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 || '''{{{#fff 프리드리히 빌헬름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프로이센 공작)] ---- }}} || ---- ||<-2> '''[[브란덴부르크 선제후국|{{{#fff 브란덴부르크 제18대 선제후}}}]][br][[프로이센 공국|{{{#fff 프로이센 제5대 공작}}}]][br]{{{+1 프리드리히 빌헬름}}}[br]Friedrich Wilhelm'''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Frans_Luycx_-_Frederick_William,_Elector_of_Brandenburg,_at_three-quarter-length.jpg|width=100%]]}}} || ||<|2> '''출생''' ||[[1620년]] [[2월 16일]] ||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 [[베를린]] 베를린 왕궁 || ||<|2> '''사망''' ||[[1688년]] [[4월 29일]] (향년 68세) ||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 [[포츠담]] 포츠담 궁전[* Potsdamer Stadtschloss.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완파되었다가 [[2013년]] 재건되어 현재는 [[브란덴부르크]]주 의회의사당으로 사용중이다.] || ||<|2> '''재위기간''' ||<#f5f5f5,#2d2f34>[[브란덴부르크 선제후국|브란덴부르크 선제후]] 겸 [[프로이센 공국|프로이센 공작]] || ||[[1640년]] [[12월 1일]] ~ [[1688년]] [[4월 29일]][br](47년 4개월 4주 1일, 17,316일) || || '''서명'''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프리드리히 빌헬름 서명.svg|height=50]]}}}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모''' ||아버지 [[게오르크 빌헬름]][br]어머니 팔츠의 엘리자베트 샤를로테 || ||<|2> '''배우자''' ||나사우의 루이제 헨리에테 ,,(1646년 결혼 / 1667년 사망),, ||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글뤽스부르크의 도로테아 조피 ,,(1668년 결혼),, || || '''자녀''' ||카를 에밀, [[프리드리히 1세(프로이센)|프리드리히 1세]], 필리프 빌헬름, 마리 아멜리아, 알브레히트 프리드리히, 카를 필리프, 엘리자베트 조피, 크리스티안 루트비히 || || '''형제자매''' ||루이즈 샤를로테, 헤드비그 조피 || || '''가문''' ||[[호엔촐레른 가문]] || || '''종교''' ||[[칼뱅파]] || || '''별칭''' ||[[대선제후]](Große Kurfürst) ||}}}}}}}}} || [목차] [clearfix] == 개요 ==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 동군연합의 선제후. 흔히 "대(大) [[선제후]](Der Große Kurfürst)"라고 불린다. [[상비군]] 제도와 [[중상주의]], [[절대왕정]]을 기반으로 미래의 [[프로이센 왕국]] 발전 기반을 닦았다. == 생애 ==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게오르크 빌헬름]]과 [[팔츠 선제후국|팔츠]]의 엘리자베트 샤를로테 사이에서 태어났다. 태어난 시기가 독일 전역을 초토화 시킨 [[30년 전쟁]]이 벌어질때라 [[브란덴부르크 선제후국]]도 황폐화 되었다. [[수도(행정구역)|수도]] [[베를린]]을 떠나 퀴스트린[* 현재는 [[독일]] [[브란덴부르크]]주와 [[폴란드]] [[루부스키에]]주로 갈라졌다. 