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OCN 보이스 시리즈에 등장하는 가상의 도시, rd1=풍산시)] [include(틀:함경남도의 하위행정구역)] {{{+1 豊山郡 / Pungsan County }}} ||<-2> {{{+2 풍산군}}} [br] 豊山郡 / Pungsan County || || 국가 || [[대한민국]] || || 광복 당시 면적 || 3,925㎢ || || 광역시도 || [[함경남도]][* 북한 기준으로는 량강도.] || || 광복 당시 행정구역 || 5면 || || 시간대 || UTC+9 || [목차] [clearfix] == 개요 == [[함경남도]] 북부 [[개마고원]] 지역에 있던 군. 면적은 광복 당시 3,925.05㎢로, [[장진군]]에 이어 함남 2위, 전국 4위였다. 대략적으로 현재 [[량강도]] [[김형권군]] 대부분과 [[풍서군]] 동부, [[허천군]]의 옛 천남면 지역에 해당한다. 기후는 [[개마고원]] 상부 지대이므로 당연히 추운 편. 최한월인 1월 평균기온은 -14.9℃, 최난월인 7월 평균기온은 17.4℃로, 서울보다 10℃ 이상 낮다. [[http://www.kma.go.kr/weather/climate/average_north.jsp?pg=09&do=03&si=2|#]] 풍산 자체가 1200고지에 위치해 있으므로... == 역사 == [[조선시대]]까지는 [[갑산군]]과 [[북청군]]에 소속되어 있었다. 1914년 일제가 시행한 [[부군면 통폐합]] 때 갑산군 3개 면(천남면, 이인면, 웅이면)과 북청군 2개 면(안산면, 안수면)을 분리하여 풍산군을 신설하였는데 군청 소재지인 이인면 신풍리(통칭 풍년촌)의 '풍'과 풍산군의 원 소속이던 '갑산'의 '산'을 따서 '풍산'이라고 하였다. 1942년 군청 소재지인 이인면이 풍산면으로 개칭되었다. 광복 당시 5개 면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남북분단 이후 북한에 속하게 되었다. 1952년 북한 행정구역 개편 때 웅이면, 풍산면(8개 리)을 신설된 [[풍서군]]에, 천남면을 신설된 [[허천군]]에 넘겨주어 면적이 축소되었다. 1954년 [[량강도]]에 소속되었다. 1990년 [[김형권군]]으로 마개조당했다. 그 이후의 역사는 [[김형권군]] 항목으로. == [[이북5도위원회|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 [[파일:풍산군기.png |width=50%]] [[파일:풍산군.jpg|width=100%]] === 구 갑산군 지역 === * '''풍산면'''(豊山面) * 관할 리 : __신풍(新豐)__, 광상(廣上), 광하(廣下), 귀락(貴洛), 내(內), 무금(舞金), 산점덕(山店德), 설학(雪鶴), 신덕(新德), 신명(新明), 신복(新福), 신원상(新元上), 신원하(新元下), 신창(新昌), 신하(新下), 신흥(新興), 심포(深浦), 암흥(巖興), 원포(院浦), 이파(梨坡), 잠둔(蠶屯), 장양(長陽), 재리원(財利院), 줄애(茁崖), 직(直), 축암(縮巖), 토아(土雅) * 원래 이름은 이인면(里仁面)으로 1942년 풍산면으로 개칭하였다. 풍산면은 전형적인 영취락(嶺聚落, 교통량이 많은 고개의 양쪽에 발달한 취락으로, 군사적 기능과 함께 통행인에 대한 숙식제공 기능을 하는 상업적 기능을 가짐)으로 면소재지는 신풍리이다. 주요 저수지로 사초평저수지가 있다. * 이북5도상 군청 소재지 중에서 가장 고도가 높은 곳이다. [[https://web.kma.go.kr/weather/climate/average_north.jsp?pg=09&do=03&si=2|기후관측지점 기준]] 해발 1,206m. * '''웅이면'''(熊耳面) * 관할 리 : __양평(楊坪)__, 관평(館坪), 나흥(羅興), 노암(櫓巖), 도상(都上), 도하(都下), 문조평(文藻坪), 삼대(三臺), 서(瑞), 서상(西上), 서창(西昌), 서하(西下), 석산(石山), 선흥(宣興), 속신(俗新), 신동장(新洞場), 약수(藥水), 어은(於隱), 연두평(蓮頭坪), 용문(龍門), 용회(龍會), 용흥(龍興), 우가(禹哥), 응덕(鷹德), 임장(林長), 창평(倉坪), 창후(倉後), 청학(靑鶴), 평(坪), 합포(合浦) * 일명 '능귀면'(能歸面)이라고도 하는데 한자로, 특히 세로쓰기로 쓰고 보면 글자가 상당히 유사하다. [[갑산군]], [[장진군]] 방향으로 교통이 통하며, 웅이강저수지가 있다. 읍면 단위 행정구역으로는 함경북도 [[무산군]] 삼사면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넓은데, 1,422.46㎢이다. 면소재지인 양평리 일대는 웅이강저수지의 조성으로 수몰되었으며, 창평리 일대는 북한 행정구역상 [[풍서군]] 소재지이다. * '''천남면'''(川南面) * 관할 리 : __와포(瓦浦)__, 고암(古巖), 과산(果山), 금창(金倉), 덕용덕(德用德), 동대(東坮), 동춘(東春), 마토(麻土), 문략평(文略坪), 백탑(白塔), 사(寺), 삼(杉), 상장(上庄), 수위(水渭), 수채(水彩), 슬(瑟), 슬잠저(瑟岑底), 신흥(新興), 신흥덕(新興德), 쌍청보장(雙靑保庄), 양평(陽坪), 어구장(於口庄), 어평(魚坪), 원흥(元興), 음평(陰坪), 장파(長坡), 종(宗), 주로대(周路坮), 중장(中庄), 창평(倉坪), 축평(杻坪), 통(通), 포치(浦淄), 홍군(洪君), 화덕(樺德), 황토보(黃土堡) * 풍산군에서 유일하게 철도가 있으며 [[단풍선]]이 이곳에서 시종착한다. 관내에 [[장파역]], [[포치리역]], [[하홍군역]], [[홍군역]]이 있다. === 구 북청군 지역 === * '''안산면'''(安山面) * 관할 리 : __내중(內中)__, 노은(老隱), 양평(楊坪), 하지경(下地境), 황수원(黃水院) * 내중리저수지가 있으며, 안수면과의 사이에 황수원강댐이 있다. 북청군과는 [[후치령]]으로 연결된다. 황수원리에는 [[북한 공군]] 산하에서 운영 중인 [[황수원비행장]]이 위치하고 있다. * '''안수면'''(安水面) * 관할 리 : __평산(平山)__, 감토(甘土), 미전(米田), 수동(水東), 수상(水上), 장평(長坪) * [[금패령]]을 통해 [[신흥군]]과 통한다. == 기타 == 이 군은 1914년에서야 군(郡)으로서의 역사가 시작되었으므로 이렇다 할 고건축이나 유적은 없다. 다만 [[풍산개]]가 유명하다. == 북한 기준 행정구역 == [include(틀:양강도의 시군)] 자세한 사항은 [[김형권군]] 참조. [[분류:이북 5도의 군]][[분류: 1914년 설치된 행정구역]][[분류:함경남도의 폐지된 행정구역]][[분류:1990년 폐지된 행정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