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프리츠커상/PritzkerArchitecturePrizeMedal.jpg|width=100%]]}}} || || {{{-1 프리츠커상 수상자에게 주어지는 청동 메달}}} || || '''{{{+1 프리츠커 건축상}}}'''[br]Pritzker Architecture Prize || ||<#fff> [[http://www.pritzkerprize.com|공식 사이트]] || [목차] [clearfix] == 개요 == 프리츠커 [[가문]]이 운영하는 [[하얏트]] 재단에서 매년 "건축예술을 통해 재능과 비전, 책임의 뛰어난 결합을 보여주어 사람들과 건축 환경에 일관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한 생존한 [[건축가]]"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건축계의 [[노벨상]]''''이라고 불리고 있으며, 건축계 분야 인사에게 최고의 [[영광]]으로 인식되는 건축상으로, 근현대 건축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건축가들이 수상하는 등 어마어마한 위상을 자랑한다. == 역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ritzker_Announcements_March7.jpg|width=100%]]}}} || || 프리츠커상 수상자들의 작품 || [[1979년]], 미국인 사업가인 제이 프리츠커(Jay A. Pritzker)와 그의 아내 신디 프리츠커가 설립했다. 이 프리츠커 가문이 운영하는 [[하얏트]] 재단에서 수상자를 발표하며, 영국 왕립 건축가 협회 상인 [[RIBA 로얄 금메달]]이나 미국 건축가 협회 상인 [[AIA 금메달]]에 비하면 역사가 짧지만, 현재는 건축계 분야 인사에게 최대의 영광으로 인식되는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건축상이 되었다. 한편으로 2014년 이후부터는 수상자들의 경향이 공공 건축과 사회적 건축에 기여한 건축가가 수상하기 시작하면서 그 경향이 변했다. == 수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프리츠커 건축상.jpg|width=100%]]}}} || || 수상자 발표 예고문. 사진은 Philip Johnson Glass House.[* 첫 프리츠커상 수상자인 필립 존슨이 설계.] || 프리츠커상은 수상 후보자 명단을 공개하지 않는다. 각 국가에서 [[건축사]] 자격을 가진 이들은 직접 수상 [[후보]]를 추천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출 서류는 지명자 [[이름]]과 연락처 뿐이다. 즉, 이름만 들으면 알 수 있을 정도로 저명한 건축가여야 한다는 의미다. 수상식은 매년 5월에 개최된다. 수상식의 개최지는 매년 바뀌며, 건축적으로 유명한 장소에서 개최된다. 2020년에는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첫 온라인 시상식이 개최되었다. 수상자의 국적, 인종, 교리, 이념과 상관없이 수여하고, 수상자는 10만 [[미국 달러|달러]]와, 1987년도부터는 시카고 [[건축가]] 루이스 설리번(Louis Sullivan)이 디자인한 청동 메달을 수여받는다. 그 이전에는 메달 대신 핸리 무어(Henry Moore)가 제작한 한정판 [[조각상]]을 각각의 수상자에게 수여했었다. == 한국의 상황 == [[한국]] 출신의 프리츠커상 수상자는 현재 존재하지 않으며, 매년 프리츠커상 수상자 선정 소식이 나올 때 마다 국내 건축계는 "우리는 왜 이런 상을 못 받는가?"라는 비판을 받곤 한다. 마치 해마다 노벨상 선정에서 다른 나라의 수상자들을 부러운 시선으로 보는 것과 비슷한 현상. 이에 [[한국 정부]]는 2019년에 [[https://www.khan.co.kr/economy/economy-general/article/201906011428001|프리츠커 수상 프로젝트]]를 구상하기도 했다. 명칭은 ‘넥스트 프리츠커 프로젝트(NPP)’. 청년 건축가 30인을 선발해 [[해외]] 유수의 설계사무소에서 선진 설계기법을 배울 수 있도록 1인당 최대 3,000만원의 연수비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다만, 사업 이름은 '넥스트 프리츠커 프로젝트'이면서, 세계 최다 프리츠커상 수상국인 [[일본]]에 연수를 가는 것이 금지되기도 했었다는 것. 한 지원자는 일본 건축가 [[시게루 반]][* 2014년 프리츠커상 수상자]의 설계사무소로 연수를 가겠다고 지원해 선발되었지만,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634540#home|#]] 2019년 당시 한일 무역 갈등 여파가 이어지면서 “한ㆍ일 간의 분위기가 안 좋은 만큼 일본 연수는 안 된다”는 이유로 [[국토부]]에서 출국 제지를 당했다고 한다. 이를 두고 생색내기용 유학에 목 맬 필요가 있냐는 지적도 나왔다. 전통 건축을 재해석하는 건축가들이 상을 받는 추세인데, 한국식 건축을 더 연구해도 모자랄 판에 시대착오적이라는 것. [[건축가]] 장지훈은 "프리츠커 상을 목표로 건축가를 양성한다는 것도 어이없지만, 해외연수를 갔다오면 프리츠커 상을 받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논리도 형편없다."며 "국내 건축가가 프리츠커상을 받지 못하는 이유는 해외 경험이 부족해서가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기초학문보다는 실용기술 발전에만 집중한 한국의 학문적인 불균형이 근본적인 원인이라는 지적도 있다.[* 이 문제는 당연히 프리츠커상 뿐 만 아니라 [[노벨상]], [[필즈상]] 등 다른 분야에서도 공통되게 나타난다.] 말하자면 국가 전체 차원의 역량(예: 경제 규모, 군사력)은 어느덧 세계 상위권에 올랐지만, 개개인의 창의력과 독창성 등에 기반을 두는 인문학적 지성(예: 철학, 문학)과 순수 기초과학(예: 수학), 문화/예술 분야에서도 세계의 주목을 받는 '선도적' 지위에는 아직 도달하지 못하고 있는 한국의 현주소에 대한 비판인 셈이다. 이는 결코 특정 시기 이내에 해결될 성격이 아닌, 보다 장기적이면서 근본적인 과제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의 공공건축은 일정 규모가 충족이 되지 않으면, 건축가는 보통 수의 계약을 통해 일을 진행할 수밖에 없다. 설계비용도 적게 주고 설계기간도 촉박한 상황에서 건축가의 장인정신이 깃든 제대로 된 건축물들이 나오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또 일정 규모 이상의 건축물은 해외 유명 건축물 같은 랜드마크를 짓고 싶은 일부 정치인들의 욕망에 따라 외국 건축가가 상황에 맞지 않은 [[랜드마크]]를 짓고 떠나는 경우가 허다했다. [[건축가]]보다 [[건설사]]가 갑인 것도 한 몫을 하는데, 국내외 건축물을 소개하거나 홍보할 때 기술력을 홍보하면서 시공한 건설회사를 중심으로 소개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정작 설계한 건축가의 이름은 잘 드러나지 않는 경우도 많다. [[부르즈 할리파]]를 [[삼성물산]]이 시공한 것을 아는 사람은 많지만, 그 건물을 설계한 건축회사[* 스키드모어, 오윙스 앤 메릴(Skidmore, Owings & Merrill LLP)사이다. 