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태풍 명칭)] [목차] == 개요 == 프라피룬(พระพิรุณ, Prapiroon)은 [[태국]]에서 제출한 [[태풍]]의 이름으로, 물의 신 [[바루나]]를 의미한다. 2000년에는 "프라피룬"이라는 이름으로 사용되었으나, [[국립국어원]]에서 태국어의 한글 표기법을 확정함에 따라 2005년 이후 쁘라삐룬으로 사용했다가, 2018년에 표기법 제정이 오류라는 것이 파악되어[* 태국어식의 표준 로마자 표기는 '''Phra Phirun'''이나, '''Prapiroon'''을 보고 잘못 심의한 것으로 보인다.] 다음 태풍때 바꾸기로 했고,[[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qna_seq=143847&pageIndex=1|국립국어원 답변]] 2020년 기상청 홈페이지에서 바뀌어 있는 것으로 보아 표기가 변경된 것으로 보인다. 2000년과 2018년, [[한반도]]에만 총 2번 찾아온 태풍이다. 2006년과 2012년에도 이 이름을 부여받은 태풍이 발생했지만, 한반도에 영향을 주진 않았다. [[2020년]] 10월 10일 17시 기준으로 한국 기상청에서 이 태풍 이름을 보면 '쁘라삐룬'이 아닌 ''''프라피룬'''' 으로 표기되어 있다. == [[프라피룬(2000년 태풍)|2000년 제12호 태풍]]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프라피룬(2000년 태풍))] == 2006년 제6호 태풍 == [include(틀:2006년 태풍)] || [[2006년|{{{#FFF '''2006년'''}}}]] [[태풍|{{{#FFF '''태풍'''}}}]] || || 제5호 [[개미(태풍)#s-3|개미]] → '''제6호 쁘라삐룬''' → 제7호 [[마리아(태풍)#s-3|마리아]] || |||||| '''{{{+5 {{{#!html 2006년 제6호 태풍 쁘라삐룬}}}}}}''' || ||<#3594D3> {{{#ffffff 위성사진}}}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3594D3> {{{#ffffff 진로도}}}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3594D3> {{{#ffffff 활동 기간}}} ||||<:> 2006년 8월 1일 15시 ~ 2006년 8월 5일 9시 || ||<#3594D3> {{{#ffffff 영향 지역}}} ||||<:> [[필리핀]], [[중국]] || || {{{#white 태풍 등급}}} ||<-2><:> {{{#000 '''1등급'''}}}[*JTWC] || || {{{#white 10분 등급}}} ||<-2><:> {{{#000 '''강한 태풍'''}}}[*JMA] || ||<#3594D3> {{{#ffffff 태풍 크기}}} ||||<:> '''중형(직경 700km)''' || ||<#3594D3> {{{#ffffff 최저 기압}}} |||| '''965hPa''' || ||<|2><#3594D3> {{{#ffffff 최대 풍속}}} ||<:>1분 평균 || '''36m/s''' || ||<:>10분 평균 || '''36m/s''' || == 2012년 제21호 태풍 == [include(틀:2012년 태풍)] || [[2012년|{{{#FFF '''2012년'''}}}]] [[태풍|{{{#FFF '''태풍'''}}}]] || || 제20호 [[개미(태풍)#s-4|개미]] → '''제21호 쁘라삐룬''' → 제22호 [[마리아(태풍)#s-4|마리아]] || ||<-3> '''{{{+5 {{{#!html 2012년 제21호 태풍 쁘라삐룬}}}}}}''' || || {{{#ffffff 진로도}}} ||<-2>[[파일:1221track.png|width=100%]] || || {{{#ffffff 활동 기간}}} ||<-2> 2012년 10월 7일 21시 ~ 2012년 10월 19일 21시 || || {{{#ffffff 영향 지역}}} ||<-2> '''[[일본]]''', [[미국]] [[알래스카 주]] || || {{{#white 태풍 등급}}} ||<-2><:> {{{#000 '''3등급'''}}}[*JTWC] || || {{{#white 10분 등급}}} ||<-2><:> {{{#000 '''매우 강한 태풍'''}}}[*JMA] || || {{{#ffffff 태풍 크기}}} ||<-2> '''대형(직경 1,100 km)''' || || {{{#ffffff 최저 