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9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50deg, #E52B2E 40%, #1a1a1a 40%, #E52B2E 55%, #1a1a1a 50%, #E52B2E 50%, #E52B2E 70%, #1a1a1a 70%, #E52B2E 75%, #1a1a1a 80%, #E52B2E 80%)" {{{#FDDA25 '''폴 반 힘스트의 감독직 및 기타 직책'''}}}}}} || || {{{#!folding ▼ ---- [include(틀: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gba(50%, 50%, 50%, 30%) 0%, transparent)" {{{+1 {{{#000000,#e5e5e5 ''' 벨기에의 축구감독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폴 반 힘스트.png|width=100%]]}}} || ||<-2> {{{#000000,#e5e5e5 ''' 이름 ''' }}} || {{{+1 '''폴 반 힘스트 [br] Paul van Himst'''}}} || ||<-2> {{{#000000,#e5e5e5 ''' 출생 ''' }}} ||[[1943년]] [[10월 2일]] ([age(1943-10-02)]세) / [br] {{{-1 [[벨기에]] 신트피터르스레이우브}}} || ||<-2> {{{#000000,#e5e5e5 ''' 국적 ''' }}} ||[include(틀:국기, 국명=벨기에)] || ||<-2> {{{#000000,#e5e5e5 ''' 신체 ''' }}} ||[[키(신체)|키]] 181cm || ||<-2> {{{#000000,#e5e5e5 ''' 직업 ''' }}} ||축구선수([[공격수]] / ^^은퇴^^)[br][[축구 감독]] || ||<|2> {{{#000000,#e5e5e5 ''' 소속 ''' }}} || {{{#000000,#e5e5e5 ''' 선수 ''' }}} ||''' [[RSC 안데를레흐트]] (1959~1975) ''' [br] RWD 몰렌베이크 (1975~1976) [br] KSV 에인드라흐트 알스트 (1976-1977) || || {{{#000000,#e5e5e5 ''' 감독 ''' }}} ||''' [[RSC 안데를레흐트]] (1983~1986) ''' [br] RWD 몰렌베이크 (1987-1988) [br] [[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 (1991-1996) || ||<-2> {{{#000000,#e5e5e5 ''' 국가대표 ''' }}} ||81경기 30골^^(1960-1974 / [[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벨기에]])^^ || [목차] [clearfix] == 개요 == [[벨기에]]의 축구선수 출신 감독으로 [[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벨기에]]와 [[RSC 안데를레흐트]] 역사상 가장 위대한 선수로 꼽히는 레전드이다. == 선수 경력 == === 클럽 경력 === 반 힘스트는 1959년에 [[RSC 안데를레흐트]]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하는데, 1962-63 시즌에 [[UEFA 챔피언스 리그|유러피언컵]]에서 [[레알 마드리드 CF|레알 마드리드]]를 잡아내는 이변을 연출하였다. [[벨기에 퍼스트 디비전 A|벨기에 주필러 리그]]의 절대 강자로 군림했던 안데를레흐트는 1963-64 시즌부터 1967-68 시즌까지 리그 5연패를 달성했으며, 반 힘스트는 그 와중에 3차례나 득점왕을 차지하였다. 1965-66 시즌 [[UEFA 챔피언스 리그|유러피언컵]]에서 [[레알 마드리드 CF|레알 마드리드]]에게 3:4로 아쉽게 패했고, 1966-67 시즌 유러피언컵 1라운드에서 핀란드의 하카를 상대로 반 힘스트는 1차전에서 무려 5골을 넣었고 10:1 대승을 이끌었고, 1, 2차전 합계 총 12:1로 압도적으로 승리하였다. 비록 [[요제프 마소푸스트]]가 이끌던 [[FK 두클라 프라하]]에게 패했으나 반 힘스트는 유러피언컵 득점왕을 차지한다.[* 벨기에 선수로서 유일한 [[UEFA 챔피언스 리그]] 득점왕이다.] 반 힘스트는 1975년까지 안데를흐트에서 457경기에 출전하여 233골을 득점한 그는 1975년 다른 브뤼셀 클럽인 RWD 몰렌베이크로 이적하였고, 한시즌 뒤 2부 리그의 KSC 에인드라흐트 알스트로 팀을 옮긴 후 은퇴하였다. === 국가대표 경력 === 반 힘스트는 1960년에 국가대표에 데뷔했는데, [[1960년대]]에는 반 힘스트의 활약에도 벨기에는 [[FIFA 월드컵|월드컵]]과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에 출전하지 못했다. 