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風月主 == 개요 == [[화랑]]의 전신 격으로 알려진 단체. [[박창화]]의 필사본 [[화랑세기]]에서는 화랑의 우두머리를 칭하는 호칭으로 나온다. 그러나 화랑의 우두머리를 풍월주라고 불렀는지가 다른 기록에서 같이 확인되지는 않는다. [[삼국유사]]에는 화랑의 우두머리에 대한 호칭으로 풍월주가 아니라 [[국선]](國仙) 혹은 화주(花主) 등이 나오며, [[삼국사기]]에도 풍월주라는 단어는 나오지 않는다. 풍월주라는 단어가 필사본 화랑세기 이외의 다른 기록에 등장하는 것은 [[동국통감]], [[동사강목]] 등 조선 시대이다. 15세기 이후에나 기록에 등장한 풍월주를 정작 당대 기록(이라고 주장한) 화랑세기에서 화랑의 우두머리라 서술했다는 점은 화랑세기가 위서라고 결론짓는 여러 이유 중 하나다. == 상세 ==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는 기록이 없으나, 조선 초의 [[동국통감]], [[삼국사절요]] 등 15세기 이후의 기록에서 이름을 확인할 수 있다. >화랑이란 이름은 신라로부터 시작하였는데, 화랑은 원화(源花)에서 근원하였고, 원화는 풍월주(風月主)에서 근원하였다. 법흥왕 때 동남(童男)으로 용모와 거동이 단정한 사람을 선발하여 이름을 풍월주라 하였고, 선사(善士)를 구하여 무리로 삼아서 효제충신(孝弟忠信)을 닦게 하였다. 진흥왕(眞興王) 때에 이르러서는 사람을 알아볼 도리가 없음을 근심하여, 끼리끼리 모아 떼지어 놀리면서 그 행의(行義)를 보아 거용(擧用)하고자 했다. >---- >《[[성호사설]]》 ---- >원년 10월 >○ 신라가 남녀(男女) 아이를 뽑아 풍월주(風月主)라 불렀다. >신라의 군신(君臣)이 인재를 알아볼 수 없는 것이 답답하므로, 무리를 모아 떼지어 놀게 하여 그 의(義)로운 일을 행하는 것을 본 연후에 등용하려고, 소년 중에서 용모가 단정한 자를 뽑아서 풍월주(風月主)라고 부르고 착한 선비를 구하여 도중(徒衆)을 삼아서 효제충신(孝悌忠信)을 권장하였다.[* 이후 원화 제도와 원화 제도가 폐지된 이유를 기록.] >---- >《[[동사강목]]》 진흥왕 원년 ---- >37년 봄 신라가 화랑(花郞)을 두었다. >때에 신라에 풍월주(風月主), 원화(源花)의 법이 폐하여진 지 이미 여러 해였다. 왕은 나라를 일으키려면 풍월도(風月道)를 먼저 하여야 한다고 생각하여 다시금 영(令)을 내려 귀인(貴人)과 양가(良家)의 자제 중에서 얼굴이 아름답고 덕행이 있는 자를 선발해서 분장을 시켜 화랑(花郞) 또는 국선(國仙)이라 이름하였다. >---- >《동사강목》 진흥왕 37년 동국통감/삼국사절요 등에 의하면 풍월주는 진흥왕 초기에 [[원화]](源花)제도와 함께 만들어졌으니 얼마 가지 않아 흐지부지되었고, 진흥왕 37년에 풍월주를 복원하여 화랑 제도가 시작된 것이다. 즉, 풍월주는 화랑의 전신이 된다. 이와는 달리 필사본 <[[화랑세기]]>에서는 풍월주는 없어졌다가 화랑이 된 것이 아니고, 화랑의 우두머리를 풍월주라 부른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역대 풍월주의 계보를 서술하고 있다. 화랑세기 지지론에서는 [[동사강목]]의 서술을 [[김흠돌의 난]] 이후 화랑도가 폐지되면서 풍월주 제도도 폐지되었고, 후에 화랑도가 부활했지만 풍월주 제도는 부활하지 않았던 것을 진흥왕 때 풍월주를 폐하고 화랑이 된 것으로 잘못 기록한 것으로 보기도 한다. == 필사본 화랑세기에 따른 역대 풍월주 == '''※당연한 이야기지만 필사본 [[화랑세기]]는 [[위서]] 논란이 있으며 학계에서는 아래 내용은 신뢰하지 않는다. 그냥 그런 기록이 있다는 것만 참고하고 옆에는 재임기간이다.''' 