속칭 SOM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름을 아는 사람은 별로 없다. 이런 문제점에 대한 관련 고찰에 관해서는 [[서현(건축가)|서현]] 서울대 건축학과 교수의 칼럼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432366|프리츠커상 하나 못 받는 한국 건축가들]] 참조. 이런 가운데, 2022년에는 [[아프리카]] 역사상 처음으로 [[부르키나파소]]의 건축가인 [[디베도 프란시스 케레]]가 프리츠커상을 받으면서 사상 첫 아프리카 [[흑인]] 수상자가 탄생했다. 아프리카 전통 양식을 재해석한 건축물이 개성있고 독창적이다. 한국사회의 건축에 대한 태도의 성찰을 촉구하는 기고가 올라오기도 하였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57200|김광현 서울대 건축학과 명예교수의 기고문]]. == 역대 수상자 == [include(틀:역대 프리츠커상 수상자)] === 연도순 정렬[* 1988년은 10주년 기념, 2001년, 2010년, 2017년, 2020년은 파트너로 일하기 때문에 공동 수상이 되었다.] === || '''연도''' || '''수상자''' || '''출신 및 국적''' || || 1979 || [[필립 존슨]]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미국]] || || 1980 || [[루이스 바라간]]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20]] [[멕시코]] || || 1981 || [[제임스 스털링]]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영국]] || || 1982 || [[케빈 로시]]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0]] [[아일랜드]]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미국]] || || 1983 || [[이오 밍 페이]] ||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width=20]] [[북양정부]]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미국]] || || 1984 || [[리처드 마이어(건축가)|리처드 마이어]]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미국]] || || 1985 || [[한스 홀라인]] ||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width=20]] [[오스트리아]] || || 1986 || [[고트프리트 뵘]] || [[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서독]] || || 1987 || [[단게 겐조]]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일본]] || ||<|2> 1988 || [[고든 번샤프트]]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미국]] || || [[오스카르 니에메예르]]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브라질]] || || 1989 || [[프랭크 게리]]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0]] [[캐나다]]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미국]] || || 1990 || [[알도 로시]]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0]] [[이탈리아]] || || 1991 || [[로버트 벤투리]][* 유일한 프린스턴대 출신 수상자]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미국]] || || 1992 || [[알바루 시자 비에이라]]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20]] [[포르투갈]] || || 1993 || [[마키 후미히코]]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일본]] || || 1994 || [[크리스티앙 드 포잠박]]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프랑스]] || || 1995 || [[안도 다다오]]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일본]] || || 1996 || [[라파엘 모네오]]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0]] [[스페인]] || || 1997 || [[스베레 펜]]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20]] [[노르웨이]] || || 1998 || [[렌초 피아노]]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0]] [[이탈리아]] || || 1999 || [[노먼 포스터]]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영국]] || || 2000 || [[렘 콜하스]]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0]] [[네덜란드]] || || 2001 || [[헤르초크 & 드 뫼롱]] ||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20]] [[스위스]] || || 2002 || [[글렌 머킷]] || [[파일:호주 국기.svg|width=20]] [[오스트레일리아]] || || 2003 || [[예른 웃손]] ||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0]] [[덴마크]] || || 2004 || [[자하 하디드]] || [[파일:이라크 국기.svg|width=20]] [[이라크]] /[[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영국]] || || 2005 || [[톰 메인]]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미국]] || || 2006 || [[파울루 멘데스 다 로샤]]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브라질]] || || 2007 || [[리처드 로저스]]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영국]] || || 2008 || [[장 