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프리큐어 시리즈)] [include(틀:프리큐어 시리즈 목록)] [목차] == [[/대한민국|대한민국]] == [include(틀:대원방송 공식 유튜브 채널에 전편이 업로드된 더빙판 프리큐어 시리즈)] '''※. 최근 방영한 프리큐어 작품: [[트로피컬 루즈! 프리큐어]](2021년, 한국어 더빙)'''[* 이 내용은 후속 프리큐어 시리즈가 국내에 방영될 경우 수정 바랍니다.] / '''[[희망의 힘 ~어른 프리큐어'23~]](2023년, 자막판)''' 한국 판권은 대원미디어가 지니며, 2005년 12월 '''[[빛의 전사 프리큐어]]'''라는 제목으로 [[SBS]]에서 방영을 시작한 이후 다음작인 [[프리큐어 Max Heart]]부터는 [[대원방송]] 계열 채널을 통해 10년 넘게 방영을 이어오고 있다. 특히 [[Yes! 프리큐어 5]]에서 인기가 절정에 달하였다. [[스위트 프리큐어♪]]까지만 하더라도 TV 완구 광고를 꾸준히 해줬으나 그 이후 TV 광고나 프로모션이 눈에 띄게 줄어들었고[* 특히 [[스마일 프리큐어!]]는 방영한지 5개월이 지나서야 광고가 제대로 나올 수가 있었다.], 급기야 2015년에 방영될 것으로 보였던 [[심쿵! 프리큐어]]의 방영이 1년 늦춰지면서 프리큐어 시리즈의 방영 기간 텀이[* 현지 종영~국내 방영 기준] 1년 5개월에서 2년 5개월으로 늘어났으며, 다음작인 해피니스는 2년 7개월, 이후 [[Go! 프린세스 프리큐어]]부터 4년(정확히는 3년 11개월)으로 늘어났다. 대원미디어도 이런 사실을 인지했는지 방영 텀을 줄이려고 시도했지만, [[토에이 애니메이션|토에이]]의 반대로 인하여 무산되었다고 한다. 이렇게 방영텀이 길어지던 끝에 결국 2021년에 [[키라키라☆프리큐어 아라모드]]를 비롯한 네 작품을 건너뛰고 현지 방영작인 [[트로피컬 루즈! 프리큐어]]를 방영하게 됐고. 종영된지 2년이 지났음에도 건너뛴 네 작품들은 커녕 딜리셔스 파티 프리큐어도 방영되지 않고 있다. 결국 대원방송이 방영을 포기한 건지 [[희망의 힘 ~어른 프리큐어'23~]]는 [[애니플러스]]에서 방영권을 가져갔다. 여아 완구 시장은 전통적으로 인기 있고 가장 오래된 미미나 애니화까지 된 [[쥬쥬]]와 [[콩순이]] 등 전통 강자들이 있고, [[대원방송]]도 프리큐어보다 인기가 많은 [[슈퍼전대 시리즈|파워레인저 시리즈]]에 더욱 신경을 쓰다보니 프리큐어는 상업적 마케팅에서 손해를 많이 본다.[* 이 중 절정에 달했던 시기가 2012년의 [[파워레인저 캡틴포스]]와 [[하트캐치 프리큐어!]], 2014년의 [[파워레인저 다이노포스]]와 [[스마일 프리큐어!]]의 방영 시기.] 이는 예전부터 자리잡지 못한 것도 있었고 일부 제품을 미정발하거나 완구 기능 중 일부를 삭제하는 등 하향 평준화도 있었다. [[대원미디어]]의 여아 대상 마케팅 상품으로는 프리큐어가 유일하긴 하나, [[대원미디어]]가 파워레인저의 상업적 마케팅에 집중해버린 나머지 프리큐어와 관련해서 상업적 마케팅을 비교적 소홀히하였다는게 문제점으로 종종 제기되곤 했다. 더더욱 여아용 애니/완구 시장에서는 [[아이카츠!|아이엠스타]]와 [[프리파라]] 등의 신흥 강자들이 자리잡고 있는데다 심지어 프리큐어 산업에 힘을 쏟아줄 것으로 보였던 2016년 이후부터는 또 다른 신흥 강자인 [[에그엔젤 코코밍]]과 [[소피루비]] 등 다른 여아 장난감들에게 밀리면서 큰 반등을 하진 못했다. 