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프랑스 총리]] [include(틀:프랑스 관련 문서)] ---- [include(틀:역대 프랑스 총리)] ---- ||<-2> [[파일:프랑스 총리 로고.svg|width=40]][br] '''{{{+1 {{{#000092,#fff 프랑스 총리}}}}}} [br] {{{#000092,#fff Premier ministre de la République française }}}[br] {{{#000092,#fff Prime Minister of the French Republic}}}'''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엘리자베트 보른.jpg|width=100%]]}}} || || {{{#000092,#fff '''현직'''}}} ||[[엘리자베트 보른]] ,,/ 제102대,, || || {{{#000092,#fff '''취임일'''}}} ||[[2022년]] [[5월 16일]] || || {{{#000092,#fff '''정당'''}}} ||[include(틀:르네상스(정당))] || || {{{#000092,#fff '''관저'''}}} ||마티뇽 관저 || [목차] [clearfix] == 개요 == {{{+1 '''Premier ministre français'''}}} [[프랑스]]의 [[총리]]. 현재 [[프랑스 제5공화국]] 체제에서 총리는 [[국가행정조직/프랑스|프랑스 내각]]을 통솔하며, 각료 임명 제청권, 법안발의권[* 제한적으로 의회 동의 없이 총리 직권으로 입법하는 것도 가능하다.([[프랑스 헌법|헌법 제 49조 3항]]) 다만 국민의회에서 이에 대항한 [[내각불신임결의]]가 통과되면 해당 법안은 무효가 된다.], 의회소집권 등의 권한을 가지고 있다. 내각 운영을 총괄하기 때문에 [[프랑스 대통령|대통령]]이 독점하는 일부 권한[* [[외교]]와 [[국방]]은 관례적으로 [[국가원수]]인 대통령의 권한이다. 쉽게 말해서 프랑스 [[핵가방]]은 [[프랑스 대통령]]이 관리한다.]을 제외한 일상적인 국정 업무[* 교육, 경제, 법무, 문화, 농업, 산업 등]는 총리가 담당한다. 관저는 [[호텔#특징|오텔]] 드 마티뇽(Hôtel de Matignon)으로, 이 때문에 총리실을 마티뇽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상세 == 프랑스에서 오늘날 총리의 의미인 '정부를 통솔하는 최고 관리'라는 면에서 보면 16세기 [[프랑스 왕국]] 시절 수석국무장관(principal ministre d'État)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고 [[프랑스 제1제국]]과 [[부르봉 왕정복고]] 시절에도 비슷한 직책이 존재했지만, '의회에서 선출하여 정부를 통솔하는 최고 관리'로서의 총리 직책은 [[프랑스 제2공화국]] 시절에 생겼다. 이후 [[프랑스 제2제국]] 시절에는 잠시 폐지되었다가 제2제국 말년에 부활했으며, [[프랑스 제3공화국]] 시절에는 국민 직선의 국민의회에서 선출되는 의원 중에서 총리를 선출했는데 (프랑스) 국무회의 의장(Président du Conseil des ministres français)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여 [[정부수반]]의 역할을 했다. 이 시절은 [[내각책임제]]로 운영되었으므로 프랑스 총리가 사실상의 프랑스 지도자였다. 1940년에 [[나치 독일]]에 패배하면서 [[비시 프랑스]]에도 국무회의 의장(Président du Conseil des ministres français)이라는 명칭의 총리 직책이 있었지만 비민주국가라 그냥 임명직이었고, [[자유 프랑스]]는 망명 정부 처지라 그런지 없었다. [[프랑스 공화국 임시정부]] 시절에도 없었고, [[프랑스 제4공화국]] 시절에 [[내각책임제]]가 부활하여 (프랑스) 국무회의 의장(Président du Conseil des ministres français)이라는 직책이 생겼다가, 개헌으로 [[프랑스 제5공화국]]이 출범하면서 직책 이름이 총리(Premier ministre)로 바뀌고, [[이원집정부제]]로 개편되면서 권한이 줄었다. 제4공화국까지 프랑스 총리는 매우 자주 바뀌었다. 4공화국 시절에는 [[이탈리아]]나 [[일본]]보다도 더했는데 총리 평균 임기가 '''8개월'''이었다. 그래서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이 프랑스를 방문했을 때 [[샤를 드골]]에게 "프랑스는 다른건 다 좋은데 총리가 너무 자주 바뀌어서 기억하기 힘들다"라고 투덜댔다고 한다(...). 