기압}}} ||<-2> '''940 hPa''' || ||<|2> {{{#ffffff 최대 풍속}}} || 1분 평균 || '''54 m/s''' || || 10분 평균 || '''46 m/s''' || 태풍 쁘라삐룬은 발생 이후 매우 낮은 속도로 서서히 북서진하면서 천천히 발달하며 SSHS 기준 3등급 태풍으로 전성기를 맞이한 후, 북동쪽으로 전향하였지만, 그 주변에 아무런 지향류가 없어서 매우 느린 진행 속도로 지그재그의 경로를 타다가 오키나와 남동쪽 해상에서 다시 전향하여 매우 빠른 속도로 일본 남쪽 해상을 통과하였다. === 2012년 제21호 태풍 쁘라삐룬 진로 경과 === || 발표 시각 || 1분풍속 || 10분풍속 || SSHS 등급 || JMA 등급 || || 10월 7일 21시 || 30kn || 35kn ||<#5ebaff> 열대저기압 ||<|2><#00faf4> 약 || || 10월 8일 3시 || 35kn || 40kn ||<|5><#00faf4> 열대폭풍 || || 10월 8일 9시 || 45kn || 50kn ||<|3><#ccffff> 중 || || 10월 8일 15시 || 50kn || 55kn || || 10월 8일 21시 || 55kn || 55kn || || 10월 9일 3시 || 60kn || 65kn ||<|13><#fdaf9a> 강 || || 10월 9일 9시 || 65kn || 65kn ||<|4><#ffffcc> 1등급 || || 10월 9일 15시 || 65kn || 65kn || || 10월 9일 21시 || 70kn || 65kn || || 10월 10일 3시 || 70kn || 70kn || || 10월 10일 9시 || 85kn || 70kn ||<|8><#ffe775> 2등급 || || 10월 10일 15시 || 90kn || 80kn || || 10월 10일 21시 || 90kn || 80kn || || 10월 11일 3시 || 90kn || 80kn || || 10월 11일 9시 || 90kn || 80kn || || 10월 11일 15시 || 95kn || 80kn || || 10월 11일 21시 || 95kn || 80kn || || 10월 12일 3시 || 95kn || 80kn || || 10월 12일 9시 || 100kn || 90kn ||<#ffc140> 3등급 ||<|3><#ffc140> 매우 강 || || 10월 12일 15시 || 95kn || 90kn ||<|3><#ffe775> 2등급 || || 10월 12일 21시 || 90kn || 90kn || || 10월 13일 3시 || 85kn || 80kn ||<|13><#fdaf9a> 강 || || 10월 13일 9시 || 80kn || 80kn ||<|13><#ffffcc> 1등급 || || 10월 13일 15시 || 75kn || 75kn || || 10월 13일 21시 || 75kn || 75kn || || 10월 14일 3시 || 75kn || 75kn || || 10월 14일 9시 || 65kn || 75kn || || 10월 14일 15시 || 65kn || 75kn || || 10월 14일 21시 || 65kn || 75kn || || 10월 15일 3시 || 65kn || 70kn || || 10월 15일 9시 || 75kn || 70kn || || 10월 15일 15시 || 70kn || 70kn || || 10월 15일 21시 || 75kn || 70kn || || 10월 16일 3시 || 70kn || 65kn || || 10월 16일 9시 || 65kn || 60kn ||<|14><#ccffff> 중 || || 10월 16일 15시 || 60kn || 60kn ||<|12><#00faf4> 열대폭풍 || || 10월 16일 21시 || 60kn || 60kn || || 10월 17일 3시 || 55kn || 55kn || || 10월 17일 9시 || 50kn || 55kn || || 10월 17일 15시 || 45kn || 55kn || || 10월 17일 21시 || 45kn || 55kn || || 10월 18일 3시 || 45kn || 55kn || || 10월 18일 9시 || 40kn || 50kn || || 10월 18일 15시 || 40kn || 50kn || || 10월 18일 21시 || 35kn || 50kn || || 10월 19일 3시 || 50kn || 50kn || || 10월 19일 9시 || 45kn || 50kn || || 10월 19일 15시 || - || 50kn ||<#fff> '''소멸''' || || 10월 19일 21시 ||<-4><#fff> '''소멸 