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그리스 왕국 파블로스의 왕비[br]{{{+1 프리데리케 루이제}}}[br]Friederike von Hannover''' || ||<-3>{{{#!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Frederica of Hanover.jpg|width=100%]]}}}|| ||<|2> '''이름''' || 독일어 ||프리데리케 루이제 티라 빅토리아 마르가리타 조피아 올가 체칠리아 이자벨라 크리스타[br](Friederike Luise Thyra Victoria Margarita Sophia Olga Cecilia Isabella Christa)|| || 그리스어 ||프레데리키[br](Φρειδερίκη)|| || '''출생''' ||<-2>[[1917년]] [[4월 18일]][br][[독일 제국]] [[브라운슈바이크 공국]] 블랑켄부르크|| || '''사망''' ||<-2>[[1981년]] [[2월 6일]] (향년 63세)[br][[스페인 왕국]] [[마드리드]]|| || '''배우자''' ||<-2>[[파블로스]] ,,(1938년 결혼 / 1964년 사망),,|| || '''자녀''' ||<-2>[[그리스와 덴마크의 소피아|소피아]], [[콘스탄티노스 2세]], 이리니|| || '''아버지''' ||<-2>[[에른스트 아우구스트(브라운슈바이크)|브라운슈바이크 공작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 '''어머니''' ||<-2>[[빅토리아 루이제 폰 프로이센|프로이센의 빅토리아 루이제 공주]]|| || '''형제''' ||<-2>[[에른스트 아우구스트 4세|에른스트 아우구스트]], 게오르크 빌헬름, 크리스티안 오스카, 벨프 하인리히|| || '''종교''' ||<-2>[[루터교회]] → [[정교회]] {{{-2 ([[그리스 교회]])}}} || || '''서명''' ||<-2>[[파일:Frederika_of_Hannover_signature.svg.png|width=150]]|| [목차] [clearfix] == 개요 == [[그리스 왕국]] [[파블로스]]의 왕비이자,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3세]]와 [[빅토리아 루이제 폰 프로이센]] 왕녀의 [[고명딸]]. 하노버 가문의 당주인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4세]]의 [[여동생]]이며, [[스페인]]의 [[그리스와 덴마크의 소피아|소피아 왕대비]]와 그리스 왕국의 마지막 국왕 [[콘스탄티노스 2세]]의 어머니이다. 現 스페인 국왕 [[펠리페 6세]]의 외할머니이다. == 작위 == || [[파일:Coat of Arms of Frederica of Hanover.svg|width=200]]|| ||<#B2EBF2> '''문장''' || * 하노버의 프리데리케 공주 전하 Her Royal Highness Princess Frederica of Hanover ([[1917년]] [[4월 18일]] ~ [[1938년]] [[1월 9일]]) * 그리스의 왕세자비 전하 Her Royal Highness the Crown Princess of Greece ([[1938년]] [[1월 9일]] ~ [[1947년]] [[4월 1일]]) * 그리스의 왕비 폐하 Her Majesty the Queen Consort of the Hellenes ([[1947년]] [[4월 1일]] ~ [[1964년]] [[3월 6일]]) * 그리스의 왕대비 폐하 Her Majesty the Queen Mother of Greece ([[1964년]] [[3월 6일]] ~ [[1973년]] [[6월 1일]]) * 그리스의 프레데리키 왕대비 폐하 Her Majesty Queen Frederica of Greece ([[1973년]] [[6월 1일]] ~ [[1981년]] [[2월 6일]]) == 생애 == === 어린 시절 === 1917년 4월 18일 브라운슈바이크 공작 에른스트 아우구스트와 [[빌헬름 2세]]의 [[고명딸]]인 [[빅토리아 루이제 폰 프로이센]] 사이에서 4남 1녀 중 셋째이자 [[고명딸]]로 태어났다. 가족들 사이에서는 프레디(Freddie)라는 애칭으로 불렸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667309948035.jpg|width=100%]]}}} || || 어린 시절의 프리데리케 공주 || 태어난 지 얼마 안 된 1918년, 독일이 [[제1차 세계대전]]에서 패배한 이후 아버지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3세]]는 브라운슈바이크 공작위에서 물러났고, 외할아버지 [[빌헬름 2세]] 또한 [[독일 제국]]의 황제 자리에서 폐위당했다. 