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예루살렘 국왕]] [[분류:앙주 백작]] [[분류:앙주 가문]][[분류:1089년 출생]][[분류:1143년 사망]][[분류:루아르아틀랑티크 출신 인물]] [include(틀:역대 예루살렘 왕국 국왕)] ||||||||
<:>[[파일:Mélisande_Fulk_of_jerusalem.jpg|width=300]]|||||| ||||||||<:> '''{{{#005ba6 [[예루살렘 왕국]]의 제4대 공동 국왕}}}'''|||| ||<#FFD700> '''{{{#005ba6 즉위명}}}''' ||<(> [[멜리장드]](Melisande) ||||<:> [[풀크]](Foulques) || ||<#FFD700> '''{{{#005ba6 이름}}}''' ||<(> [[멜리장드|멜리장드 드 레텔]](Mélisande de Rethel) ||||<:> [[풀크|풀크 5세 당주]](Foulques d'Anjou)|| ||<#FFD700> '''{{{#005ba6 출생일}}}''' ||<(> [[1105년]]||||<:>[[1089년]]~[[1092년]]|| ||<#FFD700> '''{{{#005ba6 출생지}}}''' ||<(> [[에데사 백국]] [[에데사]] ||||<:>[[프랑스 왕국]] 엉제(Angers)|| ||<#FFD700> '''{{{#005ba6 사망일}}}''' ||<(> [[1161년]] [[9월 11일]] (55~56세)||||<:>[[1143년]] 11월 13일(46~49세)|| ||<#FFD700> '''{{{#005ba6 사망지}}}''' ||<(> [[예루살렘 왕국]] [[예루살렘]] ||||<:> [[예루살렘 왕국]] [[아크레]]|| ||<#FFD700> '''{{{#005ba6 매장지}}}''' ||<(> [[예루살렘 왕국]] [[겟세마니]] 성모 마리아의 무덤 ||||<:>[[예루살렘 왕국]] [[예루살렘]] [[성묘교회]]|| ||<#FFD700> '''{{{#005ba6 가문}}}''' ||<(> [[레텔 가문|레텔]] (House of Rethel) ||||<:>[[앙주 가문|앙주]] (House of Anjou)|| ||<#FFD700> '''{{{#005ba6 부모}}}''' ||<(> [[부친]] [[보두앵 2세|보두앵 2세 드레텔]] [br][[모친]] 모르피아 말라티아치 (모르피아 드멜리텐) ||||<:> [[부친]] 풀크 4세 당주[br][[모친]] 베르트라드 드몽포르|| ||<#FFD700> '''{{{#005ba6 배우자}}}''' ||<(>[[풀크|풀크 당주]]||||<:>에랑부르 드라플레슈[* 멘의 에랑부르(1126년 사망), 멘(Maine)의 상속녀로 풀크와의 사이에 4명의 자녀가 있었다.][br][[멜리장드|멜리장드 드 레텔]]|| ||<#FFD700> '''{{{#005ba6 자녀}}}''' ||<:>[[보두앵 3세|보두앵 당주]][br][[아모리 1세|아모리 당주]]||||<:>조프루아 당주[* 잉글랜드의 플랜태저넷 왕가의 시조][br]시빌 당주[br]마틸드 당주[br]엘리 당주[br][[보두앵 3세|보두앵 3세 당주]][br][[아모리 1세|아모리 1세 당주]]|| ||<#FFD700> '''{{{#005ba6 종교}}}''' ||||||<:> [[로마 가톨릭]]|| ||<#FFD700> '''{{{#005ba6 재위기간}}}''' ||<(>[[1131년]] [[8월 21일]] ~ [[1153년]] [[11월 10일]] (남편과 공동 재위하다가 남편 사후 아들과 공동 재위)[br] [[1153년]] [[11월 11일]] ~ [[1161년]] [[9월 11일]] (섭정 8년 10개월) ||||<:>[[1131년]] [[8월 21일]] ~ [[1143년]] 11월 13일(12년 2개월 20일)|| [목차] == 개요 == 예루살렘 왕국의 국왕. == 생애 == 앙주 백작 풀크 4세와 몽포르의 베르트라드의 아들로 [[1089년]] 또는 [[1092년]] 태생으로 추정된다. [[1109년]] 아버지 풀크 4세가 죽자 앙주의 백작 지위[* 앙주 백작으로서는 '풀크 5세'로 명명된다.]