및 감시 종료''' || == 2018년 제7호 태풍 == [include(틀:2018년 태풍)] || [[2018년|{{{#FFF '''2018년'''}}}]] [[태풍|{{{#FFF '''태풍'''}}}]] || || 제6호 [[개미(태풍)#s-5|개미]] → '''제7호 쁘라삐룬''' → 제8호 [[마리아(태풍)#s-5|마리아]] || ||<-3> '''{{{+5 {{{#!html 2018년 제7호 태풍 쁘라삐룬}}}}}}''' || || {{{#ffffff 위성사진}}} ||<-2>[[파일:1280px-Prapiroon_2018-07-02_0000Z.png|width=100%]] || || {{{#ffffff 진로도}}} ||<-2>[[파일:1280px-Prapiroon_2018_track.png|width=100%]] || || {{{#ffffff 활동 기간}}} ||<-2> 2018년 6월 29일 9시 ~ 2018년 7월 4일 15시 || || {{{#ffffff 영향 지역}}} ||<-2> [[일본]], '''[[대한민국]]''' || || {{{#white 태풍 등급}}} ||<-2><:> {{{#000 '''1등급'''}}}[*JTWC] || || {{{#white 10분 등급}}} ||<-2><:> {{{#000 '''강한 태풍'''}}}[*JMA] || || {{{#ffffff 태풍 크기}}} ||<-2> '''중형(직경 800 km)''' || || {{{#ffffff 최저 기압}}} |||| '''960 hPa''' || ||<|2> {{{#ffffff 최대 풍속}}} || 1분 평균 || '''41 m/s''' || || 10분 평균 || '''33 m/s''' || || {{{#ffffff 인명피해}}} || 사망/실종자 || '''38명''' || 2018년 7호 태풍 쁘라삐룬은 2018년 6월 29일 오전 9시 [[일본]] [[오키나와]] 남남서쪽 약 210 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했다. 7월 2일을 기하여 1등급 태풍으로 격상되었다. "6년 만의 한반도 전역 영향권 태풍"이라는 수식어와 함께 [[장마]]전선과 겹쳐 큰 피해가 우려되었으나 태풍이 일본 쪽으로 방향을 바꿔 이동하였고, 쁘라삐룬 소멸 뒤에 발생한 태풍 [[마리아(태풍)#s-5|마리아]]의 중국행으로 [[북태평양 기단]]이 크게 확장해버리는 바람에 [[2018년 폭염/대한민국]]이라는 후폭풍을 야기하기도 했다. === 진로 === 6월 30일 21시 기준 진행방향은 남남동(SSE), 진행속도 4.0 km/h, 중심기압 990 hPa, 중심부근 최대풍속은 24.0 m/s(86.4 km/h)이었다. 7월 1일 기준으로 중심기압이 985 hPa까지 떨어졌다. 진행속도는 21.0 km/h, 중심부근 최대풍속도 27.0 m/s(97.2 km/h) 로 높아졌다. 7월 2일에 제주가 영향권에 들며 7월 3일 남해안에 상륙할 것으로 보였다. 예보가 진행되면서 예상 진로가 동쪽으로 수정되고 있다. 당초 상층 기압골이 한반도에 머무르는 바람에 서해까지 올라올 수 있다고 예측되었으나, 상층 기압골이 동쪽으로 움직이면서 태풍의 진로 역시 동쪽으로 수정되었다. [[대한민국 기상청]]에 따르면 더 동쪽으로 이동될 여지가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8&aid=0002415740|있다]]. 동쪽으로 진로가 수정되어, 내륙이 아닌 남해안에 상륙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7월 1일 21시 기준 [[일본]] 기상청은 [[한반도]]에 상륙하지 않고 [[대한해협]]을 통과할 가능성이 있다는 예보를 [[http://www.jma.go.jp/jp/typh/1807l.html|했다]]. 22시 기준 한국 기상청도 상륙하지 않고 남해안을 스쳐 지나갈 수도 있다는 예보를 [[http://www.weather.go.kr/weather/typoon/report.jsp|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상층 기압골의 계속된 동진으로 인해 상륙하지 않고 부산 바다를 지나가는 것으로 예보했다고 밝혔다. 이 경우 2016년 [[차바(2016년 태풍)|차바]]와 유사한 경로가 될 수 있었다. 7월 1일 13시 기준 일본 기상청은 [[쓰시마 섬]] 동측 해상을 지나간다는 예보를 했다. 7월 1일 15시 기준 일본 기상청은 좀 더 동쪽으로 진로를 수정하여 일본 북부 지방을 관통한 뒤 소멸한다는 예보를 했다. 16시 기준 한국 기상청은 쓰시마 섬 동측 해상과 독도를 지나 동해상에서 소멸한다는 예보를 했다. 