초대 [[위화랑]] 540년~?(9년) 2대 [[미진부]]공 ?~548년(9년) 3대 모랑 548년~555년(8년) 4대 이화랑 555년~561년(7년) 5대 [[사다함]] 561년(0년) 6대 [[김세종|세종]] 561년~568년(572년)(8년) ([[원화]] 1세 [[남모]] / [[준정]]) 7대 [[설원|설원랑]] 572년~579년(8년) 8대 [[문노]] 579년~582년(4년) 9대 비보랑 582년~585년(4년) 10대 [[미생|미생랑]] 585년~588년(4년) 11대 [[하종]] 588년~591년(4년) 12대 보리공 591년~596년(6년) 13대 [[김용춘|용춘공]] 596년~603년(8년) 14대 호림공 603년~612년(10년) 15대 [[김유신|유신공]] 612년~616년(5년) 16대 [[보종|보종공]] 616년~621년(6년) 17대 [[염장|염장공]] 621년~626년(6년) 18대 [[김춘추|춘추공]][* 풍월주 출신 왕이다.] 626년~629년(4년) 19대 [[김흠순|흠순공]] 629년~632년(4년) 20대 예원공 632년~634년(3년) 21대 선품공 634년~637년(4년) 22대 [[김양도|양도공]] 637년~640년(4년) 23대 [[김군관|군관공]] 640년~643년(4년) 24대 천광공 643년~647년(5년) 25대 춘장공 647년~652년(6년) 26대 [[진공(신라)|진공]] 652년~656년(5년) 27대 [[김흠돌|흠돌]] 656년~662년(7년) 28대 오기공 662년~664년(3년) 29대 원선공 664년~667년(4년) 30대 천관 667년~674년(8년) 31대 흠언 674년~678년(5년) 32대 신공 678년~681년(4년) == 창작물에서 == [[파일:160250_5faa3b1ad233f.png|width=80%]] [[던전앤파이터]]에서 [[풍월주 비화랑]]이라는 이름의 화랑이 등장한다.[* 참고로 이 캐릭터는 해당 게임 속 세계관의 인물이 아닌, 신라시대의 인물의 컨셉으로 잡혀있는 캐릭터이다.] ||<-2> [[파일:external/lostsaga-image.cdn.lostsaga.com/thum_char_view_n_094.jpg|width=80%]] ||<-2> [[파일:external/lostsaga-image.cdn.lostsaga.com/thum_char_view_o_094.jpg|width=80%]] || [[로스트사가]]에서 풍월주라는 이름의 [[풍월주(로스트사가)|용병]]이 등장한다.[* 참고로 왼쪽은 남성, 오른쪽은 여성이다.] [[파일:초월주.png|width=80%]] [[몬스터길들이기]]에서 [[풍월주(몬스터길들이기)|풍월주]]라는 이름의 플레이어블 캐릭터가 등장한다. || [[파일:external/ticketimage.interpark.com/0400011203_34599_01.gif]] 2012년 초연 || [[파일:external/ticketimage.interpark.com/0400011310_53693_012.gif]] 2014년 재연 포스터 || [[파일:external/ticketimage.interpark.com/0400011507_80592_011.gif]] 2015년 삼연 포스터 || [[파일:18014723_p.gif]] 2018년 사연 포스터 || [[파일:풍월주2020.jpg|width=195]] 2020년 오연 포스터 || 뮤지컬 [[풍월주(뮤지컬)|풍월주]]는 이 이름과 당시 시대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뮤지컬이다. [[분류:신라의 문화]] [[분류:화랑세기 필사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