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벨라루스의 행정구역)] ||||<#CF101A><:>{{{#white {{{+3 폴라츠크 [br] По́лацк}}}}}}|| ||<-3><:> [include(틀:지도, 장소=По́лацк, Belarus)] || || {{{#white '''【언어별 명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hite [[벨라루스어]]}}} ||<#007D2C> {{{#white По́лацк}}} || || {{{#white [[러시아어]]}}} ||<#007D2C> {{{#white По́лоцк}}} || || {{{#white [[폴란드어]]}}} ||<#007D2C> {{{#white Połock}}} || || {{{#white [[리투아니아어]]}}} ||<#007D2C> {{{#white Polockas}}} ||}}}}}}}}} || [목차] [clearfix] == 개요 == [[벨라루스]] 비쳅스크주의 도시. == 역사 == 고대 동슬라브족의 거처로 862년 세워졌다. 중세 [[루스인]]의 국가 [[키예프 공국]]의 위성국이었던 [[폴로츠크 공국]]의 중심지였으며 1307년 [[리투아니아 대공국]]에 편입되었다. 1498년 마그데부르크 법에 따라 도시로 인정되었고 [[루블린 연합]]으로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이 탄생하면서 폴로츠크 주(Województwo połockie)의 주도가 되었다. 그러나 [[이반 4세]], [[알렉세이 미하일로비치]] 등 [[루스 차르국]] [[차르]]들의 공격을 연달아 받으며 황폐화되었고 1772년 제1차 [[폴란드 분할]]으로 [[러시아 제국]]에 속하게 되었다. [[예카테리나 2세]]가 [[교황]]의 [[예수회]] 탄압을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한동안은 [[예수회]]가 많이 들어왔다. [[나폴레옹 전쟁]] 당시 [[러시아 원정]]으로 [[프랑스군]]에 의한 피해를 입었고, 1820년 [[러시아 정교회]]의 압력을 받아 [[알렉산드르 1세]]도 예수회를 탄압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독일 제국군]], [[소비에트-폴란드 전쟁]] 중에는 [[폴란드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독일 국방군]]에게 점령당했다. == 인구와 사회 == 인구는 2022년 기준 약 79,000명. 80%가 [[벨라루스어]]를 사용하는 [[벨라루스인]], 14.75%가 [[러시아어]]를 사용하는 [[러시아인]], 1.86%가 [[우크라이나어]]를 사용하는 [[우크라이나인]]이다. 이곳 출신으로 가장 유명한 인물은 [[벨라루스/역사|벨라루스 역사]]에서 최초로 [[인쇄]]술을 활용한 프란시스크 스카리나(Францыск Скарына 1470~1552)이다. [[이스탄불]]의 [[아야 소피아]]와 같은 이름을 가진 성 소피아 성당(Полацкі Сафійскі сабор)이 유명하다. 1958년 이곳의 이름을 딴 신도시 [[나바폴라츠크]](Наваполацк)가 세워졌다. [[분류:벨라루스의 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