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프랭크 와일드혼]] [[파일:1230.jpg]] [목차] == 개요 == 미국의 [[뮤지컬]] [[작곡가]]. [[1959년]] [[11월 29일]] 미국 [[할렘]]에서 태어나 [[퀸스]]에서 유년시절을 보냈고 14살 때 [[할리우드]]로 이사를 갔다. 얼마 뒤, 피아노를 독학으로 배우고 작곡도 [[독학]]했다. 고등학교 시절, 밴드음악, [[재즈]], [[R&B]] 등을 작곡했다. 이후 대학을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에서 [[철학]]과 [[역사학]]을 전공했다. 대학 재학 당시, 한국에서 큰 성공을 거둔 [[지킬 앤 하이드]] 작업을 했다. 그의 데뷔작 역시 [[지킬 앤 하이드]]이다. 현재는 주로 [[뮤지컬]]을 위주로 작곡하고 있으며, 한국 [[창작 뮤지컬]]도 여럿 만들었다. [[휘트니 휴스턴]]의 명곡인 [[Where Do Broken Hearts Go]]를 작곡하기도 했다. 아내는 일본의 연극 배우이자 영화 배우, 여성가극단인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소라구미]] 탑스타 출신, 그리고 아시아인 최초로 [[시카고(뮤지컬)|시카고]]에 출연한 뮤지컬 배우 와오 요우카[* 다카라즈카 역사상 가장 오랜 재임기간을 기록한 남역 배우이며 다카라즈카판 초연의 씨씨로 유명한 [[하나후사 마리]]의 상대역이었다. 또한, 그는 세계최초 젠더프리 드라큘라로 유명하며 2011년 일본과 아시아 드라큘라 초연에서 출연했다.] == 국내에서 가장 유명한 뮤지컬 작곡가 == 원래 활동 무대인 서구권에서보다 한국에서 유독 인기있는 작곡가이다. 그도 그럴 것이 [[2004년]] 국내에서 [[지킬 앤 하이드]] 초연이 대성공하면서, 2년 전의 [[오페라의 유령(뮤지컬)|오페라의 유령]] 초연에 이어 한국 뮤지컬계가 폭발적으로 성공하는 전기를 마련했기 때문.[* 당시 주연 배우인 [[조승우]]나 [[류정한]] 역시 기존의 뮤지컬 경력이 있지만, 이 작품의 대성공 덕분에 오늘날처럼 입지가 튼튼한 무대 위의 대스타로 성장했다고 봐도 과언은 아니다.] 덕분에 와일드혼의 한국 내 위상이 엄청나게 팽창되었고, 창작이 약하고 라이선스가 강한 국내 뮤지컬 시장 특성상 가장 유명한 작곡가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지킬 앤 하이드뿐 아니라 드라큘라, 시라노 등 다른 작품들도 국내에서 인기리에 공연되었고, [[천국의 눈물]]을 시작으로 [[EMK뮤지컬컴퍼니]]의 [[마타 하리(뮤지컬)|창작]][[웃는 남자(뮤지컬)|뮤지컬]] [[엑스칼리버(뮤지컬)|다수]]를 작곡했다. 해당 작품들은 일본 등으로 수출하기도 했다. 와일드혼의 강점은 중독성 있는 멜로디라인 자체로, 전개가 뚜렷하고 기억에 오래 남고 뭔가 한국인의 감성을 자극하는 찐한 느낌으로 국내 뮤지컬 팬들의 아낌없는 사랑을 받고 있다. 비평적인 측면에서 보자면 [[자기복제]]가 심하고 패턴이 한정된 작곡가라 작품의 컬러에 차별점이 적다는 단점도 있다. 다만 대중적으로 듣기 좋은 멜로디를 뽑아내는 능력만큼은 누구에게나 인정받는 편이다. 하지만 [[데스노트(뮤지컬)|데스노트]]의 넘버들은 기존 곡들과는 상반된 양상의 넘버들이 많다. == 작품 목록 == * [[지킬 앤 하이드]] (1990) * Svengali (1991) * Victor/ Victoria (1995)[* 그가 이 뮤지컬에서 작업한 곡은 두 곡이고, 대부분은 Henry Manici가 했다] * [[스칼렛 핌퍼넬(뮤지컬)|스칼렛 핌퍼넬]] (1997)[* 한국 공연은 2013년에 했다.] * The Civil War (1998)[* 이 작품으로 연극과 뮤지컬에서 가장 권위있는 상 중 하나인 [[토니상]] 작곡상에 후보로 올랐다.] * Camile Claudel (2003) * [[드라큘라(뮤지컬)/브로드웨이판|드라큘라]] (2001) * Waiting for the Moon (2005) * [[시라노(뮤지컬)|시라노]] (2006) * [[더 라스트 키스|황태자 루돌프]] (2006) * Never say Goodbye (2006) * Carmen (2008) * [[몬테크리스토(뮤지컬)|몬테크리스토]] (2009) * [[보니 앤 클라이드(뮤지컬)|보니 앤 클라이드]] (2009) * Wonderland (2009) * [[천국의 눈물]] (2011) * Mitsuko (2011) * Excalibur (2014) * [[데스노트(뮤지컬)|데스노트]] (2015) * [[마타하리(뮤지컬)|마타 하리]] (2016) * The Passage to the Light (2017) * [[웃는 남자(뮤지컬)|웃는 남자]] (2018) * [[엑스칼리버(뮤지컬)|엑스칼리버]][* 위의 Excalibur는 스위스 공연. 라이선스 과정에서 한국 정서와 맞지 않다는 것을 고려해 새로 바꿔서 공연에 올렸다.] (2019) * [[4월은 너의 거짓말(뮤지컬)|4월은 너의 거짓말]] (2022) * 피렌체의 빛 (미정)[* [[레오나르도 다빈치]]와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의 대결을 그린 [[OD컴퍼니]]의 첫번째 [[창작 뮤지컬]]이다.] == 여담 == * 2019년 6월 26일과 7월 3일 [[JTBC]] [[차이나는 클라스 - 질문 있습니다]] 114화와 115화에 [[김문정]] 음악감독과 함께 일일 선생님으로 출연했다. 학생으로 뮤지컬 배우 [[카이(1981)|카이]]와 [[김선영(뮤지컬 배우)|김선영]]이 함께 출연했다. * 2023년 12월 13일 [[캐럴]]인 'My Christmas Wish'를 공개했다. [[김준수(JYJ)|김준수]]를 비롯한 [[팜트리 아일랜드]] 소속 뮤지컬 배우들 전원이 해당곡에 참여했다.[[https://youtu.be/UbnHN9nRueM?si=kzyzVv17O-GGSpeV|뮤직비디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