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통령)]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d7045, #9f9167 20%, #9f9167 80%, #7d7045)" {{{#ffffff '''F. W. 더클레르크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노벨평화상 수상자)] ---- [include(틀:타임지 올해의 인물/1990년대)]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d7045 0%, #9F9167 20%, #9F9167 80%, #7d7045)"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통령|{{{#fff 남아프리카 공화국 제7대 대통령}}}]][br]{{{+1 프레데리크 빌럼 데 클레르크}}}[br]Frederik Willem de Klerk'''}}}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F. W. de Klerk 2012.jpg|width=100%]]}}} || ||<|2> '''출생''' ||[[1936년]] [[3월 18일]] || ||[[남아프리카 연방]] 트란스발주 [[요하네스버그]] || ||<|2> '''사망''' ||[[2021년]] [[11월 11일]] (향년 85세) || ||[[남아프리카 공화국]] [[웨스턴케이프|웨스턴케이프주]] [[케이프타운]] || ||<|2> '''재임기간''' ||제7대 대통령 || ||[[1989년]] [[8월 15일]] ~ [[1994년]] [[5월 10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모''' ||아버지 얀 데 클레르크[br]헨드리카 코르넬리아 코에처 || ||<|2> '''배우자''' ||마리케 데 클레르크 {{{-2 (1959년 결혼 / 1996년 이혼)}}} || ||엘리카 조지아데스 {{{-2 (1999년 결혼)}}} || || '''자녀''' ||3명 || || '''학력''' ||[[포체프스트롬 대학교]] {{{-2 ([[법학]] / [[학사]])}}}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남아프리카 연방)] → [include(틀:국기, 국명=남아프리카 공화국)] || || '''소속 정당'''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6522; font-size: .9em" [[국민당(남아프리카 공화국)|{{{#fff '''국민당'''}}}]]}}} ||}}}}}}}}} || [목차] [clearfix] == 개요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정치인]]으로 [[대통령]]을 지냈다. [[넬슨 만델라]]와 함께 [[아파르트헤이트]]를 종식했으며, 현재까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마지막 백인 대통령이기도 하다. == 생애 == 1936년 [[요하네스버그]]에서 정치인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1958년]] 포체프스트롬 대학교 졸업으로 법학 학위 취득 후, 하우텡주의 소도시인 베레니깅에서 법률사무소를 세우고 변호사로 근무하였고 1972년 국민당 선거에 출마, 당선되면서 정치인이 되었다. 그 후 주요 부의 장관을 지냈다. 1989년 8월 15일 건강이 나빠진 [[피터르 빌럼 보타|P. W. 보타]]가 국민당 총재와 대통령 자리에서 물러나자 국민당 총재로 취임했다. 같은 해 9월에 열린 선거에서 후임 남아공의 제7대 대통령으로 당선되어 취임하였다. 당시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아파르트헤이트로 국내외 여론의 압박을 받던 상황에서 대통령으로 취임한 클레르크는 아파르트헤이트를 폐지하기 위한 업적을 남겼는데, 1990년에 [[아프리카 국민회의]]의 합법화 선언, [[1964년]]부터 [[무기징역]]을 선고받아 수감중이던 '46664' [[넬슨 만델라]]를 석방했다. || [youtube(SVidugsl-FY)] || [youtube(wcQ9GqJUiDY)] || || 투표와 관련한 클레르크 대통령의 연설이 나오는 뉴스(아프리칸스어) || 백인을 대상으로 한 투표일에 투표하는 장면이 나오는 뉴스(영어) || ||<-2> 1992년 백인을 대상으로 한 아파르트헤이트 종식을 위한 국민투표 관련 보도 || ||[youtube(HlJnm_rpt5Y)]|| || 1993년 만델라와 함께 노벨 평화상을 수상한 클레르크 대통령 || 1992년에는 백인을 대상으로 아파르트헤이트 철폐에 관한 투표가 있었으며 투표 참여자의 [[https://www.donga.com/news/List/Series_70030000000134/article/all/20080318/8556423/1|68.7%가 투표에서 아파르트헤이트 철폐에 찬성]]했다. 1993년에는 흑인들에게 투표권을 부여하는 법안을 통과하도록 했으며, 같은 해에 넬슨 만델라와 함께 [[노벨평화상]]을 수상했다. 또한 선대 정권 시절 이스라엘의 지원을 받아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핵개발]]을 통해 보유했던 핵무기를 자진 폐기하는 비핵화를 달성하는 업적도 남겼다. 1994년 4월 27일 인종에 상관없는 총선이 실시되었으며, 같은 해 5월 10일 [[넬슨 만델라]]가 남아공 제8대 대통령으로 취임하면서 부통령 겸 대리 통령[* 만델라가 부통령으로 클레르크와 [[타보 음베키]]를 공동으로 뽑았고 이들 중 클레르크를 대리 통령으로 임명하여 대통령이 해외순방중이거나 공석일 때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도록 했다.]이 되었으며 1997년 정계를 은퇴했다. 그 후 조용히 [[케이프타운]]의 Fresnaye라는 곳에서 여생을 보냈고 간간히 [[경제자유투사당]]과 같은 극단적인 흑인 민족주의 세력과 [[백인우월주의]] 극우 세력에게 공격 받았지만[* [[아파르트헤이트]]를 철폐하고 백인 정권을 종식시킨 것으로 인해 백인우월주의자들에게 평생동안 배신자, 매국노로 낙인찍혔다.] 2021년 6월에 중피종을 선고받고 투병하다 2021년 11월 11일에 사망했다. 그의 죽음으로 아파르트헤이트가 철폐된 남아공의 양대 국부(넬슨 만델라, 프레데리크 빌럼 데 클레르크)가 모두 고인이 되었다. 장례는 가족장으로 치렀다.[[https://m.yna.co.kr/view/AKR20211115163800099?section=international/all|#]] 따로 추도식까지 가졌다.[[https://m.yna.co.kr/view/AKR20211213159800099?section=international/all|#]] [[분류:1936년 출생]][[분류:2021년 사망]][[분류:네덜란드계 남아프리카 공화국인]][[분류: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남성 정치인]][[분류: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대통령]][[분류:네덜란드계 남아프리카 공화국인]][[분류:요하네스버그 출신 인물]][[분류: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변호사]][[분류:노벨평화상 수상자]][[분류:법조인 출신 정치인]][[분류:암으로 죽은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