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프리드리히(언라이트))] [include(틀:언라이트/캐릭터)] [[네이버]] [[소셜 게임]] [[TCG]] [[언라이트]]의 캐릭터. [목차] == 개요 == [[파일:attachment/프리드리히(언라이트)/부활/Friedrich_REp.jpg]] [[파일:ty95Zva.png]] || 이름 |||| '''프리드리히 ''' ||||<|5><:> 능력치 |||| HP |||| 13 || || 영문명 |||| ''' [[프리드리히|Friedrich]] ''' |||| 공격력 |||| 9 || || 일문명 |||| ''' フリードリヒ ''' |||| 방어력 |||| 8 || || 중문명 |||| '''弗雷特里西''' |||| 합계 |||| 30 || || 별명 |||| '''[[어벤저#s-1|The Avenger]]''' |||| 코스트 |||| 28 || || 생일 |||| 안개의 달 17일[* 11월 7일. 물냉이(Watercress)의 날] |||| 혈액형 ||||<-100><:>A|| || 출신지 |||| 반 사이드 |||| 취미 ||||<-100><:>|| || 키 |||| cm |||| 몸무게 ||||<-100><:>Kg|| || 일본 CV |||| |||| 한국 CV ||||<-100><:> || || 페어 캐릭터 |||||||||||||||||||| || |||||||||||||||| 프로필 || |||||||||||||||| 지상에 부활한 전사 중 한 명. 동료를 위해서라면 죽음도 마다하지 않는 용감한 전사. || == 설명 == [[파일:external/official.unlight.jp/014_2bg.png]] * '''"어떤 적이라 해도 물러설 수는 없어."''' * '''"세계를 구할 수 있는 것은 우리 뿐이다!"''' * '''"더 강해지기 위해서 진심으로 해보자고!"''' (VS [[베른하드/부활]]) 프리드리히의 부활 버전. 영정과 비교했을 때 공격력과 방어력이 1 깎였다. ~~하지만 기존의 호구리히 이미지는 어디 가고 패왕의 냄새가 나는 것 같다. 특히 스탠딩이...~~ --밝아보여서 다행이다...-- 영정과 차별화되는 점은 데미지 2배와 조건 없는 수라의 태세. 패 증식 후 넣을 수 있는 데미지 기대값이 어마어마 하게 높다. 공격 주사위를 100개정도 굴릴 경우 평균 300 정도의 데미지를 줄 수 있다(주사위를 300개 굴린다는 소리가 아니다. 실제로 들어가는 데미지가 이렇다는 소리). 심지어 3스킬을 썼다면 데미지는 두 배가 된다. 백천을 시전하기 까지 십천을 최소 두 턴(그나마 다행스럽게도 부활 프리드리히의 십천 버프는 중복 버프가 걸리지 않는다) 시전해야 되며 그 과정에서 여러가지 변수(근거리를 잡지 못한다거나 방어에 실패해서 부활리리가 사망한다거나)가 벌어질 수도 있지만, 성공시 백천의 데미지가 상상을 초월하는 수준이라 레이드 한 방 딜러로 떠오르는 중. 참고로 형에 이어 논란이 되고 있다. [[https://twitter.com/miya_hellride/status/540897298788524032|해당 트윗 참조]]. [* 해석하자면 '베른하드 때와 마찬가지로 부활과 성유계의 모습이 반대로 되어있다. 조금 젊어 보이게 그렸다.'] 부활 캐릭터 중 베른하드와 더불어 유일하게 역광이 들어가있는 전사다. [* 원래 [[프리드리히(언라이트)|저쪽 프리드리히]]는 역광, 이쪽 프리드리히는 無역광이던 것이 [[잠수함 패치]]로 서로 바뀌게 되었다.] == 능력치 변화 == === 노멀 === ==== HP/ATK/DEF/스킬 ==== || '''레벨''' || '''HP''' || '''ATK''' || '''DEF''' || '''소유 스킬''' || || '''1레벨''' || 13 || 9 || 8 || 십천, 백천, 나찰의 태세 , 수라의 극의 || ==== 코스트/이벤트 카드 슬롯 ==== || '''레벨''' || '''코스트''' |||||||||||| '''이벤트 카드 슬롯''' || || '''1레벨''' || 28 ||<#ff00ff> 이동 ||<#00ff00> 총 ||<#ff0000> 검 ||<#ff0000> 검 ||<#ffffff> 드로우 ||<#ffffff> 드로우 || * 속성이 없는 이벤트 카드는 여섯 슬롯 어디든지 장착할 수 있다. == 스킬 == === 액티브 스킬 === [[파일:attachment/프리드리히(언라이트)/부활/Friedrich_RE_S1.jpg]] |||||||| '''십천''' || || '''발동 거리''' || 전거리 || '''발동 페이즈''' || 공격 페이즈 || || '''필요 카드''' |||||| 검3↑, 총3↑, 이동1↑ || || '''효과''' ||||||자신에게 「ATK+6」, 「DEF+6」 중 하나를 3턴동안 적용하고, 대전 상대에게 1 데미지를 준다.