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현대전/노르웨이 함선)] [[파일:Fridtjof Nansen-class frigate.jpg]] [[파일:Fridtjof Nansen-class frigate-1.jpg]] '''Fridtjof Nansen-klasse (Norsk Nynorsk)''' '''Fridtjof Nansen-klassen (Norsk Bokmål)''' [목차] == 개요 == [youtube(yaCzB2mZXzg)] [[노르웨이 해군]]의 F-310 프리드요프 난센(Fridtjof Nansen)급 [[호위함]]은 처음에 대잠함으로 계획되었으나 점차 증가하는 대공 위협에 대응하기 위하여 강력한 대공무장을 요구하게 된다. 대공 시스템은 유럽 몇 개국에서 선정을 위해서 노력하였으나 [[미국]] 록히드마틴사의 SPY-1F 다기능 레이더를 사용하는 [[이지스 시스템]]이 선정되었다. == 제원 == ||||||||<:> '''{{{+1 {{{#FFFFFF 프리드요프 난센급 호위함}}} }}} [br] {{{#FFFFFF Fridtjof Nansen-klassen fregattar}}}''' || ||||<:> '''건조 업체''' ||<:> Navantia shipbuilding || ||||<:> '''함선 유형''' ||<:> 다목적 프리깃 || ||||<:> '''취역 기간''' ||<:> 2006년~2011년 || ||||<:> '''건조 대수''' ||<:> 5척 || ||||<:> '''운용 대수''' ||<:> 4척[* 4번함 HNoMS 헬게 잉스타드 좌초후 침몰로 손실.] || ||||<:> '''전장''' ||<:> 134 m || ||||<:> '''전폭''' ||<:> 16.8 m || ||||<:> '''흘수선''' ||<:> 4.6 m || ||||<:> '''만재배수량''' ||<:> 5,290 t || ||<|3> '''동력''' ||<:> '''방식''' ||<:> [[CODAG]] || ||<:> '''기관''' ||<:> BAZAN BRAVO 12V 4.5 MW 디젤엔진 x 4기 '''(순항시)''' [br] GE LM2500 21.5 MW 가스터빈 엔진 x 1기 '''(고속시)''' [br] MTU 396 Serie 12V 1250 KVA 디젤 발전기 x 4기 [br] Brunvoll 1 MW 내부 수납 선수 추진기 || ||<:> '''추진''' ||<:> 가변 피치 프로펠러 2축 || ||||<:> '''최대속력''' ||<:> 27노트 이상 || ||||<:> '''항속거리''' ||<:> 18노트의 속도로 항해 시 8,334 km || ||||<:> '''승조원''' ||<:> 146명 || ||<|3> '''레이더''' ||<:> '''고정''' ||<:> AN/SPY-1F 3차원 다기능 이지스 레이더 || ||<:> '''사격 통제''' ||<:> AN/SPG-62 레이더 × 2기 || ||<:> '''공중/해상 탐색''' ||<:> Reutech RSR-210N 레이더 × 1기 || ||<|1> '''센서''' ||<:> '''고정''' ||<:> Sagem Vigy 20 EO/IR 센서 || ||<|2> '''소나''' ||<:> '''고정''' ||<:> MRS 2000 선저 소나 || ||<:> '''예인''' ||<:> Captas MK II V1 능동/반능동 예인 소나 || ||<|2> '''기만체계''' || '''디코이''' ||<:> Terma DL-12T 디코이 발사기 [br] Loki 어뢰기만체계 || ||<:> '''ECM/ESM''' ||<:> Condor CS-3701 체계 || ||<|2> '''성능''' || '''탐지/추적''' ||<:> " || ||<:> '''최대 탐지거리''' ||<:> " || ||||<:> '''전투정보시스템''' ||<:> Kongsberg MSI 2005F ASW 시스템 || ||||<:> '''통신/데이터링크''' ||<:> Thales SULFSAT-L SATCOM 안테나 x 3기 || ||<|8> '''무장''' || '''함포''' ||<:> [[오토멜라라 76mm 함포|오토 멜라라 3인치 62 구경장 함포]] × 1문 || ||<:> '''VLS''' ||<:> [[Mk.41 VLS]] ×8/1~2셀 [br] || ||<:> '''대잠체계''' ||<:> 324mm 2연장 어뢰발사기 × 4기 || ||<:> '''대함체계''' ||<:> 4연장 [[NSM]] 대함미사일 발사기 × 2기 || ||<:> '''근접방어체계''' ||<:> Sea Protector[* 콩스버그사 제작 해상용 RWS] 탑재 [[M2 브라우닝 중기관총|M2HB 12.7 mm]] 기관총 x 3문 [br] LRAD500X 장거리 음향 수신기 x 2기 '''(비살상무기)''' || ||<:> '''어뢰''' ||<:> Sting Ray 경어뢰 × 4발 || ||<:> '''함대공 미사일''' ||<:> [[ESSM|RIM-162 ESSM]] [br] '''총 32~64발''' || ||<:> '''함대함 미사일''' ||<:> [[NSM]] 대함미사일 x 8발 || ||<|1> '''탑재항공기''' || '''대잠헬기''' ||<:> [[NH-90|NH-90 대잠헬기]] × 1기 탑재 || == 상세 == 본 프리깃은 [[스페인]]의 이잘 조선소에서 건조하고, SPY-1F 레이더를 포함하는 대공 전투 시스템은 록히드마틴사가 담당하였다. 