그러나 [[1970 FIFA 월드컵 멕시코|1970년 멕시코 월드컵]]에 출전하였고, [[엘살바도르 축구 국가대표팀|엘살바도르]]를 3:0으로 승리했지만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소련]]과 [[멕시코 축구 국가대표팀|멕시코]]에게 패해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조국에서 열렸던 [[UEFA 유로 1972]]에서는 예선에서 [[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포르투갈]], [[스코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스코틀랜드]]를 제치고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고, 반 힘스트는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를 상대로 결승골을 넣어 2:1로 승리하여 본선에 진출한다.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서독]]에게 2:1로 아쉽게 패했으나, 3·4위전에서 반 힘스트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헝가리]]를 상대로 결승골을 넣어 2:1로 격파 벨기에의 3위를 이끈다. 이후 1974년 반 힘스트는 국가대표에서 은퇴한다. == 플레이 스타일 == 반 힘스트는 플레이 메이킹과 드리블 등 공격수로서 뛰어난 모습을 보여주었다. == 지도자 경력 == 반 힘스트는 은퇴 후 감독이 되어 [[RSC 안데를레흐트]]를 지휘하기 시작하였다. 1982-83 시즌 팀을 [[UEFA 유로파 리그|UEFA컵]] 우승으로 이끌었고, 1987년 RWD 몰렌베이크를 한 시즌 동안 감독한 후, 1991년부터 [[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을 맡기 시작하였다. 특히 1994년 벨기에를 [[1994 FIFA 월드컵 미국|1994년 미국 월드컵]]에서 16강까지 진출시켰다. == 기록 == === 대회 기록 === ==== 선수 ==== * [[RSC 안데를레흐트]] (1959~1975) * [[벨기에 퍼스트 디비전 A|벨기에 퍼스트 디비전]]: 1961-62, 1963-64, 1964-65, 1965-66, 1966-67, 1967-68, 1971-72, 1973-74 * 벨기에 컵: 1965-66, 1971-72, 1972-73, 1974-75 * 벨기에 리그 컵: 1973, 1974 * 투르노이 드 파리: 1964, 1966 * 인터 시티 페어 컵 준우승: 1969-70 * [[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 *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 3위: 1972 ==== 감독 ==== * RSC 안데를레흐트 (1983~1986) * 벨기에 퍼스트 디비전: 1984-85 * 벨기에 슈퍼 컵: 1985 * [[UEFA컵]]: 1982-83, 준우승: 1983-84 * 줄스 파파에트 컵: 1985 === 개인 수상 === ==== 선수 ==== * [[발롱도르]] 4위: 1965, 5위: 1964 * 벨기에 골든 슈: 1960, 1961, 1965, 1974 * 벨기에 퍼스트 디비전 득점왕: 1963-64, 1965-66, 1967-68 * [[유러피언컵]] 득점왕: 1966-67[* 6골] * 인터 시티 페어 컵 득점왕: 1969-70[* 10골] * 벨기에 퍼스트 디비전 최우수 선수: 1970-71 * 벨기에 국민 스포츠 공로상: 1974 * 20세기 벨기에 축구 선수: 1995 * 플라티니 일레븐: 2003 * 최고의 골든 슈 팀: 2011 ==== 감독 ==== * 올해의 벨기에 감독: 1982-83 == 여담 == * [[1981년]] 영화 승리의 탈출에 출연하였다. [[2003년]] 벨기에 축구 협회의 추천으로 UEFA 주빌리 어워드를 수상하였다. [[2005년]]부터 [[벨기에]]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비정부 기구인 'Born In Africa'의 대사를 맡았다. * 요즘에도 [[RSC 안데를레흐트]]를 응원하기 위해 경기장을 찾는다고 한다.[[https://m.blog.naver.com/vanrooney/221596734388|#]] * 현역 시절 '하얀 [[펠레]]' 혹은 '유럽의 펠레'라 불렸다. 이후에도 [[토스탕]], [[지쿠]], [[카카]], [[웨인 루니]] 등 수많은 선수들에게 이 별명이 붙으면서 '하얀 펠레'라는 별명의 원조격 되는 인물이 되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1994 FIFA 월드컵 미국 참가 감독)] [각주] [[분류:1943년 출생]][[분류:벨기에의 축구선수]][[분류:벨기에의 축구감독]][[분류:공격수]][[분류:RSC 안데를레흐트/은퇴, 이적]][[분류:RWD 몰렌베이크/은퇴, 이적]][[분류:RSC 안데를레흐트/역대 감독]][[분류:RWD 몰렌베이크/역대 감독]][[분류: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분류:벨기에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1970 FIFA 월드컵 멕시코 참가 선수]][[분류:벨기에의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 참가 선수]][[분류:UEFA 유로 1972 참가 선수]][[분류:1994 FIFA 월드컵 미국 참가 감독]][[분류:UEFA 유로파 리그 우승 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