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유희왕/OCG/V점프 동봉 카드/2016년)] [[유희왕]]의 최상급 융합 몬스터 카드. [목차] == 설명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1147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효과=, 한글판명칭=푸른 눈의 쌍폭렬룡, 일어판명칭=青眼の双爆裂龍(ブルーアイズ・ツイン・バースト・ドラゴン), 영어판명칭=Blue-Eyes Twin Burst Dragon, 속성=빛, 레벨=10, 공격력=3000, 수비력=2500, 종족=드래곤족, 효과1="푸른 눈의 백룡"+"푸른 눈의 백룡", 효과2=이 카드는 융합 소환 및 이하의 방법으로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3=●자신 몬스터 존의 상기 카드를 묘지로 보냈을 경우에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융합"은 필요로 하지 않는다)., 효과4=①: 이 카드는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5=②: 이 카드는 1번의 배틀 페이즈 중에 2회까지 몬스터에게 공격할 수 있다., 효과6=③: 이 카드의 공격에 의해서 상대 몬스터가 파괴되지 않은 데미지 스텝 종료시에 발동할 수 있다. 그 상대 몬스터를 제외한다.)] V점프 2016년 2월호의 동봉 카드. 한국 & TCG권에서는 [[샤이닝 빅토리즈]]에 수록되었다. '청안의 쌍폭렬룡'이라 쓰고 '블루아이즈 트윈 버스트 드래곤'이라고 읽는다. 긴 시간이 지난 끝에 푸른 눈의 백룡이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세 마리]]가 아닌 [[사이버 트윈 드래곤|두마리가 모인 융합 몬스터]]가 발매됐다. 일단 융합이 없어도 [[비스트아이즈 펜듈럼 드래곤|따로 소환 조건이 있으므로]] 추가적인 마법 카드의 소모가 없다는 점에선 푸른 눈 덱에서 보통 이 카드를 피니셔로 쓰게 될 것으로 예측된다. 효과를 요약하자면 전투 파괴 내성에 몬스터 한정의 [[더블어택]], 거기에 이 카드의 공격으로 전투 파괴에 실패하면 공격한 상대 몬스터를 '''비대상 지정으로 제외'''한다. 돌파 능력만 보자면 [[BF-아머드 윙]]조차도 능가하는 투신이다. 융합을 소모하지 않는 소환 역시 상당히 간편하다. 이것이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과 차별화되는 특성. [[푸른 눈의 아백룡]]과의 조합도 가능하며 [[멸망의 폭렬질풍탄]]을 발동해 공격이 불가능한 푸른 눈의 백룡을 이 카드로 바꿔 직접 공격해 3000 데미지를 주는 전술도 유효할 듯 하다. 그러나 전투에만 무적이고 효과 파괴에는 대응할 수 없다는 게 약점. [[키메라테크 오버 드래곤|또 2회 공격은]] [[앤틱 기어 카오스 자이언트|'''몬스터에만''' 가능하다.]] 상대 필드가 텅 비어 있다면 몬스터들 모두가 기본적으로 가진 1회의 직접 공격만 가능하고, 상대 필드에 마지막 남은 몬스터를 1회째 공격으로 파괴했으면 추가 공격권은 그냥 허공에 날아간다. 이러한 약점들 때문에, 쓰게 된다면 [[하늘빛 눈의 은룡]] 등을 이용해 효과 파괴로부터 지키는 활용이 필요할 것이다. 필드 융합을 사용할 경우 같은 조건으로 튀어나올 수 있는 랭크 8 엑시즈 몬스터들과 경쟁하게 된다. 