를 물려받았다. 영지는 [[프랑스]]에 있었지만 당시 프랑스 영토 중 상당 부분이 [[잉글랜드]] 왕의 봉지이기도 했기 때문에 풀크도 두 왕 사이에서 정치적으로 처신을 잘 해야 했다. 처음에는 [[루이 6세]]를 지지했으나 [[헨리 1세]]의 딸 [[마틸다(잉글랜드)|마틸다]]와 아들 조프루아 당주[* 멘 백작의 딸 에랑부르와의 사이에서 얻은 아들이다.(미남백작이라 불릴 정도로 당대 최고의 미남으로 유명했다) 첫번째 결혼은 [[1109년]]에 이루어졌으나 1126년에 에랑부르와 사별했다.]가 결혼하면서 [[헨리 1세]]의 편에 가담했다. 훗날 헨리 1세가 적자가 없어 왕위를 딸 [[마틸다(잉글랜드)|마틸다]]에게 넘기려 했으나, 헨리의 사후에 조카 [[스티븐 왕|스티븐]]이 마틸다가 여자임을 이유로 왕위를 스틸해버리자 잉글랜드는 내전([[무정부시대]])에 빠진다. 결국 합의 끝에 스티븐의 왕위는 인정하나 다음 왕위 계승자는 마틸다의 아들인 헨리가 이어가기로 하여 훗날 [[헨리 2세]]가 즉위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풀크는 [[플랜태저넷 왕조]]의 창시자 격이 된다. [[1120년]] 풀크는 장남 조프루아에게 영지와 작위를 물려준 뒤, 십자군 원정에 참여하고 무훈을 세웠다. 당시 예루살렘 왕국의 군주였던 [[보두앵 2세]]는 아들이 없었기에 자연스럽게 장녀인 [[멜리장드]]가 왕위 계승자로 부상하였다. [[보두앵 2세]]는 멜리장드와 그 후손이 [[예루살렘]]을 안정적으로 지배하기 위해 강력한 귀족과 결혼하기를 원했고 프랑스의 [[루이 6세]]는 풀크를 추천했다. 풀크[* 앙주 백작으로서는 풀크 5세로 불린다. [[예루살렘]] 왕으로서는 이름 그대로 그냥 풀크 왕이다.]는 멜리장드와 [[1129년]]에 결혼한다. [[1130년]] 풀크는 멜리장드와의 사이에서 장남 [[보두앵 3세|보두앵]]을 낳았고 [[1131년]] [[보두앵 2세]]의 사망 후 멜리장드와 함께 공동 통치자가 되었다. 그러나 [[예루살렘 왕국]]의 지배를 두고 풀크와 멜리장드 사이에서 갈등이 일어났다. 멜리장드는 풀크가 1세대 십자군 세력을 대신해 자신의 세력을 끌어 들이려 하는데 불만을 가졌고, 풀크는 야파 백작 위그 2세와 멜리장드의 추문을 문제삼았다. 위그는 [[보두앵 2세]]의 충신이었으며 멜리장드의 사촌으로 왕실의 일원이기도 했다. 위그는 공동왕 중 멜리장드에게만 충성을 맹세했고 풀크에게는 충성 맹세를 거부했으며 급기야는 [[1134년]] 풀크에 대항해 반란을 일으키기에 이른다. 반란 와중에 위그를 암살하려는 시도가 있었고 이 배후로 풀크가 의심 받았다. 위그의 반란은 위그 개인의 반란일 뿐 아니라 풀크에 불만이 팽배해 있던 1세대 십자군과 2세대들의 불만이 배후에 있었다. 결국 이 사건으로 인해 풀크는 주도권을 잃고 멜리장드와 화해할 수 밖에 없었으며 [[1136년]] 차남 [[아모리 1세|아모리]]를 낳았다. [[1143년]] 풀크는 멜리장드와 함께 [[아크레]]에서 사냥을 하다 낙마하고 만다. 워낙 심하게 떨어지는 바람에 콧구멍으로 뇌수가 튀어나올 정도였다. 결국 사흘 동안 [[혼수상태]]로 있다가 사망했고 멜리장드는 그의 죽음을 진심으로 슬퍼하였다고 한다. == 매체에서 == [[김태권의 십자군 이야기]] 3권에서 배 불룩 나온 못생긴 대머리 아저씨로 나온다. 크게 악랄하게 묘사되진 않지만 작중 다른 서유럽인들의 묘사가 다 그렇듯이 정복욕에 눈이 먼 우매한 인간으로 나오고 멜리장드와의 관계는 억지로 맺어진 정략결혼으로 묘사된다. 멜리장드랑 화해하는 묘사도 풀크가 죽었을 때 멜리장드가 슬퍼하는 연출도 안 나온다. 역사대로 낙마로 죽는데 다름아닌 자신에게 사과하러 온 보에몽 2세의 유령을 보고 놀라서 죽은 것으로 묘사된다.(...) 여러모로 김태권다운 연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