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푸른 뇌정 건볼트)]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건볼트 시리즈 2014년 연하 월페이퍼.jpg|width=100%]]}}} || [목차] == 개요 == 게임 회사 [[인티 크리에이츠]]에서 개발하는 2D 액션 게임 시리즈. 2014년에 시리즈의 첫 번째 작품인 [[푸른 뇌정 건볼트]]가 발매된 이후 '''인티 크리에이츠가 공인한 플래그십 시리즈'''로 자리를 잡았다. [[https://twitter.com/GunvoltOfficial|본래 건볼트 시리즈 전용이었던 트위터 페이지]]가 2018년 5월부터는 아예 인티 크리에이츠 일본 대표 페이지로 쓰일 정도. 북미판에서는 [ruby(푸른 뇌정, ruby=암드 블루)] 대신 '''Azure Striker'''라는 용어가 쓰이며, 그 밖에도 자잘하게 다른 구석이 많다. == 관련 인물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건볼트 시리즈 이외의 경력, rd1=인티 크리에이츠)] * 프로듀서 - '''아이즈 타쿠야'''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t_aizu, 크기=24)] * 본편 시리즈 디렉터 - '''츠다 요시히사''' * 익스 시리즈 디렉터 - '''타이 토시아키''' * 기획 및 시나리오 * 카게로우의 메모리아 - 일본어 원문 작성 * 사운드트랙 명명 * 일부 보스전 설계 ([[이오타(푸른 뇌정 건볼트)|이오타]], [[데이토나(푸른 뇌정 건볼트)|데이토나]], [[시덴(푸른 뇌정 건볼트)|시덴]], [[블레이드(익스 시리즈)/보스전#VS ???|EX 블레이드]]) * '''미야자와 히로키''' * [[푸른 뇌정 건볼트]] -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BZoceXEtsGkOmJgeIwnyEXh7CyU8lxyU|SS 랭크 지도 영상]] 녹화 * [[푸른 뇌정 건볼트 鎖環]] - 디렉터 * '''키지 나오야''' * [[푸른 뇌정 건볼트 鎖環]], [[Gunvolt Chronicles: Luminous Avenger iX 2|하얀 강철의 X 2]] - 플래너 * [[GUNVOLT RECORDS 사이크로니클]] - 디렉터 * '''[[이나후네 케이지]]''' (주식회사 comcept) * 본편 시리즈 총괄 프로듀서 * 본편 시리즈 액션 감수 * '''하타케야마 요시타카''' (프리랜서)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chingis_khanzo, 크기=24)] * 일러스트레이터 겸 캐릭터 디자이너 * '''아라키 무네히로''' * 아트 디렉터 겸 캐릭터 디자이너 * 세계관 감수, 배경 디자인, UI 디자인, 로고 디자인, MV 및 라이브용 의상 디자인 * [[푸른 뇌정 건볼트 鎖環]] - 일부 일러스트레이션 * '''이토 마사노리''' * [[시안(푸른 뇌정 건볼트)|시안]]의 원안 작성 * [[푸른 뇌정 건볼트 鎖環]] - 일부 일러스트레이션 (이벤트 CG) * '''나츠메 유지''' * [[푸른 뇌정 건볼트]] - 공식 [[라인(메신저)|라인]] 스티커 * [[마이티 건볼트 버스트]] - 일러스트레이션 * '''오기노 신''' * 건볼트 4컷 만화 시리즈 연재 * '''[ruby(황신, ruby=스메라기)] 전자 교향 악단''' * '''야마다 잇포'''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ippo_yamada, 크기=24)] 사운드 디자이너 겸 음반 프로듀서. * '''카와카미 료''' 사운드 디자이너. 