상대 필드의 몬스터 효과를 견제할 수 있는 [[신룡기사 펠그란트]], 마법 카드를 견제할 수 있는 [[No.38 희망괴룡 타이타닉 갤럭시]], 상대 몬스터의 컨트롤을 1턴동안 뺏는 [[갤럭시아이즈 사이퍼 드래곤]][* 추가로 컨트롤을 뺏어온 몬스터를 [[갤럭시아이즈 사이퍼 엑스 드래곤]]으로 바꿔먹을 수도 있다.], 소환과 동시에 상대 필드의 카드 1장을 비지정으로 묘지로 보내버리고 2번까지 자신 필드의 카드를 파괴에서 지켜주는 [[오르페골#s-3.2.1|시오르페골 딩기르수]] 등 랭크 8에는 우수한 몬스터들이 다수 포진하고 있다. 더군다나 엑시즈 몬스터들은 굳이 푸른 눈의 백룡이나 푸른 눈의 아백룡이 아니더라도 [[하얀 영룡]], [[푸른 눈의 솔리드 드래곤]]이나 [[Sin 푸른 눈의 백룡]]까지 사용할 수 있어서 소재까지 더욱 널널한 편. [[No.95 갤럭시아이즈 다크매터 드래곤]]은 똑같은 몬스터 한정 더블 어택 효과에 공격력도 1000 더 높고 드래곤족 덤핑 효과까지 있지만 금지당했다. 한정적인 상황이지만 [[No.107 갤럭시아이즈 타키온 드래곤]] 또한 더블어택이 가능하면서 상대 몬스터 전원의 효과를 영구 무효화할 수 있다. 공격력으로 돌파할 수 없다면 [[갤럭시아이즈 FA 포톤 드래곤]]이나 [[성각|성각신룡-에네아드]]가 있다. 어차피 쌍폭렬룡은 몬스터에게만 공격이 가능하기 때문에 차라리 저 몬스터들로 상대 몬스터를 파괴하고 직공을 때리는 쪽이 데미지가 더 나온다. 파괴하여 묘지로 보내는것 보다 제외하는 것이 이득인 경우도 많지만 전투로 파괴되지 않은 몬스터만 제외하다 보니 3000이란 우수한 공격력이 발목을 잡아 어지간한 몬스터는 저 공격력을 살아남지 못한다. 심지어 이 카드가 공격했을 때만 제외할 수 있기 때문에 공격을 막고 제외할 수도 없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이것은 고유 효과에 의한 필드 융합을 전제로 한 이야기이고, 얼티미트 퓨전, 용의 거울 등의 카드로 낼만한 에이스로는 기용할 만하다. 레벨 10인지라 [[신을 묶는 묘]]의 효과로 보호받을 수 있다. [[겁화의 뱃사공 고스트 카론]]과 조합해 정규 소환 제약은 없지만 소제 제한이 빡센 12레벨 드래곤족 싱크로 몬스터를 소환하는 셔틀로 쓸 수도 있다. 한글판 샤이닝 빅토리즈에서는 정말 봉입률이 극악인데, '''9통을 뜯었는데 1장도 안 나온''' 사람도 있다고 할 정도이다. 평균적으로 2~3통에 1장 정도.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선 카이바(DSOD)의 진화한 최강 드래곤 스킬로 구현되었다. 이 스킬지원만으로 덱 구성이 달라질 정도로 변화가 일어났으며 푸른 눈 미러전일 경우 수비 표시로 버티는 [[푸른 눈의 정령룡]]과 [[하늘빛 눈의 은룡]]을 제외할 수 있는 하드 카운터라서 어째 [[팀킬]]과 [[동족혐오]]의 상징(...)이 돼버렸다. 참고로 그 정령룡도 [[태고의 백석]]의 1번 효과와 2번 효과를 모두 무효화할 수 있다. 그야말로 같은 카드군 카드들을 스스로 막는 희한한 상황이라 푸른 눈 미러전은 매우 볼만하다. 2021년 1월 12일 스트럭처 EX [[BLUE-EYES EVOLUTION]]에 추가되었다. == 관련 카드 == === 융합 소재 몬스터 === ==== [[푸른 눈의 백룡]] ==== === 기타 관련 카드 === ==== [[궁극 융합]] ==== [[분류:유희왕/OCG/드래곤족]][[분류:유희왕/OCG/융합 소환]][[분류:푸른 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