|| || '''설명''' ||||||음속으로 베어버리는 발도의 태세.|| 조건은 일섬+십섬. 하지만 거는 버프가 한 번에 하나 뿐이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버프가 중복되지 않는다는 것. 예를 들어 처음 시전한 십천으로 공격력 증가 버프가 걸렸다면, 다음 십천에선 무조건 방어력 버프가 걸리고 공격력 버프가 중첩돼서 시전되는 일은 없다. 그 반대의 상황도 마찬가지. [[파일:attachment/프리드리히(언라이트)/부활/Friedrich_RE_S2.jpg]] |||||||| '''백천''' || || '''발동 거리''' || 근거리 || '''발동 페이즈''' || 공격 페이즈 || || '''필요 카드''' |||||| 검6↑, 이동0=, 총0= || || '''효과''' ||||||ATK+5, 자신의 ATK와 DEF 중 하나가 증가한 상태일 때 주사위를 2~3회 던진다. 모두 증가한 경우에는 주사위를 5회 던진다.|| || '''설명''' ||||||무수한 칼이 모든 것을 조각 낸다.|| Ex백섬에서 조건을 노멀로 낮춰주고 선택지를 늘려놓은 스킬. 한 쪽 버프만 받아도 확률적이지만 주사위를 2회 이상 굴릴 수 있다는 점에서 백섬 콤보의 난이도가 적절하게 낮아졌다. 쓰려면 공버프를 받고 쓰는 게 이득이다. 방어 버프만 증가한 상태로 시전하는 건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비추천. 2016년 9월 21일 패치로 버프가 하나만 증가한 상태일 때 주사위를 최소 2회부터 던질 수 있도록 상향했다. [[파일:attachment/프리드리히(언라이트)/부활/Friedrich_RE_S3.jpg]] |||||||| '''나찰의 태세''' || || '''발동 거리''' || 전거리 || '''발동 페이즈''' || 이동 페이즈 || || '''필요 카드''' |||||| 특수3↑ || || '''효과''' ||||||스킬을 발동한 턴에서 자신이 제출한 검 카드 이외의 액션 카드를 무효화하고, 상대에게 주는 데미지를 2배로 한다.|| || '''설명''' ||||||몸에 깃든 나찰을 해방한다.|| Ex수라의 태세의 패시브화로 인해 새로 추가된 백섬 콤보의 강화기. 백천의 데미지를 2배로 늘린다는 점에서 얼핏 보면 굉장히 좋아 보이지만, 실제로는 리스크가 있는 스킬. 이 스킬을 쓰면 해당 턴의 검카드 이외 제출 카드는 전부 무효처리 되므로 방어 페이즈의 방어 카드도 무효화된다. --괜찮습니다. 프리드리히는 방어력 버프가 훌륭하니까요...-- --[[C.C.(언라이트)|C.C.]]: 얍 아톰하트-- 이 스킬을 쓰면 그 턴에 할 행동은 오직 근거리 공격턴 극딜 뿐인데, 비슷한 예인 스테이시아가 쉬운 조건으로 40넘는 주사위를 굴리는데도 코스트가 낮은 건 극딜에 대한 카운터가 넘쳐나고 기습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디메리트도 그렇고 근거리로 갈 확신이 없으면 쓰기 망설여지는 스킬. 스킬을 썼는데 근거리로 못 가면 --망했어요-- 상대만 신나는 거라... === 패시브 스킬 === |||||||| '''수라의 극의''' || || '''효과''' ||||||방어 시, HP가 4 이하일 때 자신의 HP를 3 회복하고 상대에게 「ATK-4」, 「DEF-4」, 「MOV-1」 (2턴)|| || '''설명''' ||||||수라의 극에 다다른 자만이 사용할 수 있는 극의.|| 적절히 하향 조정된 Ex수라의 태세. 방어 턴에 특3을 안 올려도 되는 대신 디버프의 수치가 낮아졌다고 보면 된다. --아니었으면 사기 반열에 들게 되겠지-- Ex수라의 태세가 디버프보다는 체력 회복에 더 메리트가 있는 만큼, 체력 회복이 그대로 이어진 이 패시브는 리리에게 상당히 유용한 스킬. 방어 직전 HP가 4보다 많다면 데미지 계산 후에 체력이 회복되고, 4 이하라면 체력 회복 이후 데미지를 계산한다. 주사위를 굴리기 전에 들어오는 고정 데미지로 인해 HP가 4 이하로 내려갔을 경우 후자로 판정된다. [[분류:언라이트/캐릭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