개별 문서가 있는 보컬 트랙([[蒼の彼方]], [[藍の運命]], [[彼の記憶]], [[白銀の約束]], [[命題:>]])은 매번 카와카미 작곡. * '''[[Yamajet]]''' 편곡 담당. * '''[[https://twitter.com/udonfor|s-don]]''' * [[푸른 뇌정 건볼트 鎖環]] - 편곡 ([[모르포]]의 노래) * [[GUNVOLT RECORDS 사이크로니클]] - [[보면]] 제작 * '''IKKAN''' ([[http://www4.big.or.jp/~ikkan/|오피스★괴인사]] 대표)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ikkanikkan, 크기=24)] * 일본어판 트레일러 - 내레이션 * [[건볼트 정보국]] - MC * [[푸른 뇌정 건볼트 爪]] - '''블러드 서번트''' 담당 성우 * '''이시카와 치아이''' ([[https://shizuku.ocnk.net/|주식회사 천사의 shizuku]])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boutique_chiai, 크기=24)] * MV 및 라이브용 의상 제작 * '''Matt Papa''' (프리랜서)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MegaMattTV, 크기=24)] * [[푸른 뇌정 건볼트]] ~ [[푸른 뇌정 건볼트 鎖環]] - 영문 로컬라이징 감독 * 카게로우의 메모리아 - 영어 번역문 작성 * [[Gunvolt Chronicles: Luminous Avenger iX 2|하얀 강철의 X 2]] - 내레이션 == 다른 작품과의 연관성 == === [[록맨 시리즈]] === * [[https://game.watch.impress.co.jp/docs/news/638642.html|ROCK한 혼이 넘쳐흐르는 2D 횡스크롤 액션]] * [[https://www.excite.co.jp/news/article/Inside_135386/?p=2|'록맨 제로'의 혼은 죽지 않는다...]] 원래 제작자들은 시리즈의 기획 단계에서부터 '''록맨이 아닌 2D 액션'''을 지향했지만, 당장 제작사가 [[인티 크리에이츠]]인 영향도 있어서 록맨을 아는 외부인들 사이에서는 [[마이티 No. 9]]과 마찬가지로 '''[[록맨 시리즈]]의 [[정신적 후속작]]''' 정도로 여겨지고 있다. 2020년대에 접어들고도 관련 리뷰나 기사에서 록맨이라는 키워드가 종종 보일 정도. [[https://w.atwiki.jp/gcmatome/pages/5349.html|#]] [[https://rokumega.biz/gvnituite/|#]] [[https://detail.chiebukuro.yahoo.co.jp/qa/question_detail/q10256318205|#]] [[아마존재팬]]에 올라온 [[푸른 뇌정 건볼트 스트라이커 팩]]의 리뷰는 아예 주요 토픽부터 록맨이다. [[https://www.amazon.co.jp/dp/B072LQVXRS|3DS]] [[https://www.amazon.co.jp/dp/B01ESVEHF0|NS]] 마넘나가 [[록맨 클래식 시리즈]]의 정신을 이어받았다면 건볼트 시리즈는 인티 크리에이츠에서 제작한 [[록맨 제로 시리즈]]와 [[록맨 ZX 시리즈]]의 정신을 그대로 이어받고 있다. 특히 디스토피아스러운 설정과 스토리에 캐릭터 디자인, 그래픽, 플레이 방식, 시스템, 그리고 OST까지 모두 록제 시리즈의 느낌이 물씬 나는 편. 그리고 결정적으로 이 게임에 관여한 대다수의 개발진들이 록맨 시리즈에 참여한 경력이 있다.