할아버지 하노버 왕세자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2세]]도 영국의 왕자 작위를 박탈당하여 프레데리케 또한 더 이상 영국의 공주 작위를 유지할 수 없었다. 1934년, [[아돌프 히틀러]]는 17살이 된 프리데리케 공주를 [[영국]]의 [[에드워드 8세|에드워드 왕세자]]와 혼인시키려 하였으나, 에드워드 왕세자는 프리데리케 공주보다 23살이나 연상이었고[* [[빅토리아 루이제 폰 프로이센|어머니]]보다도 두 살 어리다. 근데 어머니도 10대 때 에드워드 왕세자와 결혼한다는 소문이 돌기도 했다.(...)] 프레데리케의 부모가 결혼을 원하지 않아 결국 혼담은 성사되지 않았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01.jpg|width=100%]]}}} || || 부모님, 오빠들, 남동생들과 함께[* 왼쪽에서 두 번째가 프리데리케 공주다.] || === 결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1-1023-greekbrides01.jpg|width=100%]]}}} || || 결혼 사진 || 1936년 여름, [[베를린 올림픽]]에 참석한 그리스의 [[파블로스|파블로스 왕자]]는 [[베를린]]에서 프리데리케에게 청혼했다. 두 사람은 나이 차이가 16살 차이였으며(...) [[프리드리히 3세(독일 제국)|프리드리히 3세]]를 기준으로 5촌이었고, [[크리스티안 9세]]를 기준으로는 6촌이었다. 1937년 9월 28일 약혼한 후 1938년 1월 9일 [[아테네]]에서 결혼식을 올렸다. 결혼한 지 열 달 후인 1938년 11월 2일 첫 아이 [[그리스와 덴마크의 소피아|소피아 공주]]를 출산하고[* 귀천상혼 계통을 제외한 빌헬름 2세의 증손주들 중 가장 맏이이다.], 2년 뒤 1940년 6월 2일 둘째 아이이자 그리스의 마지막 군주 [[콘스탄티노스 2세]]를 낳았다. === 전쟁과 망명 === [[제2차 세계대전]]이 한창이던 1941년 그리스 왕족들은 [[그리스 침공]] 때문에 [[크레타 섬]]으로 피신했으나 독일군들은 [[크레타 섬 전투|그곳도 공격했고]], 결국 또 다시 [[런던]]에 [[망명정부]]를 세워야 했다. 망명하는 동안 요르요스 2세를 제외한 그리스 왕족들은 [[남아프리카]]에서 지냈는데 이곳에서 막내딸인 이리니 공주가 태어났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aul-Irene-Sophia-Constantine-Queen-Greece-Frederika-1947.jpg|width=100%]]}}} || || 남편, 아이들과 함께. || 전쟁이 끝난 후 1946년에 [[요르요스 2세]]는 다시 그리스 국왕으로 공식 복위했고 [[파블로스]]와 프레데리키는 피히코에서 거주했다. === 왕비 === 1947년 4월 1일, 시숙 [[요르요스 2세]]가 자녀 없이 사망함으로써 [[파블로스]]와 프레데리키는 각각 그리스 왕국의 왕과 왕비가 되었다. 프레데리키는 독일 혈통이라는 점 때문에 항상 비판을 받아야 했다. 그리스의 좌파 정치인들은 프레데리키의 외할아버지가 [[빌헬름 2세]]이며, 그녀의 오빠와 남동생들도 나치 친위대의 일원이라고 비판했다.[* 큰오빠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4세]]는 아예 '''[[슈츠슈타펠]]'''에까지 가입한 극렬 나치 지지자였고 아버지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3세|브라운슈바이크 공작 에른스트 아우구스트]]는 직접적으로 나치에 가담하진 않았지만 후원금을 보내며 나치의 주요인사들과 친하게 지냈다. 외가인 [[호엔촐레른 가문|독일 황실]]쪽으로 가면 외삼촌들도 대부분 나치에 호의적이였고 그중에서 특히 넷째 외삼촌 [[아우구스트 빌헬름 폰 프로이센|아우구스트 빌헬름]]은 [[SA|돌격대]]에까지 가입한 [[아돌프 히틀러|히틀러]]의 열렬 추종자였다. 그나마 외할아버지 [[빌헬름 2세]]가 점차 나치를 불신하였고 아우구스트 빌헬름도 외인 취급했다. 이렇듯 친가와 외가 할 것 없이 일가친척들이 죄다 나치 지지자였으니 반발이 나오는 것도 무리는 아니였다.] [[파블로스]]의 사촌인 [[필립 마운트배튼]]과 [[엘리자베스 2세|엘리자베스 공주]]의 결혼식에 참석했을 때에는 [[윈스턴 처칠]]이 대놓고 [[빌헬름 2세]]의 외손녀라고 말하고 다녔을 정도. 