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식물족]][[분류:유희왕/OCG/융합 소환]] [[유희왕]]의 최상급 융합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프레데터 플랜츠)] [목차] == 설명 == === 원작 === [[파일:PredaplantChimerafflesia-JP-Manga-AV-NC.png]] || 한글판 명칭 ||<-4>'''프레데터 플랜츠 키메라플레시아'''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ruby(捕食植物, ruby=プレデター・プランツ)]キメラフレシア'''|| || 영어판 명칭 ||<-4>'''Predator Plant Chimera Rafflesia'''|| ||<-5> [[융합 소환|융합]]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7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어둠|어둠]] || [[식물족]] || 2500 || 2000 || ||<-5>식물족 몬스터 × 2[br]이 카드의 공격 선언시에 발동할 수 있다. 턴 종료시까지, 공격 대상이 되는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을 원래 공격력으로 되돌리고, 그 공격력의 차이만큼 이 카드의 공격력을 올린다.|| [[유희왕 ARC-V(코믹스)|유희왕 ARC-V 코믹스]] 9화에서 [[사카키 유우야]]의 몸을 빌린 [[유리(유희왕)|유리]]가 [[시운인 소라]]와의 듀얼 중 사용. [[펜듈럼 퓨전]]의 효과로 [[EM(엔터메이트)#EM 바라드|EM 바라드]], [[EM(엔터메이트)#EM 바라쿠다|EM 바라쿠다]][* 둘 다 꽃을 모티브로 한 몬스터다.]를 융합하여 융합 소환되었다. [[EM(엔터메이트)#EM 핸사무라이거|EM 핸사무라이거]]를 장착한 [[데스완구 시저 베어]]를 원래 공격력으로 되돌리고, 그 수치인 1000만큼 공격력을 올려 전투로 파괴했다. 다음 턴 [[데스완구#데스완구 데어데블|데스완구 데어데블]]의 공격에 파괴되었다. 이때 미남형 몬스터인 바라드랑 바라쿠다를 소재로 한 것을 보고 "꽃미남과 꽃미남이 융합하면...!"이라고 기대한 유즈를 저버리고 이 몬스터가 나와 네타가 됐다.--꽃이긴 하다-- [[음악의 제왕|전혀 안 어울리는 것들끼리 융합할 때 뜬금없이 키메라플레시아가 나오는 식.]] 공격명은 '서포트 손([ruby(紫炎の棘, ruby=サポート・ソーン)])'. 모티브는 [[키메라|키메'''라''']] + [[라플레시아|'''라'''플레시아]]. 공교롭게도 유리가 사용하는 [[스타브 베너미 드래곤]]과 공격력 / 수비력이 같다. === [[유희왕/OCG|OCG]]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2933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융합=, 한글판명칭=프레데터 플랜츠 키메라플레시아, 일어판명칭=捕食植物(プレデター・プランツ)キメラフレシア, 영어판명칭=Predaplant Chimerafflesia, 속성=어둠, 레벨=7, 공격력=2500, 수비력=2000, 종족=식물족, 소재="프레데터 플랜츠" 몬스터 + 어둠 속성 몬스터, 효과1=①: 1턴에 1번\, 이 카드의 레벨 이하의 레벨을 가지는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제외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상대의 앞면 표시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하는 공격 선언시에 발동할 수 있다. 턴 종료시까지\, 그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은 1000 내리고\, 이 카드의 공격력은 1000 올린다., 효과3=③: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다음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융합" 마법 카드 또는 "퓨전" 마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프레데터 플랜츠라 칭해지는 몬스터를 본뜬 필드 파츠.''' >'''구멍에 빠진 것은 먹혀 사라져버리는 듯하지만,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비공식 용어#샐비지|이번에는 다시 빼낼 수 있는 것 같다]].''' >---- >[[유희왕 마스터 듀얼]] 필드 파츠 플레이버 텍스트 OCG화되면서 프레데터 플랜츠 몬스터 + 어둠 속성 몬스터로 소재 조건이 완전히 바뀌어서 [[펜듈럼 퓨전]]으로 원작 재현은 불가능해졌다. 대신 원작에선 없었던 ①③의 효과가 추가됐다. ①의 효과는 필드의 레벨 7 이하의 몬스터를 코스트 없이 제외할 수 있고, 제외 이후 어떠한 공격의 제약도 없다. 다만 레벨 8 이상 혹은 엑시즈 / 링크 몬스터에겐 안 먹히고, 저레벨 몬스터도 이런 몬스터를 소환하기 위한 포석으로 필드에 머물러 있는 게 적으니, 고레벨의 경우엔 포식 카운터를 잘 올려서 처리해야 할 것이다. ②의 효과는 [[가가가 간맨]]의 융합 몬스터 버전. 원작에선 '이 카드가 배틀할 때,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은 원래 수치가 되고 그만큼 이 카드의 공격력을 (배틀이 끝날 때까지) 올린다' 였는데, 작중에선 공격력 3200의 [[데스토이 시저 베어]]를 공격력 2200으로 만들고 변화된 수치인 1000만큼 이 카드의 공격력을 올렸고, 그게 OCG 효과에 반영됐다. 사실상 공격력 4500 미만의 몬스터는 전투로 전부 처리할 수 있다. ③의 효과는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진 턴의 다음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동이라 비슷한 효과들이 [[SNo.39 유토피아 더 라이트닝]]에 맥을 못추는데 비해 이 카드는 안심하고 효과를 발동할 수 있으며, 다양한 융합, 퓨전 마법 카드를 가져올 수 있어 후속 전개에 도움이 된다. 사이버 다크 덱에서도 용병으로 채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사이버 다크 클로]]를 장비한 몬스터로 전투를 실행할 때 이 카드를 덤핑하면 다음 스탠바이 페이즈에 [[오버로드 퓨전]] 카드를 서치할 수 있으므로 클로의 덤핑&퓨전 서치용으로 채용이 된다. [[인스턴트 퓨전]]-[[사우전드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등 제압력, 견제력이 우수한 어둠 속성 몬스터들을 채용함으로써 운용하는 방법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성능이 괜찮은 썬듀 킨지와 함께 다른 덱에 용병으로 갈 수도 있다. 강력한 제거 효과+우수한 전투력+후속 전개 보조+쉬운 소환 조건으로 인해 사실상 스타브 베놈 퓨전 드래곤을 제외한 프레데터 플랜츠의 진 에이스. 필드 융합이 강제되는 스타브 베놈 퓨전 드래곤보다도 자주 튀어나온다. [[드래그마]]의 엑스트라 덱 덤핑 효과에 연계하거나 카운터하는 목적으로 초융합을 서치하는 용도로 채용되기도 한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부스터 스페셜|ブースターSP]] -[[퓨전 엔포서즈|フュージョン・エンフォーサーズ]]- || SPFE-JP009 || [[슈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링크 브레인즈 팩|LINK VRAINS PACK]] 3 || LVP3-JP072 || [[레어(유희왕)|레어]] || 일본 || || || [[퓨전 엔포서즈|Fusion Enforcers]] || FUEN-EN009 || [[시크릿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부스터 스페셜|부스터 SP]] [[퓨전 엔포서즈]] || SPFE-KR009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링크 브레인즈 팩]] 3 || LVP3-KR072 || [[레어(유희왕)|레어]] || 한국 ||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프레데터 플랜츠, version=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