[* 액션 감수자인 [[이나후네 케이지]]는 한때 록맨 시리즈 전반의 프로듀서였으며, [[인티 크리에이츠]]는 록맨 제로와 ZX 시리즈를 직접 만든 회사인 데다가 창립 멤버들은 [[록맨 X2]]나 [[록맨 7]]의 제작에도 부분적으로 참여한 캡콤 출신 인원이다.] 횡스크롤 액션이라는 점에서 록맨 시리즈와 확실히 비슷하지만, 기존의 록맨 시리즈가 샷으로 적을 쓰러뜨리는 게임인 것과 달리 본 시리즈의 주인공인 [[건볼트]]는 샷을 보조적인 무장으로만 사용한다. 적에게 [[푸른 뇌정 건볼트 시리즈/피뢰침|피뢰침]]을 박은 뒤 뇌격을 흘려보내 쓰러뜨린다는 새로운 스타일이 특징. 그 외의 시스템이나 설정, 캐릭터 등 역시 록맨 시리즈와 비슷하면서도 다른 점이 엿보인다. 정작 나중에 플레이어블이 된 [[아큐라(푸른 뇌정 건볼트)|아큐라]]는 기동성은 눈에 띄게 강화됐지만 그 외의 부분에서는 눈에 띄게 [[록맨 X 시리즈]]를 의식한 캐릭터가 되었다. 그리고 록맨이 아닌 2D 액션을 만들겠다고 했으면서도 게임 곳곳에 '''매우 노골적인 패러디'''를 남겨둔 것도 특징. [[푸른 뇌정 건볼트 시리즈/패러디]] 문서 참고. === 그 외 === * 인티 크리에이츠의 또 다른 작품인 '''[[걸☆건 시리즈]]'''와 세계관을 공유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작품이다. 자세한 것은 [[걸 건 시리즈]] 혹은 [[노와(푸른 뇌정 건볼트)]] 문서 참고. * '''마이티 건볼트 시리즈'''는 [[마이티 No. 9]], [[걸☆건 시리즈]]와 건볼트 시리즈의 콜라보레이션에 해당한다. 2019년 기준으로 [[마이티 건볼트]]와 [[마이티 건볼트 버스트]] 두 작품이 출시되었으며, 걸☆건 시리즈와 달리 건볼트 시리즈 본편과 설정이 이어지지 않는 '''if 스토리'''를 다룬다. * [[푸른 뇌정 건볼트 爪]]에서는 [[록맨 시리즈]]의 영향을 크게 받은 인디 게임 [[셔블 나이트]]와 콜라보가 이루어져서, 셔블 나이트 [[amiibo]]를 사용하면 게임 내에서 셔블 나이트가 보스로 등장한다. [[셔블 나이트(푸른 뇌정 건볼트)]] 문서 참고. * 그 밖에 시리즈의 주인공인 [[건볼트]]가 다른 게임에서 종종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등장하고 있다. 해당되는 작품은 인티 크리에이츠가 개발한 [[블래스터 마스터 제로]], [[니칼리스]]가 출시한 [[블레이드 스트레인저스]]. || '''{{{#white 雷霆の武具 / Striker Gear}}}'''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뇌정의무구.jpg|width=100%]]}}} || * [[드래곤 마크드 포 데스]]의 초회 구매 특전인 '''뇌정의 무구'''는 건볼트 시리즈의 요소들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 전체 시리즈 일람 == === 게임 === * '''본편 시리즈''' * [[푸른 뇌정 건볼트]] * [[푸른 뇌정 건볼트 爪]] * [[푸른 뇌정 건볼트 鎖環]] * [[푸른 뇌정 건볼트 스트라이커 팩]] [[푸른 뇌정 건볼트|건볼트 1]]과 [[푸른 뇌정 건볼트 爪|건볼트 爪]]의 합본 패키지. 두 게임을 따로따로 구매할 수 없는 닌텐도 스위치나 플레이스테이션 4의 경우 이 소프트를 사야 한다. * '''익스 시리즈''' * [[Gunvolt Chronicles: Luminous Avenger iX|하얀 강철의 X THE OUT OF GUNVOLT]] * [[Gunvolt Chronicles: Luminous Avenger iX 2|하얀 강철의 X 2]] * '''마이티 건볼트 시리즈''' * [[마이티 건볼트]] * [[마이티 건볼트 버스트]] * '''기타''' * [[GUNVOLT RECORDS 사이크로니클]] === 그 외 === * '''소설''' * [[푸른 뇌정 건볼트 CUTOUT]] * [[인터액티브 웨이브|카게로우의 메모리아]] * '''드라마 CD''' * [[푸른 뇌정 건볼트 시리즈/사운드트랙]] 문서 참고. * '''애니메이션''' * [[푸른 뇌정 건볼트]] OVA * '''만화''' * 솟구쳐라!! 