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겉치레, 꾸밈새를 의미하는 영단어 == {{{+1 put on}}} wear와의 차이점은 wear는 이미 옷을 입고 있는 상태를 의미하지만 put on은 입는 과정을 의미한다는 것. == [[가면라이더 카부토]]에 등장하는 [[마스크드 라이더 시스템]] 기능 == [[캐스트 오프]]와는 정반대의 공정을 밟아서[* 각각의 [[젝터]]의 2단 변신 스위치를 반대 순서로 조작한다. 예를 들어 카부토의 경우 젝터의 뿔을 우측으로 돌리면 자동으로 젝터 몸통이 열리면서 캐스트 오프가 되는데, 이를 젝터 몸통을 닫고 젝터 뿔을 다시 좌측으로 돌리는 식.], [[마스크드 라이더 시스템#s-2|라이더 폼]]에서 [[마스크드 라이더 시스템#s-1|마스크드 폼]]으로 되돌아온다. 발동시 젝터에서 「PUT ON」이란 음성이 나오면서 마스크드 아머가 라이더의 신체에 재구성된다. 마스크드 아머 전체를 재구성하는 것 외에도, 아머의 일부분만을 따로 재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주로 방어력을 높이기 위해서 사용되지만, [[가면라이더 가탁크]]는 원거리 공격(마스크드 폼의 '''"가탁크 발칸"''')을 하기 위해 사용하기도 한다. 원래는 가면라이더 카부토의 [[라이더]]들의 '''비장의 무기'''였던 캐스트 오프를 통한 라이더 폼의 [[설정]]이 요상해지면서 통상 모드가 되자, [[듣보잡]]이 된 마스크드 폼을 위해 추가된 설정으로 갑옷을 다시 입는 것으로 방어력을 올린다고 한다. 그러나 너무 늦게 나와서 그 결과는 단어 의미처럼 '''겉치레''' 효용을 본건 [[가면라이더 카부토(가면라이더)|카부토]]와 [[가면라이더 사소드|사소드]]와의 전투에서 카부토가 사소드의 공격을 풋 온으로 막은 경우[* 이때는 팔의 장갑을 되돌려서 사소드의 공격을 막았다. 이를 통해서 원하는 부분만 되돌리는 것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와 라이더 폼으로 싸우다가 풋 온시켜 가탁크 발칸으로 탈피하기 전의 [[웜(가면라이더 카부토)|웜]]들을 쓸어버린 가탁크 정도만이 효과를 본 경우였고, 그 외에는 [[가면라이더 드레이크|드레이크]]와 [[가면라이더 자비|자비]]가 [[마미야 레나]]와의 싸움에서 방어력을 높인다는 이유로 사용했지만 도리어 느려져서 더 두들겨 맞고 뻗어버렸다. [[가면라이더 다크 카부토|다크 카부토]]도 카부토와의 전투에서 [[클락 업]]이 끝나기 전 라이더 킥을 사용하는 척 하면서 쿠나이건으로 발판을 부수고, 이후 풋 온을 해서 마스크드 폼의 중량을 통한 스톰핑으로 지면에 때려박는 전술을 사용하려다 하이퍼 캐스트 오프의 힘으로 맥시멈 하이퍼 타이푼을 맞고 역관광당한 적이 있다. [[가면라이더 킥호퍼|호]][[가면라이더 펀치호퍼|퍼]] 시리즈에게는 마스크드 폼이 없기 때문에 풋 온 시스템도 없다. 처음에는 그래도 뭔가 없으니 단점이 아닌가 하는 의견이 있었으나 본편에서 마스크드 폼의 겉치레같은 활약상(...) 탓에 현재는 대부분의 팬들이 호퍼 시리즈의 마스크드 폼이 없음을 단점으로 치지 않는다. 오히려 캐스트 오프 라는 과정 없이 바로 라이더 폼으로 갈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라 보는 의견도 있을 정도. 가장 큰 의문은 360Km/h로 날린 장갑들이 그보다 한참 떨어진 곳에서도 풋 온을 실행하면 날아온다는 것… 사실 이 세계의 라이더는 [[강철 지그]]의 핏줄을 이어받았을지도… 그러나 초기 설정만으로 제작되었다는 완구에는 이 음성이 실려있다.(클락 업이나 클락 오버는 실려있지 않다.) 이에 라이더 폼에서 마스크드 폼으로 돌아갈 필요성이 있어 초기부터 있던 설정이었으나 캐스트 오프와 라이더 폼의 설정이 바뀌면서 묻혀서, 후에 설정을 바꿔서 다시 채용한 듯 하다. 결과적으로 '''겉치레'''가 되어 버렸지만(…) 말이다. 이 때문인지 PS2 게임판에서 역시 풋 온을 사용할 수가 없다. [[분류:동음이의어]][[분류:영어 단어]][[분류:가면라이더 카부토/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