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디시인사이드 마이너 갤러리]][[분류:Project Moon]][[분류:인터넷 방송 커뮤니티]] [include(틀:오덕갤)] [include(틀:Project Moon 디시인사이드 커뮤니티)] ||<-2>
{{{#ffffff,#dddddd '''{{{+1 프로젝트문 인방 마이너 갤러리}}}[br]{{{-1 Project Moon Live Streaming Minor Gallery}}}'''}}}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688229253.jpg |width=100%]]}}}|| || '''{{{#ffffff,#dddddd 개설일}}}''' ||[[2023년]] [[6월 26일]]|| || '''{{{#ffffff,#dddddd 분류}}}''' ||[[디시인사이드/마이너 갤러리|디시인사이드 마이너 갤러리]]|| || '''{{{#ffffff,#dddddd 카테고리}}}''' ||미디어|| || '''{{{#ffffff,#dddddd 주제}}}''' ||[[Project Moon]] 관련 인터넷 방송|| || '''{{{#ffffff,#dddddd 현재 상황}}}''' ||운영 중|| || '''{{{#ffffff,#dddddd 주소}}}'''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lists?id=projectmooninternet|[[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svg|width=25]]]]|| [목차] [clearfix] == 개요 == [[Project Moon]] 관련 인터넷 방송이나 방송인을 다루는 디시인사이드의 마이너 갤러리. 약칭은 프방갤, 혹은 인방갤.[* 주로 [[로보토미 코퍼레이션 마이너 갤러리|롭갤]] 등에서 이렇게 부른다.] == 역사 == [[Limbus Company]] 출시 이후 프문겜들을 찍먹해보는 스트리머들이 늘어나기 시작했고, 이로 인해 [[로보토미 코퍼레이션 마이너 갤러리|롭갤]]에 인방떡밥이 꾸준히 돌기 시작했다. 물론 대부분의 게임갤이 그렇듯 인방떡밥을 금지하고 탄압했으나 이에 대해 불만을 가진 소수가 계속 인방떡밥을 돌렸고, 결국 이 상황을 멈추기 위해 [[림버스 컴퍼니 마이너 갤러리|림갤]] 파딱 한명이 아예 프문게임 전용 인방갤인 '프로젝트문 인방 마이너 갤러리'를 개설하였다. 덕분에 인방떡밥을 다루고 싶은 이용자들은 탄압없이 마음껏 인방이야기를 할 수 있게되었고, 롭갤에서도 더이상 인방떡밥이 돌지 않게 되어서 두쪽 다 만족스럽게 해결되었다. 화력이 강한 [[Project Moon]] 팬덤답게, 갤러리가 개설된지 몇 주도 안 되어서 흥한갤 206위를 찍을 정도로 갤이 빨리 활성화되었다. 그러나 스토리 추가 사이의 공백기에 할 게 없는 림버스 컴퍼니의 특성상 유명 스트리머들이 최신 스토리까지 전부 플레이한 후에는 갤 화력이 줄어들고 다시 신규 스토리가 추가되어 스트리머들이 림버스를 켜면 갤이 활성화되는 주기성을 가지고 있다. [[림버스 컴퍼니 원화가 트위터 남성혐오 논란]] 이후 한때 갤주 취급까지 받던 [[앵보]]를 비롯한 여성 시청자 비율이 높은 스트리머들이 [[Limbus Company]] 방송을 중단해버리는 바람에[* 앵보가 불미스러운 이유로 게임을 접었음에도 갤 여론은 앵보에게 동정적인 편이다. 앵보가 게임을 아주 좋아했지만 여초 스트리머의 특성상 림버스 방송을 계속 하기에는 리스크가 크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앵보는 림버스 방송을 접은 이후에도 혼자 림버스를 계속 플레이하고는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갤떡밥이 증발해버려서 큰 타격을 입었다. 이후 [[과로사(인터넷 방송인)|과로사]]의 로보토미, 라오루, 림버스 방송이 큰 인기를 끌며 한동안 과로사가 갤주 취급을 받았고, 5장 출시 이후 여러 스트리머가 다시 림버스 방송을 시작했고 [[2023년 남성혐오 표현 연쇄 파동]]의 반사 이익으로 림버스 컴퍼니 유입이 늘어나자 갤이 활성화되었다. 