한반도 전역이 위험반원에서 벗어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러한 진로의 유동적인 변화는 [[한반도]] 상공에 자리잡은 상층 기압골이 동진하고, 일본에 자리잡은 북태평양 고기압이 생각외로 빠르게 수축하는 바람에 그 사이에서 균형을 잡던 태풍이 동쪽으로 꺾였다고 [[http://v.media.daum.net/v/20180702120309095|한다]].[* 당초 상층 기압골이 한반도에 깊숙히 머무르고, 북태평양 고기압이 한반도 쪽으로 확장할 가능성이 있어서 한반도 관통 등의 예보가 있었다.] 동쪽으로 꺾이면서 일본 규슈, 주코쿠, 시코쿠, 간사이 일대에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sid1=104&sid2=235&oid=001&aid=0010194144|많은 비를 내렸다.]] 7일 기준으로 사망 38명이 발생했다.[[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sid1=104&oid=008&aid=0004075372|#]] 이와 연관이 있기 때문에 [[2018년 7월 일본 호우]]로 이어지게 되었다. === 언론의 반응 === 언론에서는 경쟁적으로 2012년 태풍 [[산바(2012년 태풍)|산바]] 이후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469&aid=0000310951|6년만의 태풍 상륙]]"이나 "[[http://v.media.daum.net/v/20180701145105079|태풍다운 태풍]]"이라고 [[대한민국 기상청|기상청]]을 인용해 보도하였다. 그러나 제주와 영남지역은 2016년 10월, 태풍 [[차바(2016년 태풍)|차바]]의 상륙으로 큰 해를 입은 바 있다. 당시 차바는 남해안에 상륙해 7명의 사망자와 수천억의 재산피해를 냈다. 때문에 울산을 비롯한 일대에 [[특별재난지역]]이 선포된 바 있었다. 정부에서는 "차바를 제외하고" 6년 만에 처음이라는 식으로 [[http://m.mdtoday.co.kr/mdtoday/index.html?no=325356|언급하는가]] 하면, 언론에서는 당시 차바가 약체였고 다른 지방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고 평가 절하하고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8682481|있다]]. 지역언론사인 경남도민일보는 이러한 보도들에 [[https://twitter.com/gndomin/status/1013275458887024640?s=21|의문을 제기]]하며 비꼬았다. 진로가 수정되면서, [[차바(2016년 태풍)|차바]]와 유사한 경로를 가질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 계속된 진로 수정으로 위험반원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되었다. === 기타 === 때마침 7월 1일부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민선 7기 자치단체장 및 교육감, 지방의원들]]의 임기가 시작되었다. 당초 월요일인 7월 2일에 예정되었던 취임식들이 이 태풍으로 인해 취소되거나 약식으로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8&aid=0002415800|진행되었다]] 동시에 재난대책회의를 열고 호우 피해 지역 및 위험 지역을 방문하는 등의 활동을 폈다. 당초 진행 경로가 유사한 2002년 [[람마순#s-2|라마순]], 2006년 [[에위니아#s-3]]가 농가에 큰 해를 입었던 것 때문에 관계자들은 긴장하였다. 마침 태풍이 상륙하기 전인 2018년 6월 말부터 [[장마]]로 인한 비가 많이 내리면서 곳곳에서 크고 작은 피해들이 발생하고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태풍까지 겹칠 경우, 연약해진 지반으로 인해 더 큰 피해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었다. [[분류:2006년 태풍]][[분류:2012년 태풍]][[분류:헤이세이 시대/태풍]][[분류:2018년 태풍]][[분류:태풍/대한민국]][[분류:나무위키 태풍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