누벨]]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프랑스]] || || 2009 || [[페터 춤토르]] ||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20]] [[스위스]] || || 2010 || [[세지마 가즈요]], [[니시자와 류에]] ([[SANAA]])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일본]] || || 2011 || [[에두아르도 소투 드 모라]]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20]] [[포르투갈]] || || 2012 || [[왕슈]]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중국]] || || 2013 || [[이토 토요오]]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일본]] || || 2014 || [[반 시게루]]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일본]] || || 2015 || [[프라이 오토]] || [[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독일]] || || 2016 || [[알레한드로 아라베나]] || [[파일:칠레 국기.svg|width=20]] [[칠레]] || || 2017 || [[라파엘 아란다]], [[카르메 피헴]], [[라몬 빌랄타]] ([[RCR Arquitectes|RCR]])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0]] [[스페인]] || || 2018 || [[발크리슈나 도시]] || [[파일:인도 국기.svg|width=20]] [[인도]] || || 2019 || [[이소자키 아라타]]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일본]] || || 2020 || [[이본 패럴]], [[셜리 맥너마라]]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0]] [[아일랜드]] || || 2021 || [[안 라카통]], [[장필리프 바살]] || [[파일:프랑스령 모로코 국기.png|width=20]] [[프랑스령 모로코]][* 장필리프 바살은 [[프랑스인]]이지만 출신은 [[모로코]](당시의 [[프랑스령 모로코]])이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프랑스]] || || 2022 || [[디베도 프란시스 케레]] ||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width=20]] [[부르키나파소]] /[[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독일]] || || 2023 || [[데이비드 치퍼필드]]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영국]] || === 국가별 현황[* 후에 해당 국가 시민권을 얻은 수상자도 포함. (2명 이상만 기재)] === || '''순위''' || '''출신 국가''' || '''횟수''' || '''수상자''' || '''기타''' || ||<|2> 1위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미국]] || 8회 || 8명 ||시민권을 얻은 3명 포함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일본]] || 7회 || 8명 ||2010년 공동 수상 || ||<|1> 3위 ||[[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영국]] || 5회 || 5명 ||시민권을 얻은 1명 포함 || ||<|2> 4위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프랑스]] || 3회 || 4명 ||2021년 공동 수상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0]] [[스페인]] || 2회 || 4명 ||2017년 공동 수상 || ||<|3> 6위 ||[[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독일]] || 3회 || 3명 || 시민권을 얻은 1명 포함 ||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20]] [[스위스]] || 2회 || 3명 ||2001년 공동 수상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0]] [[아일랜드]] || 2회 || 3명 ||2020년 공동 수상 || ||<|4> 9위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0]] [[캐나다]] || 2회 || 2명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0]] [[이탈리아]] || 2회 || 2명 ||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20]] [[포르투갈]] || 2회 || 2명 ||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브라질]] || 2회 || 2명 || 10주년 기념 공동 수상 || === 대학별 현황[* 수상자의 학사, 석사, 박사를 취득한 고등교육기관의 합계. 같은 대학에서 여러 학위를 딴 경우는 1번만 카운트. (2회 이상만 기재)] === || '''순위''' || '''출신 대학''' || 국가 || '''횟수''' || || 1위 || [[하버드 대학교]] || [[미국]] || 5회 || ||<|2> 2위 || [[도쿄대학]] || [[일본]] || 4회 || || [[영국 건축협회 건축학교]] || [[영국]] || 4회 || || 3위 || [[코넬 대학교]] || [[미국]] || 3회 || ||<|10> 5위 || [[예일 대학교]] || [[미국]] || 2회 || || [[유니버시티 칼리지 더블린]] || [[아일랜드]] || 2회 || ||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 [[미국]] || 2회 || || [[파리 보자르|에꼴 데 보자르]] || [[프랑스]] || 2회 || || [[일리노이 공과대학교]] || [[미국]] || 2회 || ||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 || [[스위스]] || 2회 || ||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 || [[미국]] || 2회 || || [[보르도 국립 건축조경학교]] || [[프랑스]] || 2회 || || [[밀라노 폴리테크니코]] || [[이탈리아]] || 2회 || || [[포르투 대학교]] || [[포르투갈]] || 2회 || [[분류:상]][[분류:건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