건볼트 [ruby(4컷 극장, ruby=카툰 시어터)] 전격 닌텐도에 연재된 4컷 만화 시리즈. 시궁창이 따로 없는 원작과 달리 대부분의 캐릭터가 망가지기를 반복하는 것이 특징. 망가지지 않는 캐릭터라고는 [[엘리제(푸른 뇌정 건볼트)|단 한번도 나오지 않은 인물]] 정도. == 입지 == [[마이티 No. 9]]이 '''게임 역사에 길이 남을 최악의 킥스타터 게임'''이라는 평가와 함께 나락으로 추락한 반면, 건볼트 시리즈는 스토리를 제외하면 게임성 면에서 매우 충실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보니 일각에서는 [[록맨 시리즈]]의 진정한 후계자로 진지하게 회자되기도 한다. 팬들의 반응은 "'''마넘나에게 묻히는 줄 알았더니 이제는 이게 제일 믿을 만하다.'''"라는 식. 다만 게임의 완성도와 판매량도 괜찮고 [[인티 크리에이츠]]의 푸시를 꾸준히 받고 있음에도 '''마이너 취급'''을 당하는 시리즈인데, 록맨 시리즈의 팬이 아닌 이상 시리즈의 존재 자체를 모르는 경우가 있다. 그 대신 남아 있는 골수 팬들의 충성도가 상당히 높은 편으로, 나무위키에 있는 문서만 해도 어지간한 메이저 게임 못지않게 방대하며 [[변태 아저씨|별것 아닌 단역 캐릭터]]조차 개인 문서가 있을 정도.[* [[마이티 No. 9]]도 문서가 나름 방대하지만 퀄리티에 대한 비판이 주를 이루며, [[벡(마이티 No. 9)|주인공]]과 [[콜(마이티 No. 9)|히로인]], [[마이티 No. 9/비판|비판]] 문서 외에는 하위 문서가 거의 없다. 그마저도 벡과 콜의 문서는 건볼트 시리즈와 비교가 안 될 정도로 매우 부실한 편.] 정신적 전작인 [[록맨 제로 시리즈]]가 일본보다 국내와 북미 쪽에서 더 강세였으니, 제로 시리즈의 팬들 대다수가 이쪽으로 유입되었다고 해도 이상할 것 없다. 이러한 시리즈의 특성상 일본이나 한국보다는 영어권 국가에 속하는 팬층의 비율이 더 높다. [[인티 크리에이츠]]의 유튜브 채널에서 대다수의 홍보 영상이 일본어판과 영어판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영어판이 일본어판과 비교해서 조회수 및 댓글 수가 비슷하거나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그 외에는 하드코어 게임플레이 영상이나 드라마 CD 및 설정 등이 세세하게 번역된 영상물이 간간이 올라오기도 한다. == 기타 == * 캐릭터 디자인과 설정이 팬들에게 상당한 호평을 받는 편으로, 관련 게시물마다 "캐릭터들이 굉장히 매력적이다."라는 반응을 종종 볼 수 있다. 2차 창작도 나오긴 하지만 게임 자체가 그렇게까지 메이저한 수준은 아니기에 록맨 시리즈의 향수에 젖었다거나 건볼트 시리즈만의 매력에 빠져서 팬이 된 경우를 제외하면 적은 편. 그와 관련된 양질의 2차 창작은 픽시브보다 트위터나 DeviantArt 같은 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 * '[[라이트 노벨]] 2D 액션'이라는 장르를 표방하는 만큼 [[A라고 쓰고 B라고 읽는다]]라는 식의 텍스트가 난무한다. 예를 들어 시리즈의 제목에도 들어가는 [ruby(푸른 뇌정, ruby=암드 블루)]의 경우 표기 자체는 '푸른 뇌정'이지만 '암드 블루'라고 읽는다. 