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함정 카드.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09083_1.jpg]] || 한글판 명칭 ||'''프라이드의 포효'''|| || 일어판 명칭 ||'''プライドの咆哮(ほうこう)'''|| || 영어판 명칭 ||'''Prideful Roar'''|| |||| 일반 함정 || ||||전투 데미지 계산시, 자신의 몬스터 공격력이 상대 몬스터보다 낮을 경우, 그 공격력의 차만큼 라이프 포인트를 지불하고 발동한다. 데미지 계산시에만 자신의 몬스터 공격력은, 상대 몬스터와의 공격력 차만큼의 수치 + 300 포인트 올린다.|| ~~[[프라이드 샤우트]]?~~ 효과만 놓고 보면 [[수축(유희왕)|수축]]류의 컴뱃 트릭 카드 중 최고의 효과를 가지고 있다. 자신의 몬스터의 강약과 관계없이 무조건 상대 몬스터를 300 포인트 차이로 이기게 해준다. 특히 이 카드가 무서운 것은 발동 타이밍이 '''전투 데미지 계산시'''라는 것이다. 이는 [[수축(유희왕)|수축]], [[돌진(유희왕)|돌진]] 등이 발동되는 타이밍보다 더 나중 타이밍으로 말 그대로 전투 대미지 계산 직전 - 즉 보통 사람들이 [[어니스트(유희왕)|어니스트]]를 던지는 타이밍과 똑같은 타이밍이다. 어니스트와 동급이기 때문에 수축이나 돌진 등 다른 컴뱃 트릭 카드를 씹어먹는 건 물론이요, 일단 자기가 먼저 이 카드를 발동했다면 상대의 어니스트류 몬스터도 체인해봤자 무용지물이 된다는 이야기다. 역순처리가 이루어져 어니스트로 올린 공격력만큼 공격력이 더 올라가기 때문이다. 상성이 좋은 것은 당연히 [[엘리멘틀 히어로|엘리멘틀 프레임 윙맨]]이나 [[쥬락 구아이바]], [[초시공전투기(유희왕)|초시공전투기]], [[파멸의 여신 루인]] 등 공격력이 비교적 낮으면서 적 몬스터를 전투로 파괴했을 때 효과를 발동하는 카드들. 또한 [[관통(유희왕)|관통]] 능력을 가진 몬스터하고도 상성이 좋아서, 공격력에 비해 수비력이 낮은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해서 발동하면 높은 데미지를 기대할 수 있다. 일단 효과는 확실하게 볼 수 있지만 수축 등에 비해 단점도 많다. 아무리 라이프 코스트가 가벼운 것으로 취급된다지만 코스트는 코스트다. 때로는 발동을 위해 엄청난 양의 라이프를 지불해야 할 때도 있고 아예 발동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특히 전투 전에 [[싸이크론]]으로 파괴당하거나 하면 수축이나 돌진과는 달리 아무것도 하지 못할 수도 있다. [[차원 유폐]]처럼 효과 자체는 매우 실용적이지만 제거가 늘고 프리 체인 카드가 득세하는 환경에선 제대로 활약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점이 아쉬운 점. [[히어로 비트]] 우승덱을 살펴보면 사이드덱에 3장이 투입된 것을 종종 볼 수 있는데 [[비트 다운]]을 주된 플레이로 하는 본 덱의 카운터라 할 수 있는 강한 공격력~~[[엘리멘틀 히어로 더 샤이닝|더 샤이닝]]이 있는 주제에 얼마나 더 공격력을 올리려고~~을 대비하기 위해 투입한 것으로 보인다. 라이프가 소모되는 일이 ~~압도적인 공격력 때문에~~ 거의 없기 때문에 타 덱에 비해 안전히 쓸 수 있다는 점이 그 이유인 듯. 원작 사용자는 [[잭 아틀라스]]. 공격력이 3000이 된 [[스타더스트 드래곤]]에 대항해 사용하여, [[레드 데몬즈 드래곤]]의 공격력을 상승시켰다. 하지만 원작에는 1000 라이프 코스트가 있어서 유세이가 되받아친 메테오 스트림 효과 때문에 패배 할 뻔했다. 일러스트에 있는 것은 [[마도전사 브레이커]]와 [[빙제 뫼비우스]]. 마함제거용 몬스터의 자존심을 걸고 대결하고 있는 것일지도 모른다. 재미있는 것이 이 카드가 발매된 이후 마도전사 브레이커가 ~~뫼비우스와의 대결에서 살아남아~~ 금지에서 제한으로 내려왔다. 이 카드의 효과를 생각하면 브레이커가 뫼비우스를 이기게 되지만 일러스트의 내용적으론 [[반마도대역]] - [[반전 세계]] 순으로 이어져 [[빅 실드 가드너|미들 실드 가드너]]가 브레이커를 지키기 위해 끼어들게 된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혼돈의 교차]] || CSOC-KR067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혼돈의 교차|CROSSROADS OF CHAOS]] || CSOC-JP067 || [[레어]] || 일본 || 일본 최초수록 || || [[듀얼 터미널]] -마굉신 부활!!- || DT04-JP047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노멀]] || 일본 || || || [[혼돈의 교차|Crossroads of Chaos]] || CSOC-EN067 ||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 2 || DT02-EN097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노멀]] || 미국 || || || Battle Pack: Epic Dawn || BP01-EN100 || [[노멀]][br][[패러렐 레어|스타 포일 레어]] || 미국 || || [[분류:유희왕/OCG/일반 함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