이에 대해 프레데리키는 "나는 빌헬름 2세의 외손녀이긴 하지만 [[빅토리아 여왕]]의 후손이기도 하며[* 빌헬름 2세는 빅토리아 여왕의 외손자이다.], 만약 [[살리카법]]이 적용되었다면 내 아버지가 영국의 왕이 되었을 것이다.[* 만약 영국에 [[살리카법]]이 적용되었다면 빅토리아 여왕은 여자이기 때문에 왕이 되지 못했을 것이고 [[조지 3세]]의 5남인 하노버 국왕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1세]]가 영국의 왕이 되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1세의 직계 증손자가 프레데리키의 아버지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3세|브라운슈바이크 공작 에른스트 아우구스트]]다.]"라며 강하게 맞대응 했다고 한다. 이후 그리스의 공산주의자들은 [[그리스 내전]]을 일으켰는데 그 동안 프레데리키 왕비는 아이들을 위한 53개의 구호소를 만들기도 했다. 하지만 프레데리키 왕비의 정치 개입은 국내와 외국을 통틀어 많은 비판과 비난을 받았다. === 왕대비 === 1964년 3월 6일, 남편 [[파블로스]]가 암으로 사망하고 아들 [[콘스탄티노스 2세]]가 왕위에 올랐다. 그 해 9월 콘스탄티노스 2세는 [[덴마크]]의 [[아네마리 다우마 잉리드|아네마리 공주]][* [[프레데리크 9세]]와 [[스웨덴의 잉리드 공주|잉리드 왕비]]의 세 딸 중 막내. 현 덴마크 여왕 [[마르그레테 2세]]의 여동생이다.]와 결혼식을 올렸고 프레데리키 왕대비는 많은 권한을 며느리에게 물려준 후 공적 임무에서 물러났다. 하지만 프레데리키는 여전히 논란의 인물로 남아있었으며, 사치와 정치 개입 문제로 많은 비난을 받았다. 74년 민주화 및 국민 투표를 주도한 카라만리스 총리가 63년에 파블로스 국왕 부부와 갈등을 빚다가 사임을 한 사람이고, 국민투표 당시 콘스탄티노스 2세가 TV 연설에서 어머니를 그리스에서 배제하겠다고 약속했었던 점을 보면 프리데리키 왕비가 어떤 면에서는 본의 아니게 그리스 왕정 폐지에 공헌한 셈이다. === 망명과 사망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ettyimages-1135958905-594x594.jpg|width=100%]]}}} || || 말년의 프레데리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프리데리케와 빅토리아 루이제.jpg|width=100%]]}}}|| || 말년에 [[빅토리아 루이제 폰 프로이센|어머니]]와 함께 찍은 사진 || 1967년 4월 [[요르요스 파파도풀로스]] 대령이 군사 쿠데타를 일으키자 [[콘스탄티노스 2세]]는 처음에는 쿠데타 세력을 지지하는 듯 보였으나 그 해 말 역쿠데타를 시도했고, 이것이 실패하자 프리데리케 등 일가족과 함께 그리스를 떠나야 했다. 결국 [[콘스탄티노스 2세]]는 1973년 6월 공식 폐위당했고(7월 29일 [[국민투표]]로 확정), 74년 여름 군사정권 붕괴 이후 12월의 [[왕정복고]] 국민투표도 부결되어 왕위를 되찾지 못했다. 다행히 큰 딸 [[그리스와 덴마크의 소피아|소피아]]가 1975년 11월 스페인의 왕비가 되었고, 이후 프리데리키는 스페인과 런던을 오가며 둘째 딸 이리니와 함께 [[인도]]에서 지내기도 했다. 이후 어머니 [[빅토리아 루이제 폰 프로이센|프로이센의 빅토리아 루이제 공주]]가 사망한 지 두 달 뒤인 1981년 2월 6일 [[마드리드]]에서 눈 수술을 받다 심장발작으로 사망했다. 무덤은 우여곡절 끝에[* 당초 그리스 공화국 정부에서는 프리데리케의 장례를 그리스에서 치르는 것조차 거부했다가 스페인 정부와의 협상 끝에 겨우 성사되었다.] 사망 6일 후인 2월 12일에 남편 파블로스가 묻혀 있는 타토이 궁전[* 그리스 [[아테네]] 근교 타토이에 있는 옛 그리스 왕실의 별장. 왕정 폐지 후 1990년대 분쟁을 걸쳐 옛 왕가에 보상금을 주고 현재는 그리스 공화국 정부가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소송이 끝난 2003년 이후 재개발 논의가 있었지만 [[그리스 경제위기]]로 2023년 현재까지 아직 별 진전이 없다.]에 안장되었다.[* 참고로 콘스탄티노스 전 국왕 일가는 장례식 당일에만 몇 시간 동안 방문이 허용되었다. 이후 1993년 여름에 한 번 일가족이 휴양 명목으로 입국한 적이 있고, [[2004 아테네 올림픽]] 이후에야 비로소 자유로운 입출국이 허용되었다. 