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fff '''프레더릭 와이즈먼의 주요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아카데미 공로상)] ---- [include(틀:베니스 국제 영화제 명예 황금사자상)]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rederick wiseman.webp|width=100%]]}}} || || '''이름''' ||프레더릭 와이즈먼[*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법 및 프레더릭 와이즈먼의 일부 연출작들을 국내에 배급 중인 [[영화사 진진]]에서 표기 중인 이름이 '프레더릭 와이즈먼'임에 따라 이것으로 표기합니다.](Frederick Wiseman)||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2> '''출생''' ||[[1930년]] [[1월 1일]]([age(1930-01-01)]세)|| ||[[미국]] [[매사추세츠]] [[보스턴]]|| || '''거주''' ||[[미국]]|| || '''학력''' ||[[윌리엄스 칼리지]] {{{-2 (학사)}}}[br][[예일 대학교]] {{{-2 (법학과 / 학사)}}}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Frederick Wiseman's Film.jpg|width=60%]] 미국의 다큐멘터리 감독. 다이렉트 시네마 운동의 기수로 꼽힌다. 정작 본인은 다큐멘터리라는 단어를 싫어한다. 유대인 가정 출신으로 예술 전공후 [[예일 대학교]] 로스쿨에 다녔고, 법학 강사를 하면서 다큐멘터리 공부를 시작했다. 1963년 [[셜리 클라크]]의 프로듀서로 경력을 시작하고 1967년 <티티컷 풍자>(Titicut Follies)라는 다큐멘터리로 데뷔했다. 로스쿨 시절 만난 지포라 뱃쇼Zipporah Batshaw랑 결혼했으며 [* 부인은 2021년 타계.], 부인의 이름을 딴 지포라 필름즈를 설립해 [* 본인 다큐멘터리 배급 및 홈 비디오 발매도 여기서 담당하고 있다.] 90이 넘었음에도 지금까지 정정하게 활동중이다. 작업 속도가 빨라서 늦어도 2~3년 단위로 신작이 나올 정도. 다이렉트 시네마 시절 경력을 시작한 다큐멘터리 감독답게 내러티브와 감독의 참여가 배제된, 관찰/기록에 충실한 다큐멘터리를 만든다. 주로 다루는 소재의 (주로 공공기관이나 특정 사회가 대다수다.) 작동방식과 구조를 보여주는 것에 탁월하다는 평가를 받으며 와이즈먼의 이런 다큐멘터리 만들기는 후대 다큐멘터리 감독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전반적으로 분량이 긴 것도 특징. 한국에서는 <[[라 당스]]>, <[[크레이지 호스]]>, <[[영국 국립미술관|내셔널 갤러리]]>, <[[뉴욕 라이브러리에서]]>가 정식 개봉했고, <[[버클리에서]]>[* [[영화사 진진]] 수입], ~~<[[시티 홀]]>~~[* [[2021년]] 최근 상영된 DCP 상영본에는 자막이 가로로 처리되어있었으나, [[https://cinematheque.seoul.kr/rgboard/view.php?&bbs_id=qna&page=&doc_num=19933|이 문의 답변글에 의하면]] 수입된 것은 아니라고 한다.]이 미개봉 수입 상태이다. 여담으로 일본의 유명 다큐멘터리 감독인 [[소다 카즈히로]]의 방법론인 관찰영화론은 그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졌다. == 외부 링크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91373|<뉴욕 라이브러리에서> 프레더릭 와이즈먼 감독 - '그것'들이 영화가 되기까지...]] [[분류:1930년 출생]][[분류:보스턴 출신 인물]][[분류: 1967년 데뷔]][[분류:미국 영화 감독]][[분류:미국의 다큐멘터리 감독]][[분류:예일 대학교 출신]][[분류:유대계 미국인]][[분류:윌리엄스 칼리지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