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프랑스의 화학자]][[분류:노벨화학상 수상자]][[분류:프랑스의 남성 정치인]][[분류:1900년 출생]][[분류:1958년 사망]][[분류:파리 출신 인물]][[분류:레지옹 도뇌르 훈장/코망되르]] [include(틀:노벨화학상 역대 국가별 수상자)] ||<-2> '''{{{+1 프레데리크 졸리오퀴리}}}[br]Frédéric Joliot-Curi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Joliot-Curie_Harcourt_1948_2.jpg|width=100%]]}}} || || '''본명''' ||장 프레데리크 졸리오[br]Jean Frédéric Joliot|| ||<|2> '''출생''' ||1900년 3월 19일|| ||[[프랑스 제3공화국]] [[파리(프랑스)|파리]]|| ||<|2> '''사망''' ||1958년 8월 14일 (향년 58세)|| ||[[프랑스 제4공화국]] [[파리(프랑스)|파리]]|| || '''직업''' ||물리학자|| || '''모교''' ||파리 대학교|| || '''수상''' ||노벨 화학상 {{{-2 (1935)}}}[br]왕립학회 외국인 회원 {{{-2 (1946)}}}[br]휴즈 메달 {{{-2 (1947)}}}|| || '''배우자''' ||[[이렌 졸리오퀴리]] ^^(1926년 ~ 1956년, 사별)^^|| || '''자녀''' ||[[엘렌 랑주뱅졸리오]][br][[피에르 졸리오]]|| [목차] [clearfix] == 개요 == [[프랑스]]의 물리학자. == 생애 == [[마리 퀴리]]와 [[피에르 퀴리]]의 딸이자 과학자인 [[이렌 졸리오퀴리]]의 남편이다. 결혼 전 본명은 장 프레데리크 졸리오(Jean Frédéric Joliot). 본인이 [[마리 퀴리]]의 제자였고, 그의 딸인 이렌과 결혼하면서 스승을 존경해 그의 성을 후대에도 남기고 싶다는 이유로 아내가 남편 성을 붙이는 [[프랑스]]의 일반적인 관습과는 달리 자신도 아내의 성을 붙였다. 결혼 후에도 연구에 전념하였으며, 1935년에 인공 방사성 원소의 연구로 부인인 이렌 졸리오퀴리와 함께 [[노벨화학상]]을 탔다. 마리가 노벨상을 받을 때와 마찬가지로, 이때 언론은 "남편 잘 둬서 노벨상을 받았다"며 이렌을 깠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나치 독일]]이 [[프랑스]]를 점령했을 당시에는 이렌과 함께 프랑스에 머물렀으며, 이때 [[레지스탕스]]의 활동을 몰래 지원하기도 했다. 프랑스어 위키나 [[https://www.eugensystems.com/divisions-festung-gros-paris/|야사]]에 따르면 당시 졸리오퀴리는 과학자로서 능력을 살려 프랑스 레지스탕스를 위해 지하 무기 제작일을 했는데, 던지기 전에 불을 당길 필요가 없이 병 안에 섞어놓은 황산으로 깨지자마자 알아서 불이 붙는, "[[몰로토프 칵테일|졸리오퀴리 칵테일]]이라 불린 업그레이드판 [[화염병]]을 개발했다고 한다. 훌륭한 과학자이기도 했지만, 정계에 몸 담으면서 구설에도 오른 사람이다. 2차대전 이후에는 [[핵무기|핵의 군사적 사용]]에 반대하는 운동에 참여했고, 러셀-아인슈타인 선언에도 중요한 서명자 중 하나로 참여했다. [[프랑스 공산당]] 당원이었고 [[스탈린]] 정권의 실체가 알려진 이후 탈당하였지만, 어쨌든 공산주의자였다는 점에서 미국에서는 달갑게 여기지 않았다고 한다. [[버트런드 러셀]]이 남긴 기록에 따르면 러셀-아인슈타인 선언 당시 핵의 무기화로 인한 위험(특히 장기간에 걸친 방사능의 위험)을 경고하기 위한 풍자적 표현으로써 '(핵무기의 피해를 입은 사람 중에서) 운이 좋은 소수는 즉사할 것이고, 그보다 운이 좋지 못한 사람들은 오랜 고통 속에서 서서히 죽어갈 것이다' 라는 표현이 사용된 것에 대해 '어찌됬건 사람의 죽음을 행운이라고 볼 수는 없다' 라고 하며 불쾌감을 표시한 정도가 아니라 해당 표현을 문제삼아 서명을 거절했다가 그 표현이 삭제되자 서명했다고 할 정도로 매우 강력한 거부감을 보였다고 한다. 이 점에서 보면, [[엄근진|풍자나 비꼬기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 진지한 성격]]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퀴리 일가에 대한 상당한 팬이어서 퀴리 연구소로 들어왔고, 거기서 이렌을 만났다. 얼굴이 잘생겨서 퀴리 연구소에서도 미남으로 유명했다고 한다. 전후에는 프랑스 원자력청 장관까지 지냈으며, 이렌이 죽은 후 2년 만에 세상을 떠났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마리 스크워도프스카 퀴리, version=349, paragraph=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