2023년 10월 17일에 1대 프방갤 주딱이 롭갤과의 갈등으로 인해 여론이 안좋아져서, 주딱 자리를 넘겨주고 퇴임하였다. == 특징 == [[Project Moon]] 관련 인터넷 방송이나 방송인에 관한 이야기를 다룬다. 주로 [[Limbus Company]]를 플레이하는 스트리머들을 다루며, [[왈도쿤]]이나 [[앵보]]처럼 리액션 반응이 좋은 스트리머들이 갤 내에서 인기가 많다. 현재는 계모임의 림버스가 끝난 이후 [[과로사(인터넷 방송인)|과로사]]의 방송이 인기가 있는 편. 프로젝트 문 게임을 방송하는 유명 스트리머들로 [[갤주]]가 계속 교체된다. 초기에는 [[따효니]], [[왈도쿤]], 슈나쟝이 갤주였으나 따효니가 림버스를 접은 이후 앵보의 림버스 방송이 인기를 끌면서 앵보가 따효니의 자리를 차지했다.[* 상단의 구 대문 이미지가 그 시절의 사진인데, 앵보 뒤에 있는 노란색 무언가가 따효니의 옷이다.] 앵보가 림버스 방송을 접은 이후 [[델로략국]], [[샘웨]], [[과로사(인터넷 방송인)|과로사]] 등이 갤주 자리를 거쳐왔다. == 성향 == * 기본적으로 림쌤이라 불리는 무개념 프로젝트문 팬덤을 혐오한다. * 프로젝트 문 게임을 방송한다 하면 채팅으로 장문의 훈수를 두거나 중대한 스포일러를 발설해버리거나 불필요한 TMI를 주절주절 늘어놓으면서 몰입을 방해하는 무개념 팬덤들이 몰려오고, 이 때문에 방송 분위기가 엉망이 되며 시청자들 간에 투기장이 열린다. 이런 일부 무개념 팬들의 패악질은 [[언더테일]]처럼 좋은 평가를 받으며 유행을 탄 인디 개발사의 게임이 으레 겪는 통증 중 하나다. 기본적으로 인방+프문 팬들이 집합한 갤러리여서 이런 악질 팬덤에 대한 인식이 매우 좋지 않고, 그래서 림쌤들이 TMI 도네이션 등으로 분위기를 싸하게 만들면 욕하는 글이 몇 분만에 수십개나 달린다. * [[계모임(스트리머 크루)|계모임]]을 좋아하는 이용자들이 많다. [[앵보]], [[왈도쿤]], [[델로략국]] 같이 계모임 멤버들 중에서 [[Limbus Company]]를 즐겨하는 스트리머들이 많으며 나머지 멤버들도 한 번 이상은 프문 게임을 플레이 해봤기 때문이다. == 갤러리 용어 == * '''림쌤''', '''림뚜기''': 근쌤, 메뚜기에서 유래한 용어로, 성향 목록에 적혀있는 내용처럼, Project Moon 악성 팬덤들을 가르키는 용어다. * 자경단: 림쌤짓을 하는 시청자들한테 채팅창이나, 도네이션으로 욕을 박거나 꼽을 주는 시청자들을 가르키는 용어. 물론 이 쪽도 림쌤들처럼 방 분위기를 싸하게 만들기 때문에, 갤에서 이미지가 안 좋은 편이다. 림쌤들이 하는 행동 때문에 화나는건 이해가 되지만, 방 분위기를 위해서라도, 채팅창이나 도네이션으로 대놓고 꼽을 주는 행위는 자제하자. 차라리 개인 메세지로 행동을 지적해주는 편이 좋다. 림쌤 문제가 심화되면서 자경단에 대한 불호 의견은 줄고 있다. * ~~[[앵보]]~~: [[델로략국]]이 [[구보(Project Moon 세계관)|구보]]를 보고 '언럭키 [[앵보]]'라고 부른 것을 계기로 생긴 밈.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projectmooninternet&no=1813&exception_mode=recommend&page=1|#]] 반대로 앵보는 구보라고 부른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projectmooninternet&no=1811&exception_mode=recommend&page=1|#]] 앵보가 림버스 방송을 접은 이후 사용되지 않는다. * [[구인회(Project Moon 세계관)|구인회]]: 위에 앵보드립에서 파생된 밈으로, [[계모임(스트리머 크루)|계모임]]을 [[구인회(Project Moon 세계관)|구인회]]에 빗대어 표현하는 용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