요새는 폴란드 영토인 코스트신나트오드롱(Kostrzyn nad Odrą)에 있었는데 [[제2차 세계 대전]] 때 대부분 파괴되어 현재는 일부만 남아있다.] 요새에서 지냈고 그곳에서 [[개혁주의|칼뱅교식]] 교리에 따라 교육받았다.[* 원래 브란덴부르크는 [[루터파]] 국가였으나 할아버지 [[요한 지기스문트]]가 율리히-클레베-베르크 공국 상속을 위해 [[네덜란드 공화국|네덜란드]]의 도움을 받을 목적으로 개종했다. 신앙심의 문제가 아니었다보니 신민들이 계속 루터파를 믿도록 내버려두었고 개종을 강요하지도 않았다.] 이후 어머니의 외할아버지가 [[네덜란드 공화국|네덜란드]]의 [[빌럼 1세(오라녀)|빌럼 1세 판 오라녀]]이었던 인연으로 14세부터 18세까지 네덜란드 유학을 떠나서 [[레이던 대학교]]에서 수학했고, 미래의 장인 어른이 되는 '오라녜 공 [[프레데리크 헨드리크]][* 빌럼 1세 판 오라녀와 그의 네번째 아내 사이에서 태어난 빌럼의 마지막 자식이다. [[마우리츠 판 나사우|나사우의 마우리츠]]의 이복동생으로 그의 뒤를 이은 네덜란드의 지도자로서 스페인에 맞서 [[네덜란드 독립전쟁|독립전쟁]]을 이끌었다.]의 도움으로 [[헤이그]] 궁정에서 생활했다. 이시기 당연히도 당시 유럽에서 가장 잘나가던 네덜란드의 발전상을 목격했고 해상 무역, 농업, 건축, 군사 분야 등 여러 분야의 신기술을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에 도입했다. 1640년, 20세의 나이로 [[선제후]]로 즉위하였는데 치세의 전반기에는 독일에서 [[30년 전쟁]]이 한창 벌어지고 있었다, 프리드리히 빌헬름이 선제후로 즉위하기 이전의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은 신교도 제후였음에도 불구하고 사돈이던 [[스웨덴 국왕]] [[구스타브 2세 아돌프]][* 프리드리히 빌헬름의 고모 [[마리아 엘레오노라]]와 결혼했다.]를 적극 편들지도 않았고 [[가톨릭]]의 [[합스부르크 제국|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가문|합스부르크 왕조]] [[황제]]에게 유화적인 태도를 취했는데 프리드리히 빌헬름도 역시 즉위 초에는 전쟁 막바지에 각진영의 압력과 러브콜(?)을 사절하려 전쟁으로 박살난 브란덴부르크의 베를린이 아닌 [[프로이센 공국]]의 [[쾨니히스베르크]]로 --도망--가서 3년동안 신중한 처신을 보였다. 이는 계산된 행동으로 1644년까지 제국군으로 기울었던 기존의 군대를 해산하고 독자적으로 새로운 군대를 창설하여 선제후 개인에게만 충성을 바치는 [[상비군]]을 조직하여 절대 군주제의 발판을 만들었다. 1646년 네덜란드 통치자의 딸 "오라녜의 루이제 헨리에타"와 결혼하였지만 군사적인 면에서는 기대만큼 처가의 지원을 받지는 못했다. 다만 [[지참금]]으로 한보따리 싸온 것이 상비군 군자금으로 유용하게 사용했다. 어쨌든 전황이 신교도편으로 기운 전쟁 후기에는 신교도편으로 참여하여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으로 영토를 확보했으나 무역을 위해 필수적인 항구는 확보하지 못했는데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이 가장 원했던 [[오데르강]] 하구의 항구 [[슈테틴]]은 [[스웨덴 제국|스웨덴]]이 차지해버리고 민덴, [[마그데부르크]], 힌터[[포메른]] 정도의 보상으로 끝났다.[* 원래 스웨덴이 [[포메른]]을 다 집어먹으려했는데 브란덴부르크가 [[구스타브 2세 아돌프]]의 스웨덴군이 포메른에 상륙할 당시 지원을 해주는 조건으로 포메른 공작의 작위 계승권을 내세우자(당시 포메른 공작 보기슬라프 14세는 후사도 없었고 친척도 없었는데, 포메른 공작 가문의 후사가 끊길 경우 브란덴부르크가 상속받기로 한 조약이 16세기에 체결되었다.)