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F60> '''{{{#FFF {{{+1 폴라칸투스}}}[br]Polacanthu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Polacanthus_armour.jpg|width=100%]]}}} || ||<#F93> '''학명''' || ''' ''Polacanthus foxii'' '''[br]Owen vide Anonymous, 1865 || ||<-2><#F96>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000 '''계통군'''}}} ||[[석형류]]^^Sauropsid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조반목]]^^Ornithischia^^|| || '''아목''' ||†장순아목^^Thyreophora^^|| || '''하목''' ||†곡룡하목^^Ankylosauria^^||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노도사우루스과^^Nodosauridae^^|| || {{{#000 '''아과'''}}} ||†폴라칸투스아과^^Polacanthinae^^||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폴라칸투스속^^''Polacanthus''^^'''|| ||<-2><#F96>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 ||<-2><#FFF> * †폴라칸투스 폭시(''P. foxii'')^^{{{-1 [[모식종]]}}}^^||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Polacanthus_foxii.jpg|width=100%]] || || 복원도 || || [[파일:CRcHCmXWsAAnc8u.jpg|width=100%]] || || 골침 화석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생대]] [[백악기]] 전기에 살던 [[곡룡류]] [[공룡]]의 일종이다. 속명의 뜻은 '많은 가시'이며 화석은 [[영국]]에서 발견되었다. == 생태 == 길이는 5m, 무게는 2t 정도로 추정했다가,[* Paul, G.S., 2010,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229] 이후 길이 4m에 체중 227~454kg 정도로 추정치가 작아졌다.[* Holtz, Thomas R. Jr. (2012) Dinosaurs: The Most Complete, Up-to-Date Encyclopedia for Dinosaur Lovers of All Ages] 전신은 [[갑옷]]처럼 골판이 덮여있고 등에는 목에서부터 허리 부분까지 골침들이 2열로 돋아있다. 꼬리 부분으로 갈수록 이 골침의 크기는 작아진다. 엉덩이의 천골 부분에 하나로 융합된 판으로 된 커다란 피부 뼈가 있으며 이 천골 보호물은 혹 모양의 돌기들로 장식되어 있고 밑에 있는 뼈와는 붙어있지 않다. 이 구조는 골반 방패라고 하는데 이 골반 방패는 같은 폴라칸투스아과 소속인 [[가스토니아]]도 지니고 있었던 특징이다. 다른 곡룡류들과 마찬가지로 초식공룡이었으며, 낮은 키의 식물을 뜯어먹었다. 꼬리에 곤봉이 없는 전형적인 [[노도사우루스]]과의 모습을 가지고 있지만 계통학적 분류를 재검토한 결과, 다른 노도사우루스과에 비해 [[안킬로사우루스]]과와 좀 더 가깝다는 것이 밝혀졌다. 때문에 폴라칸투스는 [[가스토니아]]와 [[펠로로플리테스]] 등을 포함한 폴라칸투스아과(Polacanthinae)라는 독자적인 하위 분류군에 속해 있다. 화석은 [[영국]]의 런던 [[자연사박물관]]과 다이너소어 아일 박물관에 전시, 소장하고 있다. 웨섹스층(Wessex Formation)에서 발견된 폴라칸투스는 작은 악어류 베르니스사르티아(Bernissartia), 익룡 이스티오닥틸루스,(Istiodactylus), 우크테나닥틸루스(Uktenadactylus), 신조반류 [[힙실로포돈]], 조각류 [[이구아노돈]], 만텔리사우루스(Mantellisaurus), 곡룡류 벡티펠타(Vectipelta), 용각류 에우카메로투스(Eucamerotus), 오르니톱시스(Ornithopsis), 소형 수각류 칼라모사우루스(Calamosaurus), 칼라모스폰딜루스(Calamospondylus), 벡티랍토르(Vectiraptor) 등과 공존했고, 이들 외에 천적이 될 수 있는 공존했던 공룡으로는 [[에오티란누스]], [[네오베나토르]], [[케라토수콥스]], [[리파로베나토르]]가 있었다. == 등장 매체 == [[파일:external/www.dinosaurusi.com/Dinosaurus_-_Dinosaur_-_Dinosaurio_-_Dinosaure_-_Polacanthus002.jpg|width=500]] [[BBC]]의 [[다큐멘터리]]인 [[공룡대탐험]] 4번째 에피소드에서 유럽의 [[이구아노돈]] 및 북아메리카의 다코타돈[* 제작시점에서는 이구아노돈과 같은 속으로 여겨졌다.] 무리와 동행하는 모습으로 등장하는데, 풀을 뜯다가 무리에서 낙오되어 [[유타랍토르]]의 사냥감이 될 뻔했으나 위협적 몸짓으로 유타랍토르의 공격 의지를 꺾어버리는 모습을 보여준다.[* 다만 유타랍토르와 폴라칸투스가 한 장소에서 만나는 것은 오류인데, 유타랍토르는 북아메리카에서만 서식했고 둘의 생존 시기에도 약간의 차이가 있었기 때문이다.] [[분류:폴라칸투스아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