지금도 8개월은 아니더라도 2~3년에 한번은 총리가 바뀌기 때문에 여전히 자주 교체되는 편이다. 프랑스 총리는 [[프랑스 대통령]]이 임명한다. 지명 대상자는 프랑스 국민이라면 누구든 상관없으나 일반적으로 [[프랑스 국민의회|국민의회]](하원) 의원이 임명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국민의회에서 총리가 마음에 안 들면 바로 내각에 [[내각불신임결의|불신임]]을 날려버릴 수 있으므로 국민의회 의원 과반수가 반대하는 총리는 임명될 수 없다.[* 프랑스 총리는 의회해산권이 없고 대통령이 가지고 있다.] 그래서 실질적으로 프랑스 총리는 프랑스 국민의회에서 선출하는 것이나 다름없게 된다. 그리고 사실상 의회에서 임명한 총리가 내정에서 상당한 권한을 가지기에, 프랑스는 대통령과 총리가 동시에 국정 운영에 책임을 지는 [[이원집정부제]] 국가이다. 이렇듯 총리 선출은 국민의회의 (실질적으로 원내 과반을 차지한 정당의) 권한이기 때문에 집권 여당이 총선에 대패해서 국회 과반을 차지하지 못하면 야당에서 총리를 임명하는 골 때리는 상황이 연출된다. 이렇게 구성된 정부를 [[동거정부]]라고 부른다. 이렇게 되면 대통령이 실권을 상실하기 때문에 곧바로 [[레임덕]]이 시작된다. 실제로 [[프랑수아 미테랑]] 전 대통령은 총선의 패배로 [[자크 시라크]] 당시 총리에게 거의 모든 실권을 양보해야 했다. 그리고 [[자크 시라크]] 전 대통령 역시 여당의 총선 참패로 [[리오넬 조스팽]]에게 실권을 양보하고 5년 동안 외교 업무만 열심히 했다.(...) 이렇게 보면 프랑스 총리의 권한이 막대하다는 생각이 들지만 [[동거정부]]가 구성되면 찾아오는 국정 운영의 혼선을 프랑스도 모르지 않기 때문에 프랑스는 총선을 대선이 끝나고 '''1달 후''' 실시한다. [[결선투표제]]를 채택한 프랑스 대선 성격 상 프랑스 대통령은 시작부터 과반 이상의 지지를 받고 시작하기 때문에 대통령을 배출한 정당이 무난히 과반 이상을 차지할 수 있다.[* 원외정당으로 출발한 [[앙 마르슈]]도 대선 이후 가뿐하게 과반 이상을 차지 하는 것이 좋은 예다.] 사실상 대통령에게 힘을 실어주는 투표 일정으로 위에서 언급된 미테랑 - 시라크, 시라크 - 조스팽 동거정부 같은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는 프랑스 총리 역시 한국의 [[국무총리]]처럼 얼굴 마담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 총리 목록 == === 프랑스 제5공화국 === 제5공화국 이전은 [[https://ko.m.wikipedia.org/wiki/%ED%94%84%EB%9E%91%EC%8A%A4_%EC%A0%95%EB%B6%80%EC%88%98%EB%B0%98_%EB%AA%A9%EB%A1%9D|이곳]] 참조. 절대왕정 시대의 수석국무장관까지 나와 있다. ||<#DCDCDC> 이름 ||<#DCDCDC> 임기시작 ||<#DCDCDC> 임기종료 ||<#DCDCDC> 정당 ||<#DCDCDC> 대통령 ||<#DCDCDC> 비고 || || [[미셸 드브레]][br]Michel Debré || [[1959년]] [[1월 8일]] || [[1962년]] [[4월 14일]] ||<|2> UNR[* L'Union pour la nouvelle République, [[신공화국연합]]] ||<|3> 제18대 대통령[br][[샤를 드 골]][br]UNR || || [[조르주 퐁피두]][br]Georges Pompidou || [[1962년]] [[4월 14일]] || [[1968년]] [[7월 10일]] || 프랑스 제19대 대통령 || || [[모리스 쿠브 드뮈르빌]][br]Maurice Couve de Murville || [[1968년]] [[7월 10일]] || [[1969년]] [[6월 20일]] ||<|4> UDR[* Union pour la défense de la République, [[공화국민주연합]]] || || || [[자크 샤방델마스]][br]Jacques Chaban-Delmas || [[1969년]] [[6월 20일]] || [[1972년]] [[7월 6일]] ||<|2> 제19대 대통령[br][[조르주 퐁피두]][br]UDR || || || [[피에르 메스메르]][br]Pierre Messmer || [[1972년]] [[7월 6일]] || [[1974년]] [[5월 27일]] || || || [[자크 시라크]][br]Jacques Chirac || [[1974년]] [[5월 27일]] || [[1976년]] [[8월 26일]] ||<|2> 제20대 대통령[br][[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br]UDF[* Union