--사실 얼마 도와주지도 않았지만-- 스웨덴이 동부 포메른은 내주겠다고 동의했다. 문제는 포메른의 경우 스웨덴이 가져간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포어포메른]]이 그나마 건질만한 땅이고 브란덴부르크가 가져간 [[자호드니오포모르스키에|힌터포메른]]은 콜베르크(현재 폴란드 코워브제크) 정도만 제외하면 백사장만 있는 황량한 해안가여서 영토 확장 이상의 의미는 없었다.] 이후 7년간 황폐화된 영토를 재정비하고 내치에 전념하여 중앙집권화에 착수해 독일 지역 내 드문드문 떨어져 있던 영토를 묶어서 각 지역마다 있던 신분제 의회와 행정 기구를 통폐합하고 세금을 걷었는데 말 안듣는 귀족들은 잡아다가 재판없이 [[코렁탕]]을 먹였다.[* 옛날이니 코렁탕이 무슨 대수냐 하겠지만 이 시대에도 귀족들은 반역이 아니면 가혹한 처벌을 받는 일이 드물었다. 현대로 올수록 법에 의해 보호를 받는 계층이 넓어진 것일 뿐이다. 그리고 이러한 중앙 집권화 정책은 향후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과 [[프로이센 왕국]]의 행정에 아주 큰 도움이 되었는데 더이상 프로이센 공국 통치를 위해 [[쾨니히스베르크]]까지 갈 필요 없이 [[베를린]]에 앉아서 영토 전체를 관장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 귀족들의 자제들을 전부 강제로 군대에 편성하고 영지의 거주민들은 병사로 편성하는 프로이센 특유의 방식으로 후에 강력한 군대의 기반이 되었다. '''[[프로이센 왕국|프로이센]]과 [[독일 제국]]의 [[군국주의]] 전통은 [[튜튼 기사단]]과 그 후신인 [[프로이센 공국]]이 아니라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의 본토 [[브란덴부르크 선제후국]]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클레베]], 라벤스베르크, 마르크 등의 [[라인란트]] [[월경지]]를 지키기 위한 프리드리히 빌헬름의 정책으로부터 비롯되었다'''.[* 애초에 프리드리히 빌헬름 대에 이르러서는 [[튜튼 기사단]]에 관심도 없었다.] 이후 주변의 두 강호, [[스웨덴]]과 [[폴란드-리투아니아]] 사이의 교묘한 외교 전략으로 처음엔 명목상 [[프로이센 공국]]의 종주권을 가진 폴란드 왕에게 충성을 보내는 척 하다가 폴란드가 봉기를 일으킨 [[카자크#s-3.1|우크라이나 카자크]]와 이를 지원한 [[루스 차르국]]과의 전쟁으로 정신이 없는 사이 스웨덴 국왕 [[칼 10세 구스타브]]가 [[대홍수(역사)|폴란드를 침공하자]] 봉신국의 의무를 어기고 군사적으로 중립을 지켰다. 이후 전황이 스웨덴에게 기울자 참전하여 [[바르샤바]]를 같이 터는데 일조하고, 스웨덴이 힘이 빠지자 폴란드-리투아니아 국왕 [[얀 2세 카지미에시 바사]]와 협상해 1657년 벨라우 조약을 체결하여 1466년에 [[튜튼 기사단]]이 13년 전쟁으로 폴란드에 굴복하여 넘어간 '''프로이센 공국에 대한 폴란드 왕의 종주권을 완전히 청산했다.''' 이후 오스트리아-폴란드와 동맹을 맺고 [[베스트팔렌 조약]]으로 스웨덴에 넘어간 포어포메른을 점령했으나 스웨덴의 동맹이었던 [[프랑스 왕국|프랑스]]의 개입으로 1660년 올리바 조약에서 포어포메른은 뱉어냈다. 프랑스에 뒤통수 맞은 영향으로 한동안 반프랑스 행보를 보였다. 처가인 네덜란드가 프랑스의 적국인데다가 [[루이 14세]]가 유럽의 깡패질로 전유럽의 어그로를 끌었기 때문. 1675년, 프랑스의 동맹국인 스웨덴이 브란덴부르크로 침입하자 직접 군대를 이끌고 페르벨린(Fehrbellin)에서 격파[* 당시 강력한 육군을 자랑했던 [[스웨덴군]]을 꺾었다는것 만으로도 큰 의미가 있었다. 스웨덴이 무적이 아니라는 사실을 깨달았고 이후 육군에 집중적으로 투자한 프로이센은 이후 군사 강국으로 거듭났다. 