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레드 린의 수상 경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3>
[[파일:1975 MLB 올스타전 로고.gif|height=70]][[파일:1976 MLB 올스타전 로고.gif|height=70]][[파일:1977 MLB 올스타전 로고.gif|height=70]][br][[파일:1978 MLB 올스타전 로고.gif|height=70]][[파일:1979 MLB 올스타전 로고.gif|height=70]][[파일:1980 MLB 올스타전 로고.gif|height=70]][br][[파일:1981 MLB 올스타전 로고.gif|height=70]][[파일:1982 MLB 올스타전 로고.png|height=65]][[파일:1983 MLB 올스타전 로고.gif|height=70]][br]'''메이저 리그 베이스볼[br]올스타''' ||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1975년|{{{#ffffff 1975}}}]]'''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1976년|{{{#ffffff 1976}}}]]'''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1977년|{{{#ffffff 1977}}}]]''' ||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1978년|{{{#ffffff 1978}}}]]'''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1979년|{{{#ffffff 1979}}}]]'''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1980년|{{{#ffffff 1980}}}]]''' ||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1981년|{{{#ffffff 1981}}}]]'''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1982년|{{{#ffffff 1982}}}]]'''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1983년|{{{#ffffff 1983}}}]]''' || ---- [include(틀:보스턴 레드삭스 명예의 전당)] ---- ||<-5>
[[아메리칸 리그|[[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1975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MVP}}}''' || || [[제프 버로우스]][br]([[텍사스 레인저스]]) || → || '''프레드 린[br]([[보스턴 레드삭스]])''' || → || [[서먼 먼슨]][br]([[뉴욕 양키스]]) || ---- ||<-5>
[[아메리칸 리그|[[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1975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신인왕}}}''' || || [[마이크 하그로브]][br]([[텍사스 레인저스]]) || → || '''프레드 린[br]([[보스턴 레드삭스]])''' || → || [[마크 피드리치]][br]([[디트로이트 타이거스]]) || ---- ||<-5>
[[아메리칸 리그|[[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1979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타격왕}}}''' || || [[로드 커류]][br]([[미네소타 트윈스]]) || → || '''프레드 린[br]([[보스턴 레드삭스]])''' || → || [[조지 브렛]][br]([[캔자스시티 로열스]])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690810636139.jpg|width=100%]]}}} || ||<-2> '''{{{+2 프레드릭 마이클 린}}}[br]Fredric Michael Lynn''' || ||<|2> '''출생''' ||[[1952년]] [[1월 3일]] ([age(1952-01-03)]세) || ||[[일리노이|일리노이 주]] [[시카고]]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학력''' ||엘 몬테 고등학교 -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 || || '''신체''' ||185cm / 83kg || || '''포지션''' ||[[외야수]] || || '''투타''' ||[[좌투좌타]] || || '''프로입단''' ||~~1970년 드래프트 3라운드 ([[뉴욕 양키스|NYY]])~~ [br] 1973년 드래프트 2라운드 ([[보스턴 레드삭스|BOS]]) || || '''소속팀''' ||'''[[보스턴 레드삭스]] (1974~1980) [br]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캘리포니아 에인절스]] (1981~1984)''' [br] [[볼티모어 오리올스]] (1985~1988) [br] [[디트로이트 타이거즈]] (1988~1989) [br]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1990) || [목차] [clearfix] == 개요 == MLB 최초의 신인왕과 MVP를 같은 시즌에 수상한 인물이다. == 선수시절 == 루키 시즌은 15게임밖에 출전하지 않았기에, 신인 자격을 상실하지 않았다. 풀타임 첫해인 1975년에 23살의 나이로 타 .331, 출 .401, 장 .566, OPS .967, wRC+ 161, fWAR 7.1, bWAR 7.4을 찍고, 만장일치에서 1표 모자른 신인왕 및 MVP를 수상하였다. 커리어 하이 시즌은 1979년으로서, 27살의 나이로 타 .333, 출 .423, 장 .637, OPS 1.059, wRC+ 174, fWAR 8.6, bWAR 8.8을 찍었다. 1979년의 MVP는 양쪽에서 모두 논란거리였다. 그 해 수상자는 AL에선 [[돈 베일러]], NL에선 [[키스 에르난데스]]와 [[윌리 스타젤]]이 공동 수상했는데 굉장히 어이없는 성적이었다. 그 해 fWAR 순위에서 양 리그 1위는 NL에서 [[J.R. 리차드]](8.8), AL에서는 린(8.6)이었다. 하지만 리차드는 NL 19위에 그쳤고, 린은 AL 4위에 그쳤다. 더 놀라운 건 NL MVP에 오른 윌리 스타젤은 적어도 그 해엔 NL fWAR 타자 부분에서만 따져도 35위에 머문 선수였다는 것. 무엇보다도 MVP급과는 거리가 먼 2.7 fWAR를 찍었다. 심지어 규정타석도 기록하지 못했던 선수였다(480타석). 실제로 [[빌 제임스]]는 가장 멍청한 1970년대 MVP 선정을 윌리 스타젤의 1979년이라고 언급했을 정도였다. [[돈 베일러]] 또한 AL fWAR 타자 부분 25위에 그친 타자이다. 그런데도 두 선수가 MVP를 수상한 이유는 딱 하나. 바로 팀 성적이었다. 포스트 시즌에 진출했었기 때문에[* 특히 스타젤은 젊은 선수들이 많던 피츠버그 팀 분위기를 주도하는 아버지와도 같은 존재였고 인품에 대한 평판도 훌륭한 베테랑이었기에 성적 이상으로 주목을 받았다.] 이 상을 수상했다. 1947년의 AL MVP 데자뷰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었다.[* 적어도 그 해는 [[조 디마지오]]가 받아서는 절대 안 되는 상황이었다.] 그나마 논란에서 자유로운 선수는 키스 에르난데스였다. NL 전체 2위의 fWAR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2016년의 MLB 기자들이라면 아마 린, 브렛, 리차드, 에르난데즈 중 2명을 골랐을 것이다.[[http://bethnumber2.blogspot.kr/2016/01/best-season-1979.html|#]] 그 외에는 평범한 성적을 기록, 명전에도 들어가지 못하였다. 1996년에 첫 후보로 올라 5.5%의 득표율을 기록했고 다음 해에 4.7%를 기록하는데 그치며 바로 탈락했다. 사실 초년병 이후 성적이 다소 평범했던 건 무릎 수술만 3차례 받은 걸 포함해 발가락, 허리, 햄스트링 부상 등 엄청난 유리몸이었기 때문.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MLB MVP]][[분류:1952년 출생]][[분류:1974년 데뷔]][[분류:1990년 은퇴]][[분류:시카고 출신 인물]][[분류:좌투좌타]][[분류:외야수]][[분류:보스턴 레드삭스/은퇴, 이적]][[분류: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은퇴, 이적]][[분류:볼티모어 오리올스/은퇴, 이적]][[분류:디트로이트 타이거스/은퇴, 이적]][[분류:샌디에이고 파드리스/은퇴, 이적]][[분류: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 출신]][[분류:MLB 신인왕]][[분류:챔피언십 시리즈 MV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