pour la Démocratie Française, 프랑스 민주연합] || 프랑스 제22대 대통령 || || [[레몽 바르]][br]Raymond Barre || [[1976년]] [[8월 26일]] || [[1981년]] [[5월 21일]] || [[무소속]] || || || [[피에르 모루아]][br]Pierre Mauroy || [[1981년]] [[5월 21일]] || [[1984년]] [[7월 17일]] ||<|2> [[프랑스 사회당|사회당]] ||<|7> 제21대 대통령[br][[프랑수아 미테랑]][br][[프랑스 사회당|사회당]] || || [[로랑 파비위스]][br]Laurent Fabius || [[1984년]] [[7월 17일]] || [[1986년]] [[3월 20일]] || || || [[자크 시라크]][br]Jacques Chirac || [[1986년]] [[3월 20일]] || [[1988년]] [[5월 10일]] || RPR[* Rassemblement pour la République, [[공화국연합]]] || 프랑스 제22대 대통령 || || [[미셸 로카르]][br]Michel Rocard || [[1988년]] [[5월 10일]] || [[1991년]] [[5월 15일]] ||<|3> [[프랑스 사회당|사회당]] || || || [[에디트 크레송]][* 프랑스 최초의 여성 총리다.][br]Édith Cresson || [[1991년]] [[5월 15일]] || [[1992년]] [[4월 2일]] || || || [[피에르 베레고부아]][br]Pierre Bérégovoy || [[1992년]] [[4월 2일]] || [[1993년]] [[3월 29일]] || || || [[에두아르 발라뒤르]][br]Édouard Balladur || [[1993년]] [[3월 29일]] || [[1995년]] [[5월 18일]] ||<|2> RPR || || || [[알랭 쥐페]][br]Alain Juppé || [[1995년]] [[5월 18일]] || [[1997년]] [[6월 3일]] ||<|4> 제22대 대통령[br][[자크 시라크]][br]RDR || || || [[리오넬 조스팽]][br]Lionel Jospin || [[1997년]] [[6월 3일]] || [[2002년]] [[5월 6일]] || [[프랑스 사회당|사회당]] || || || [[장피에르 라파랭]][br]Jean-Pierre Raffarin || [[2002년]] [[5월 7일]] || [[2005년]] [[5월 31일]] ||<|3> UMP[* Union pour un Mouvement Populaire, [[대중운동연합]]] || || || [[도미니크 드빌팽]][br]Dominique de Villepin || [[2005년]] [[5월 31일]] || [[2007년]] [[5월 17일]] || || || [[프랑수아 피용]][br]François Fillon || [[2007년]] [[5월 17일]] || [[2012년]] [[5월 15일]] || 제23대 대통령[br][[니콜라 사르코지]][br]UMP || || || [[장마르크 에로]][br]Jean-Marc Ayrault || [[2012년]] [[5월 16일]] || [[2014년]] [[4월 1일]] ||<|3> [[프랑스 사회당|사회당]] ||<|3> 제24대 대통령[br][[프랑수아 올랑드]][br][[프랑스 사회당|사회당]] || || || [[마뉘엘 발스]][br]Manuel Valls || [[2014년]] [[3월 31일]] || [[2016년]] [[12월 6일]] || || || [[베르나르 카즈뇌브]][br]Bernard Cazeneuve || [[2016년]] [[12월 6일]] || [[2017년]] [[5월 10일]] || || ||<|2> [[에두아르 필리프]][br]Édouard Philippe ||<|2> [[2017년]] [[5월 15일]] ||<|2> [[2020년]] [[7월 3일]] || [[공화당(프랑스)|공화당]] ||<#ffe25a><|4> 제25대 대통령[br][[에마뉘엘 마크롱]][br][[앙 마르슈!]] ||<|2> || || [[무소속]] || || [[장 카스텍스]][br]Jean Castex || [[2020년]] [[7월 3일]] || [[2022년]] [[5월 15일]] ||<|2> [[앙 마르슈!]] || || || [[엘리자베트 보른]][br]Élisabeth Borne || [[2022년]] [[5월 16일]] || ''재임 중'' || == 둘러보기 == [include(틀:프랑스 관련 문서)] [include(틀:총리 및 수상 일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