영문판이나 한국어판은 표기보다 루비를 우선시하거나 아예 다른 용어를 만들지만, 후자의 경우 특이하게도 암드 블루를 푸른 뇌정으로 표기한다. 이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푸른 뇌정 건볼트 시리즈/스크립트]] 문서를 참고할 것. * [[중2병]] 요소가 굉장히 많다 보니 전반적으로 호불호가 크게 갈리는 시리즈이기도 하다. 게임성을 높이 평가하는 팬들조차 매우 오글거린다고 인정할 정도인데, 이런 요소에 내성이 없는 유저라면 당연히 진입장벽이 높을 수밖에 없다. 특히나 스페셜 스킬의 컷인에 삽입되는 영창문은 중2병 요소의 결정체로, 매번 이를 작성해온 '''타이 토시아키 본인마저도 읽기 괴롭다'''는 이유로 익스 1에서는 영어로 바꿔버렸다. [[https://www.youtube.com/watch?v=4dptHMCQKd0&t=1960s|#]] * 음악의 [[BPM]]을 150으로 통일하는 관례가 있다. [[푸른 뇌정 건볼트 爪]]와 [[Gunvolt Chronicles: Luminous Avenger iX|하얀 강철의 X THE OUT OF GUNVOLT]] 사운드트랙 동봉 소책자에서도 언급되는 부분. 참고로 이 점은 게임과는 완전히 별개로 공개된 [[푸른 뇌정 건볼트 시리즈/사운드트랙|BUTTERFLY LOG]]의 신곡들도 동일하다. * 처음에는 3부작을 염두에 두고 제작되었지만 개발이 진행되면서 점차 계획이 뒤틀어진 시리즈이다. [[푸른 뇌정 건볼트|시리즈 첫작]]이 나올 적에 아이즈가 츠다에게 '''3편까지는 만들었으면 좋겠다고''' 전달했지만, 3부작에 들어갈 내용을 [[푸른 뇌정 건볼트 爪|2편]]에 다 때려넣는 바람에 츠다의 아이디어가 고갈되는 해프닝이 발생한 것. 이로 인해 [[푸른 뇌정 건볼트 鎖環|3편]]은 전작과 무려 6년 간격을 두고 나오게 되었으며 그 공백기를 메우기 위해 다른 디렉터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번외편이 바로 익스 1이다. 그리고 본편 시리즈 역시 3편이 좋은 성적을 거두고 속편에 대한 수요가 보이면 3부작으로 끝내지 않겠다는 것이 아이즈의 입장이다. 아이러니하게도 디렉터인 츠다는 [[정년]]이 가까워져서 진짜로 3편까지만 제작하고 퇴직할 가능성이 생겼다. [[https://www.4gamer.net/games/516/G051673/20220510048/|#]] * 우연인지 의도인지는 불투명하나, 본편 시리즈에는 [[https://gall.dcinside.com/m/asgvdcsidegalley/9967|리로드의 조작법을 설명해주는 캐릭터가 꼭 최종 보스로 등장하는 괴상한 전통]]이 있다. == 관련 문서 == * [[인티 크리에이츠]] * [[록맨 시리즈]] * [[록맨 제로 시리즈]] * [[마이티 No. 9]] * [[정신적 후속작]] * [[중2병]] == 참고 사이트 == * 공식 웹 * [[http://www.gunvolt.com/|건볼트 시리즈 포털 사이트]] * [[https://twitter.com/GunvoltOfficial|인티 크리에이츠 공식 트위터]] * [[https://www.youtube.com/channel/UCpktDHnamxzrLnVFbCcX0Jg|인티 크리에이츠 유튜브 채널]] * 그 외 * [[https://bbs.ruliweb.com/game/82261|루리웹 건볼트 게시판]] * [[https://gall.dcinside.com/asgvdcsidegalley|디시인사이드 건볼트 마이너 갤러리]]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푸른 뇌정 건볼트, version=195)] [[분류:푸른 뇌정 건볼트 시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