또한, [[나폴레옹 전쟁]]으로 민족주의가 고조되자 [[호엔촐레른 가문|호엔촐레른 왕조]]는 페르벨린 전투를 미화하였고, 전투가 벌어진 6월 18일은 1914년까지 독일 제국의 기념일로 지정되었다.]하여 신민들로부터 '대 선제후'로 불리기 시작했다. 이 기세로 포어포메른도 탈환했으나 프랑스의 압력으로 또 다시 돌려주었다. 1679년부터는 그동안 발목 잡았던 프랑스와 적대 관계를 청산하고 동맹을 맺게 되는데 프랑스가 포어포메른과 군대의 자금 지원을 약속했기 때문... [[신성 로마 제국]] 선제후 자격으로 프랑스가 지지하는 후보를 뽑는 것과 폴란드 국왕 선거에서 프랑스측 인사를 민다는 조건. 그러나 루이 14세가 약속을 순순히 지킬 인간은 아니었고 뒤통수를 또 한번 맞게 되자, 1685년 다시 친조카인 네덜란드의 [[윌리엄 3세|오라녜 공 빌럼]]과 동맹을 맺었다. 1685년 퐁텐블로 칙령으로 신교들이 프랑스에서 탄압을 받자 루이 14세에게 코렁탕을 먹고 쫓겨난 [[위그노]]들을 받아들여서 베를린의 인구가 6천명에서 2만명으로 늘었다. [[위그노]]중에는 상공업자들이 많았고 프랑스의 선진문물을 전수해 왔기 때문에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의 국력에 큰 도움이 되었다. 재위 후반까지 중상주의 정책과 절대왕권을 바탕으로 재임중에 상비군을 4만 명까지 늘렸고 그의 아들 [[프리드리히 1세(프로이센)|프리드리히 1세]]는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에서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왕가를 도운 공로로 [[레오폴트 1세]]에게 프로이센 왕국으로 국명을 바꾸는 것을 허락받았다. 그리고 증손자 [[프리드리히 대왕|프리드리히 2세]] 대에 이르러 프로이센은 북부 독일의 절대 강자로 군림하기 시작한다. == 가족관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627_louise_Henriette.jpg]] 첫 아내 나사우의 헨리에테([[1627년]] [[12월 7일]] ~ [[1667년]] [[6월 18일]]) * 빌헬름 하인리히: [[1648년]] ~ [[1649년]] * 카를: [[1655년]] [[2월 16일]] ~ [[1674년]] [[12월 7일]] * [[프리드리히 1세|프리드리히]]: [[1657년]] [[7월 11일]] ~ [[1713년]] [[2월 25일]] * 아말리에: [[1658년]] ~ [[1664년]] * 하인리히: [[1664년]] ~ [[1664년]] * 루트비히: [[1666년]] ~ [[1687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Dorothea_von_Schleswig-Holstein-Sonderburg-Gl%C3%BCcksburg.jpg]] 후처 조피아 도로테아([[1636년]] [[9월 28일]] ~ [[1689년]] [[8월 6일]]) * 빌헬름: [[1669년]] [[5월 19일]] ~ [[1711년]] [[12월 19일]] * 마리아 아말리에: [[1670년]] [[11월 26일]] ~ [[1739년]] [[11월 17일]] * 알브레히트 프리드리히: [[1672년]] [[1월 24일]] ~ [[1731년]] [[6월 21일]] * 카를 필리프: [[1673년]] [[1월 5일]] ~ [[1695년]] [[7월 23일]] * 엘리자베트 조피아: [[1674년]] [[4월 5일]] ~ [[1748년]] [[11월 22일]] * 도로테아: [[1675년]] ~ [[1676년]] * 크리스티안 루트비히: [[1677년]] [[3월 14일]] ~ [[1734년]] [[9월 3일]] [[분류:1620년 출생]][[분류:1688년 사망]][[분류:프로이센 공작]][[분류:브란덴부르크 선제후]][[분류:호엔촐레른 가문]][[분류:베를린 출신 인물]][[분류:베를린 대성당 안장자]][[분류:가터 훈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