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야수족]][[분류:유희왕/OCG/융합 소환]][[분류:유희왕/OCG/일반 몬스터]] [[유희왕]]의 하급 융합 몬스터 카드. [목차] == 설명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 [[파일:Fusionist-DM2-JP-VG.png|width=100%]] || [[파일:Fusionist-DM4-JP-VG.png|width=100%]]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 || || 한글판 명칭 ||<-4>'''퓨저니스트'''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フュージョニスト'''|| || 영어판 명칭 ||<-4>'''Fusionist'''||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소환마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3 || 숲마족 || [[야수족]] || 900 || 700 || ||<-5>천사같은 날개와 매우 긴 꼬리를 가진 괴물 고양이.|| DM1에서부터 등장.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에서는 '통신 융합'이라는 숨겨진 요소를 발생시키기 위한 필수 카드이기도 했는데, 지정한 카드 2장에 이 카드를 추가해 트레이드하면 완전히 새로운 카드가 탄생하는 시스템이었다. 이 방법으로 입수할 수 있는 카드는 [[빨간 구두(유희왕)|빨간 구두]], [[스워드 헌터]], [[천공충]], [[심해의 전사]], [[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레벨 5#스파이크 헤드|스파이크 헤드]], [[새털라이트 캐논]], 빅풋, 뮤턴트 크랩[* 이 중 빅풋과 뮤턴트 크랩은 아직까지도 OCG화되지 못했다.] 등 총 8종류이며, 하나같이 이 통신 융합이나 패스워드로밖에 입수할 수 없는 카드였다. 참고로 3 이전 시리즈에서는 [[슬라임(유희왕)#체인지 슬라임|체인지 슬라임]]이 이 역할을 맡아왔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파일:attachment/퓨저니스트/Example.jpg]] || 한글판 명칭 ||<-4>'''퓨저니스트'''|| || 일어판 명칭 ||<-4>'''フュージョニスト'''|| || 영어판 명칭 ||<-4>'''Fusionist'''|| ||<-5> [[융합 소환|융합]]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3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땅]] || [[야수족]] || 900 || 700 || ||<-5>"[[꼬마천사]]" + "영험한 양"|| 초창기의 융합 몬스터로, 융합 몬스터 중 최약의 능력치를 지니고 있다. 융합 소재인 "영험한 양"보다도 전체적인 능력치가 부족하다.[* 이 카드가 영험한 양보다 공격력은 100 높지만 수비력은 300이 낮다.] 퓨전 웨폰으로 공격력을 올려봤자 2400밖에 되지 않는다. 이런 덕분에 현재의 듀얼에서는 쓰이지 않는다. 정규 융합은 사실 고려할 가치가 없고, [[인스턴트 퓨전]]으로 특수 소환한 뒤 [[싱크로 소환|싱크로]]/[[엑시즈 소환|엑시즈]] 소재로 쓸 수 있다. 그러나 싱크로 소재로 쓰자니 레벨이 너무 낮고, 엑시즈 용으로 사용하자니 랭크 3 엑시즈 소환을 인스턴트 퓨전까지 써가면서 뽑기에는 랭크 3들의 파워가 부족한 측면이 있다. [[마계발 현세행 데스가이드]]의 존재도 있고 해서, 1000 LP를 소비하면서 쓰기에는 조금 아쉽다는 결론이 된다. 일반적인 덱에서는. 그러나 [[마돌체]] 덱에서라면 이 카드는 패에서 일반소환권 없이 패 1장으로 튀어나오는 [[M.X-세이버 인보커|레벨 3]] 몬스터로 쓰일 수 있다. [[팔레트 스왑]] 버전으로는 [[리틀 키메라]]가 있다. 이 쪽은 효과 몬스터라 사용 여지가 있어보일...지 모르지만 [[습지초원]]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스타 보이]]에 비해 잘 쓰이질 않는다. [[황홀한 인어]]라는 몬스터와 함께 [[레어 피시]]란 몬스터의 융합 소재이기도 하다. [[퓨저니스트 킬러]]나 [[싱크로 퓨저니스트]]와의 연관성은 불명. 아마 아예 없지 않을까 싶다. 일단 퓨저니스트 킬러 쪽은 융합 몬스터의 공격력을 0으로 만드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니 ~~볼 일은 없겠지만~~ 이 카드 입장에선 [[천적]] 관계이고 싱크로 퓨저니스트는 융합을 지원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니 ~~이쪽도 볼 일은 없겠지만~~ 같은 덱에서 쓸 수는 있다. 여담으로 [[백수 대행진]]에서도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푸른 눈의 백룡의 전설]] || LOB-K022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관련 카드 == === 융합 소재 몬스터 === ==== [[꼬마천사]] ==== ==== 영험한 양 ==== [[파일:external/img2.wikia.nocookie.net/323px-MysticalSheep2-TP15-JP-C.jpg]] || 한글판 명칭 ||<-4>'''영험한 양'''|| || 일어판 명칭 ||<-4>'''スリーピィ'''|| || 영어판 명칭 ||<-4>'''Mystical Sheep #2'''||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3 || [[유희왕/속성|땅]] || [[야수족]] || 800 || 1000 || ||<-5>긴 꼬리를 가진 양. 꼬리를 사용해 최면술을 걸며 악마의 잠 속으로 유인한다.|| 융합해서 나오는 결과물보다 능력치가 더 높은 융합 소재 몬스터. [[라바스]]와 모든 능력치가 일치한다. [[팔레트 스왑]] 버전으로는 [[일루전 시프]]가 있다. === 기타 관련 카드 === ==== [[리틀 키메라]] ==== 퓨저니스트의 [[팔레트 스왑]] 버전. ==== [[레어 피시]] ==== 퓨저니스트를 융합 소재로 하는 몬스터. ==== [[퓨저니스트 킬러]] ==== ==== [[싱크로 퓨저니스트]] ==== ==== [[두리틀 키메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