그래서 공식적으로는 2013년 이후 전 국왕 부부는 그리스에서 거주하며 노년을 보냈다.] == [[하노버 왕조|가족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하노버 왕조)] === 조상 === || 본인 || 부모 || 조부모 || 증조부모 || ||<|13> [[하노버]]의 프리데리케[br]{{{-2 (Frederica of Hanover)}}} ||<|6> [[브라운슈바이크 공국|브라운슈바이크]] 공작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3세]][br]{{{-2 (Ernest Augustus, Duke of Brunswick)}}} ||<|3>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2세|하노버의 왕세자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2세]][br]{{{-2 (Ernest Augustus, Crown Prince of Hanover)}}} || || [[게오르크 5세]][br]{{{-2 (George V)}}} || || [[작센알텐부르크의 마리|작센알텐부르크의 마리 공녀]][br]{{{-2 (Princess Marie of Saxe-Altenburg)}}} || ||<|3> [[덴마크의 티라|덴마크의 티라 공주]][br]{{{-2 (Princess Thyra of Denmark)}}} || || [[크리스티안 9세]][br]{{{-2 (Christian IX)}}} || || [[헤센카셀의 루이제|헤센카셀의 루이제 공녀]][br]{{{-2 (Princess Louise of Hesse-Kassel)}}} || ||<|7> [[빅토리아 루이제 폰 프로이센|프로이센의 빅토리아 루이제 공주]][br]{{{-2 (Princess Victoria Louise of Prussia)}}} || ||<|3> [[빌헬름 2세]][br]{{{-2 (Wilhelm II)}}} || || [[프리드리히 3세(독일 제국)|프리드리히 3세]][br]{{{-2 (Frederick III)}}} || || [[빅토리아 애들레이드 메리 루이자|프린세스 로열 빅토리아]][* [[빅토리아 여왕]]의 장녀이다.][br]{{{-2 (Victoria, Princess Royal)}}} || ||<|3> [[아우구스테 빅토리아|슐레스비히홀슈타인의 아우구스테 빅토리아 공녀]][br]{{{-2 (Princess Augusta Victoria of Schleswig-Holstein)}}} ||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공작 프리드리히 8세[br]{{{-2 (Frederick VIII, Duke of Schleswig-Holstein)}}} || || 호엔로에랑엔부르크의 아델하이트 공녀[br]{{{-2 (Princess Adelheid of Hohenlohe-Langenburg)}}} || === 자녀 === || '''자녀''' ||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 / 자녀''' || ||<-5> [[파블로스]][br]{{{-2 (Paul)}}} || || '''1녀''' || [[그리스와 덴마크의 소피아|스페인의 소피아 왕비]][br]{{{-2 (Queen Sofía of Spain)}}} || [[1938년]] [[11월 2일]] || || [[후안 카를로스 1세]][br]슬하 1남 2녀[* [[펠리페 6세]] 등] || || '''1남''' || [[콘스탄티노스 2세]][br]{{{-2 (Constantine II)}}} || [[1940년]] [[6월 2일]] || [[2023년]] [[1월 10일]] || [[덴마크]]의 [[아네마리 다우마 잉리드|아네마리 공주]] [* [[프레데리크 9세]]의 3녀이자 [[구스타프 6세 아돌프]]의 외손녀이다.][br]슬하 3남 2녀 || || '''2녀''' || 이리니 공주[br]{{{-2 (Princess Irene)}}} || [[1942년]] [[5월 11일]] || || || [[분류:1917년 출생]][[분류:1981년 사망]][[분류:작센안할트 주 출신 인물]][[분류:그리스 왕비]][[분류:하노버의 공주]][[분류:영국의 공주]][[분류:하노버 가문]][[분류:글뤽스부르크 가문(그리스)]][[분류:왕대비]][[분류:타토이 왕실 묘지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