만화적인 재미를 추구한 그의 스토리는 좋은 대비가 되었다. 2007년에 주간 시리즈 [[카운트다운]]의 수석 작가를 맡았으나 시리즈가 통째로 [[흑역사]]가 될 만큼 작품성에서나 흥행에서나 참패해서 역시 [[배트맨]]이 아니면 안 된다는 것이 확정됐다(...) [[배트맨]]에 한해서는 그가 만화에서 먼저 개발한 캐릭터나 설정이 코믹스 세계로 역수출(?)된 경우도 많은데, 현재 국내 팬들에게도 가장 많이 알려진 캐릭터 중 하나인 [[할리 퀸]] 역시 그가 만든 캐릭터다. 2009년에 나온 게임 [[배트맨: 아캄 어사일럼]] 역시 그가 집필한 작품. [[배트맨: 아캄 나이트]]의 스토리가 엉망이 된 것도 폴 디니가 빠져서 그렇게 되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다. [[마크 해밀]]이 개인적으로 폴 디니가 직접 집필한 작품및 대사들을 상당히 좋아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보통 마크 해밀하면 연상하는 게 [[루크 스카이워커]] 아니면 [[조커]]인 만큼(...)~~기껏 루크 스카이워커 이미지 떨쳐내나 싶었더니 조커 이미지가 따라 붙었다~~[* 단, 오해하지 말아야할 것은 [[스타워즈]] 프랜차이즈에 대한 마크 해밀의 애정은 엄청나다. 그리고 조커의 이미지는 성우로써의 이미지이고 배우로써의 이미지는 여전히 루크 스카이워커다.] 강연이나 TV쇼, 코미콘등의 이벤트에 참가하면 필연적으로 팬들과 사회자의 요청에 의해 즉석에서 조커연기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때마다 가장 자주 연기하는 대사가 바로 폴 디니의 작품에서 나왔던 대사들이다. 대표적인 예가 MAD LOVE에서의 아버지 회상 대사와 The Man Who Killed the Batman에서의 장례식 추모문 대사 등. 배트맨 TAS를 한참 제작하던 당시, 2인조 강도에게 폭행당해 [[두개골]] [[골절]]을 당하는 심한 부상을 입은 적이 있었다. 이 당시의 트라우마와 그 극복 과정을 2016년 <어두운 밤: 진짜 배트맨 이야기>라는 이름의 코믹스로 출간했다. [[버티고]] 라인으로 출판된 점을 감안해서인지 짧은 [[샌드맨]] 크로스오버가 등장한다. 이 작품에서 부상을 당한 폴 디니를 도와주는 친구 알린 소킨이 나오는데, 그녀가 바로 할리퀸의 모델이다. == 여담 == * 배트맨 이외에는 [[루니 툰]] 스핀오프인 [[덕 다저스]]의 프로듀서를 맡았다. 이 작품은 각각 4개의 애니상과 [[에미상]] 후보에 오르고 2005년 에미상을 받고[* 성우 조 알라스키의 목소리 연기 부문에서 수상.] 작품평도 좋았으나 정작 작품 인지도는 낮다. * [[스쿠비 두]] 시리즈 중 몇몇 작품에도 참여하기도 했다. 그가 참여한 작품은 아니지만 OVA Stage Fright에서는 [[후디니]]를 패러디한 마술사 '위대한 폴디니'가 등장하는데 실제 폴 디니의 아내가 마술사이며, 아내를 모델로 한 "마담 미라지"라는 캐릭터를 만들기도 했다. * [[슈퍼맨 TAS]]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큰 영향을 받았던 작품으로 [[플라이셔 스튜디오]]가 1941년에 제작한 [[슈퍼맨]] 시리얼 [[단편 애니메이션]] 시리즈를 언급했던 적이 있다. [[분류:미국의 각본가]][[분류:미국의 만화가]][[분류:미국의 만화 스토리 작가]][[분류:1957년 출생]][[분류:뉴욕 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