헌데 4번함의 경우에는 당시 [[대우조선해양]]에 속한 루마니아 조선소에서 건조되었다고 한다. 대공 시스템은 SPY-1F 다기능 레이더를 포함한 이지스 시스템, 사격통제용 Mk 82 레이더, ESSM 대공미사일, Condor CS-3701 ESM/ECM 등으로 구성되며, 대함[[미사일]]에 대한 근접방어시 오트브레다사의 76mm 함포도 요격 임무를 수행한다. SPY-1F 페이즈드 어레이 레이더는 D형의 축소형으로 처음에 [[스페인]]의 [[알바로 데 바잔급]] 구축함이 탑재하려 했던 다기능 레이더이다. 본 레이더는 처음부터 7,000톤 이상의 대형함에 적합하도록 설계한 SPY-1D 레이더를 5,000톤 이하의 프리기트에서 운용할 수 있도록 축소한 레이더로 전체적인 대공능력은 우수하나 MD에는 운용이 불가능하다. 이 축소형 [[이지스 시스템|이지스]] 시스템으로 인해 난센급은 [[알바로 데 바잔급]]과 비교해 만재배수량은 1,500톤, 전장도 15m가 감소하였다. 대공미사일은 스탠다드 SM-2 블록 ⅢA 대신 ESSM을 운용하며 1~4번함은 Mk.41 VLS 8셀에 32발, 5번함은 Mk.41 VLS 16셀에 64발을 탑재한다. 대함 무장은 [[NSM]] 대함 [[미사일]] 4연장 2기와 함수에 76mm 함포를 탑재한다. NSM(New Anti-Ship Missile) 대함 미사일은 [[노르웨이]] 콩스베르그(Kongsberg)사를 중심으로 개발하였으며 레이더 반사를 최대한 억제하는 스텔스 설계를 도입하고, 목표 탐지 유도용으로 표적의 외형을 판별할 수 있는 적외선 영상 이미지 시커를 사용하는 차세대 대함 미사일이다. 난센급의 센서와 무장을 통합하여 관리하는 MSI 2005F 대잠 전투 시스템은 Spherion MRS 2000 헐 마운티드 소나와 CAPTAS Mk 2 V1 견인 소나로 구성된 Simrad 소나 시스템, 스팅레이 경어뢰, NH90 NFH 대잠헬기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프리드요프 난센급 [[구축함]]은 총 5척이 건조되어 4척이 임무 중이며, 현재 [[노르웨이]] [[해군]]의 다목적 주력 수상전투함으로 운용되고 있다. 네임쉽은 당연히 이름은 노르웨이의 위대한 탐험가이자 정치인인 [[프리드쇼프 난센]]에서 따온 것이며 본 함급에 속한 군함 모두 노르웨이의 [[전설은 아니고 레전드]]급 탐험가들의 이름을 갖고 있다. == 사건/사고 == [[파일:프리드요프 난센급 사고사진.png|width=600]]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헬게 잉스타드 - 솔라 티에스 충돌 사고)] == 함급 목록 == |||||||||||||||||| {{{#FFFFFF '''노르웨이 해군'''}}} || || || '''함번''' || '''함명''' || '''기공일''' || '''진수일''' || '''취역일''' || '''퇴역일''' || '''모항''' || '''상태''' || ||1 ||F310 ||HNoMS [[프리드쇼프 난센]](Fridtjof Nansen) ||2003년 4월 9일||2004년 5월 3일||2006년 4월 6일|| 운용중 ||하콘스베른|| || ||2 ||F311 ||HNoMS [[로알 아문센]](Roald Amundsen) ||2004년 6월 3일||2005년 5월 25일||2007년 5월 21일|| 운용중 ||하콘스베른|| || ||3 ||F312 ||HNoMS 오토 스베르드누프(Otto Sverdrup)[* 프리드쇼프 난센의 북극 탐사 시 프람호의 선장.] ||2005년 5월 25일||2006년 4월 28일 ||2008년 4월 30일 || 운용중 ||하콘스베른 || || ||4 ||~~F313~~ ||~~HNoMS 헬게 잉스타드(Helge Ingstad)~~[* [[빈란드]], 즉 '''[[바이킹]]들이 미대륙을 제일 먼저 발견한 것'''을 확인한 탐험가.] ||2006년 4월 28일||2007년 11월 23일||2009년 9월 29일 ||2019년 6월 24일[* 사실 수리는 할 수 있었으나 이 배를 수리하는 것 보다 아예 새로 건조하는 게 훨씬 이득이라는 결론이 나와 결국 퇴역하기로 결정했다.] ||하콘스베른|| 2018년 11월 9일 침몰 || ||5 ||F314 ||HNoMS [[토르 헤이에르달]](Thor Heyerdahl) ||2007년 11월 23일||2009년 2월 11일||2011년 1월 18일 || 운용중 ||하콘스베른 || || == 관련 문서 == * [[군사력]] * [[국가별 해군]] * [[무기 관련 정보]] [[분류:호위함]][[분류:해상 병기/현대전]] [include(틀:포크됨2, title=프리드요프 난센급 호위함, d=2022-07-09 23:44: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