더욱이 최근에는 프리큐어 시리즈의 국내방영 공백기을 틈타 그 경쟁작인 [[꿈속의 뮤]] 애니가 국내 진출 및 방영되면서 학인 사살. 사실 일본 경쟁작의 국내 진출도 그렇지만 한국 업계에선 [[프린세스 프링]], [[캐치 티니핑]] 등 토종 마법소녀물 IP가 적지 않을 뿐더러 [[키스타]], 로미, [[큐비스타]] 등 앞으로 방영될 예정인 토종 마법소녀물 IP가 줄을 서고 있다는 것도 프리큐어 시리즈 국내방영판에 있어 악재라 할 수 있다. 심쿵과 해피니스 방영 당시 완구류가 방영 시작 후 한참 뒤에서야 발매된 것과 함께 부족한 홍보로 인해 가면라이더와 파워레인저와는 달리 프리큐어는 대형매장에서는 일부 매장에서만 판매한데다 저렴하다고는 볼 수 없는 가격 탓에 판매지수가 그렇게 좋은 편은 아니였다. 무엇보다 [[반다이 남코 코리아|반다이코리아]]의 여아 장난감 부분에서도 크게 다를게 없는 것이 2016년 이후부터 들어온 에그엔젤 코코밍의 인기가 독보적이다보니 프리큐어는 당분간 한국에서 장난감 흥행수익을 기대하기에는 어려워 보인다. 2019년 이후로 정발 완구 라인업이 많이 부실해졌는데, [[Go! 프린세스 프리큐어]]는 프린세스 퍼퓸과 스칼렛 바이올린, 그리고 프리코디돌 4종 만이 발매되고 후속작 [[마법사 프리큐어!]]는 현지에서 발매된 작동 완구는 물론 프리코디돌도 모두 정발에서 제외되고 '큐어 업 라파파 변신 [[모후룬]]'이라는 이름으로 아무런 기믹이 없는 봉제 인형만이 발매되었다. 그나마 문구류 캐릭터 상품 판매는 건재한 편이다. 또한 학산문화사는 2020년 <마법사 프리큐어> 이후 어린이용 만화책조차 내지 않고 있다. 참고로 [[현지화]]의 경우 보통 비현지화를 거치는 게 일반적이지만, [[심쿵! 프리큐어]]만은 예외적으로 무국적화로 현지화 되었다. 같은 여아용 애니인 [[아이카츠!|아이엠스타]], [[프리파라]]도 무국적화였지만 이쪽은 처음부터 무국적화라 딱히 논란은 없었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 작품 외에도 [[마법소녀물]]이나 [[아이돌물]] 대부분이 무국적화로 현지화하는 것을 보면 현지화가 없는 프리큐어가 특이한 케이스라고도 볼 수 있다. 이런 난항에도 불구하고 일본 외에 프리큐어가 가장 인기있는 국가는 한국이라고 한다. 프리큐어 시리즈에서 묘사되는 일본의 문화나 생활상과 가장 비슷한 나라가 한국이므로 당연하다면 당연한 부분이다.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precure&no=181017&s_type=search_all&s_keyword=%ED%95%9C%EA%B5%AD&page=1|토에이 관계자와의 인터뷰 보도]] == 북미 및 유럽 방영 == [[캐나다]]에서'''만[* 다시 말해 미국에는 방영되지 않았다. 이 역시 후술할 비판 요소들 중 하나.]''' [[퍼니메이션]]을 통해 영어더빙되어 방영되었지만, [[일본 애니메이션]] 더빙이 활발한 북미권답지 않게 너무나도 부실하다. 일단 [[2004년]]에 방영된 [[빛의 전사 프리큐어|초대 프리큐어]]를 2009년이라는 한참 늦은 시기에 방영했을 뿐더러, 이마저도 [[애니맥스 코리아|Max Heart는 짤렸다.]] 설상가상으로 차기작들은 [[스마일 프리큐어!]], [[심쿵! 프리큐어]]를 빼고는 하나도 방영되지 않았으며, 굴지의 명작 [[Yes! 프리큐어 5]]조차도 방영되지 않았다. 또한 [[미국]]에서 처음 방영된 스마일 프리큐어!도 괴인 사천왕 중 남성진 3인의 역할을 [[키스 실버스틴]] 한 사람으로 돌려먹는 중복의 향연과 한국판보다도 더 심한 편집을 선보였다.[* 일부 에피소드가 잘렸다던가, 일부 장면들이 편집되었다던가.] 제목은 퍼니메이션과의 상표권 문제로 [[스마일 프리큐어!]]와 [[심쿵! 프리큐어]]를 각각 '글리터 포스', '글리터 포스 도키도키'라는 타이틀로 현지화해 방영하였다. [[빛의 전사 프리큐어]]는 상술했듯이 퍼니메이션을 통해 유통 및 현지화를 했지만, 스마일 프리큐어와 심쿵 프리큐어는 [[파워레인저]] 제작사로 유명한 사반 브랜즈에서 유통했기 때문. 등장인물들의 이름도 북미식으로 현지화되었지만, 당연히(?) 북미 현지화명으로 검색해도 동명의 배우들의 사진이 뜨지 얘네들이 뜨는 일은 없다. 오프닝과 엔딩, 작중 OST의 전부를 오리지널 곡으로 대체했다. [[유럽]] 국가들, 특히 [[이탈리아]]와 [[스페인]], [[독일]]에서도 [[빛의 전사 프리큐어]]부터 시작해 [[하트캐치 프리큐어!]]를 2013년까지 [[데스노트/애니메이션|데스노트]]와 [[너에게 닿기를(만화)/애니메이션|너에게 닿기를]]의 한국 더빙판처럼 '''[[현지화]] 없이''' 그대로 더빙해 방영했다. 이후 [[스위트 프리큐어♪]]를 건너뛰고 사반에서 현지화와 더빙을 한 글리터 포스를 수입했다. == 중화권 방영 == 대만에서는 《光之美少女》(빛의 미소녀)라는 제목으로 현지화되어 방송되고 있으며 또한 여기는 한국과는 달리 프리큐어로 변신했을 때의 명칭 역시 '○○天使'로 현지화하고 있다.[* 예를 들어, 큐어 해피의 경우 명칭이 '쾌락천사'로 변경되었다.] 이쪽도 한국과 마찬가지로 첫 시리즈부터 쭉 방영해오고 있었는데, [[심쿵! 프리큐어|광지미소녀 DOKI DOKI]] 이후 방영이 한동안 끊겼다가 뜬금없이 [[해피니스 프리큐어!|3]][[Go! 프린세스 프리큐어|작]][[마법사 프리큐어!|품]]을 건너뛰고 [[키라키라☆프리큐어 아라모드]]가 'KIRA KIRA☆ 광지미소녀 식상첨심'이라는 제목으로 2017년 하반기에 방영했다. 2020년 1월부터 홍콩에서 [[해피니스 차지 프리큐어!]]가 '행복폭발 광지미소녀'라는 제목으로 방영했으며, 같은 해 7월 25일부터 대만에서 [[힐링굿♡ 프리큐어|힐링굿♡프리큐어]]가 '원기마법♡ 광지미소녀'라는 제목으로 방영을 했으며 2021년 6월 19일부터 대만에서 [[트로피컬 루즈! 프리큐어]]가 '열정섬요 광지미소녀'라는 제목으로 방영했으며, 2022년 5월 21일부터 [[딜리셔스 파티♡프리큐어]]가 '미미Party♡광지미소녀'라는 제목으로 방영한다. 한국과는 달리 이쪽은 오프닝과 엔딩을 번안하지 않고 원곡을 그대로 내보내는 경우가 많아 번안된 주제가가 상당히 적으며, 화면도 일본어 자막이 깔린 영상에 그냥 [[중국어]] 자막을 덧붙여 방영한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프리큐어 시리즈, version=3276, paragraph=16)] [[분류:프리큐어 시리즈]][[분류:애니메이션/해외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