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만화 및 애니메이션 관련 정보/일본)] ||<:> [[파일:external/www.precure-allstars.com/img_main.jpg]] || ||<:> '''[[두 사람은 프리큐어]] ~ [[마법사 프리큐어!]]의 주역들''' || {{{+1 '''プリキュアシリーズ / Precure Series'''}}} [목차] == 개요 ==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시리즈|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오쟈마녀 도레미]]를 이어 다수의 여아 대상 애니메이션을 제작한 경험이 있던 [[토에이]]에서 [[내일의 나쟈]] 후속작으로 2004년부터 방송을 시작한 여아 대상 애니메이션 시리즈이다. == 상세 == 평범하게 살아가던 소녀들[* [[프리큐어]]들 중에는 '평범하게 살아가던 소녀'가 아닌 경우도 일부 존재하지만 절대다수는 여기에 해당되며 특히 [[주인공]]에 해당하는 프리큐어는 전부 예외 없이 평범하게 살아가던 소녀들이다.]이 보통 인간을 아득히 뛰어넘는 [[괴력]]과 순발력 등 초인적인 신체 능력을 가진 [[프리큐어]]라는 전사로 변신하여 악의 세력과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다. 소재 자체로 봐서는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시리즈]]로부터 이어진 기존의 '[[싸우는 미소녀|악에 맞서 싸우는 히로인]]'이라는 보편적인 콘셉트를 그대로 답습한 작품이지만 작풍에 있어서는 기존의 여아 대상 애니메이션에서 볼 수 없었던 다양하고 다채로운 시도를 한 이색작이다.[* 분명 여아 애니메이션인데 육탄전은 기본이요 여아 애니메이션이라고는 보기 힘들 정도의 감정 표현이나 중학생 시기에 겪을 만한 갈등이나 사랑 같은 감정을 눈높이에 맞게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최종 보스]]들은 깨지는 것이 다수지만 드물게도 그렇지 않은 [[최종 보스]]들과 진지함과 장난을 섞어놓은 중간 보스들이나 간부들로 하여금 시리즈의 재미를 불어넣는 등 상당히 다채로운 시도를 하였다.] 시리즈 최대의 특징은 기존 여아 대상 작품에서 찾아볼 수 없던 강렬한 '육탄전' 묘사이며 또한 연애 요소의 비중을 낮추고 여주인공들의 우정과 싸움 중의 연계를 강조한 것도 특징이다. 첫 작품인 《[[두 사람은 프리큐어]]》와 후속작 Max Heart의 경우 파격적인 작풍으로 큰 화제를 불러모았으나 역으로 기존 여아 애니의 작풍을 파괴한 본작이 그 강렬한 개성 탓에 '또 하나의 틀'로서 굳어져버리는 역효과도 낳았다. 작풍 뿐만 아니라 [[마법소녀물]]로서의 내용적인 면에 있어서도 처음에는 '이런 폭력적인 애니가 무슨 마법소녀냐!'라는 비난을 받을 정도였지만 이후에 [[마법소녀 리리컬 나노하 시리즈]], [[스트라이크 위치즈]]등 [[남성향]] [[오타쿠]] 마법소녀물과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등의 진정한 '''훼이크 마법소녀물'''들이 등장하면서 어느새 본 시리즈가 '정통 마법소녀물' 로 분류되고 있을 지경. [[흠좀무]]. 다만 후기 시리즈로 가면서 육탄전의 비중이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추세여서 이제는 일반 [[마법소녀물]]과 다를 것도 없다는 의견도 나온다. 특히 2017년 [[키라키라☆ 프리큐어 아라모드]]는 육탄전이 아닌 '크림 에너지'를 사용한 원거리 전투를 메인으로 내세우고 있어서 이젠 '육탄전'이라는 정체성이 매우 약해진 상태이다. 시리즈 전체에서 공통으로 보이는 주제는 '마지막까지 포기하지 않고 최선을 다하는 것[* 이런 점은 소년만화에서 찾아보기 쉬운데 이건 어디까지나 여아 대상 애니메이션이란 것에서 의미가 있다.]'과 '모두가 힘을 합치면 무엇이든 할 수 있다.'이다. 그리고 역시 세일러문으로 이어진 것으로 적들의 목표가 궁극적으로는 하나같이 [[우주정복]]레벨의 스케일을 보여준다. 프리큐어 시리즈는 소위 [[오타쿠]] 계층에게 다른 여아 애니메이션과는 비교를 불허하는 인기를 끌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프리큐어 시리즈는 심지어 [[코미케]]에서도 서클 수가 10위권에 달하는 한 축으로 자리잡았을 정도. 위 내용처럼 소녀들이 적극적으로 전투에 참여하고 자신의 삶을 직접적으로 개척해 나간다는 점에서 [[페미니스트]]들 사이에서 평가가 매우 좋다. 또한 시리즈 특성상 남녀간의 연애는 비중이 낮고 그보다 소녀들 사이의 우정을 강조하는 스토리도 한몫 할 듯. 어떤 외국인 팬이 쓴 [[http://ladyloveandjustice.tumblr.com/post/53718833606/the-great-feminist-manga-and-anime-list-precure|이 리뷰]]가 참고가 될 것이다. 간혹 프리큐어 시리즈에서 주연을 맡던 성우가 바로 옆동네인 [[슈퍼 전대 시리즈]]나 [[가면라이더 시리즈]]에 출연하기도 한다. 간혹 아군으로도 나오지만.[* 대표적인 케이스가 [[염신전대 고온저]]의 사령관 캐릭터인 [[봄퍼]]로 출연한 [[큐어 파인]] 역의 [[나카가와 아키코]]와 [[열차전대 토큐저]]의 [[왜건]]으로 출연한 [[큐어 매지컬]] 역 [[호리에 유이]]가 있다.] 대부분은 악의 세력의 여간부 성우로 나온다.[* 아주 가끔이지만 1회성 괴인 성우로도 출연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가 [[오키 카나에]].] == [[마법소녀물]]인가, 아닌가? == [[프리큐어 시리즈]]가 [[마법소녀물]]에 해당하는 지에 대해서 논란이 있다. 마법이 아니라 주먹과 몸으로 싸우는데 이걸 마법소녀라고 할 수 있냐는 것. 여기에 반박하는 의견으로는 육탄전의 비중이 높다고 해도 마무리는 특수 기술[* 프리큐어 팬덤에서는 [[필살기]]보다는 '정화기'로 부르는 경향이 있는데, [[하트 캐치 프리큐어!]] 이후 마물을 죽이는 것이 아니라 정화한다는 설정으로 가는 추세이기 때문이다.]로 끝낸다는 점,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시리즈 등의 기존 배틀 마법소녀물에도 비중이 적을 뿐이지 육탄전은 존재했으니 새삼스럽지 않다는 점, [[두 사람은 프리큐어 Splash Star]]와 [[Yes! 프리큐어 5]]를 거치면서 마법전의 비중이 크게 늘어나면서 더 이상 일반적인 마법소녀물과 다를 것도 없다는 점 등을 근거로 든다. [[두 사람은 프리큐어 Splash Star|SS]] 이후 점점 전투 스타일도 바뀌고 [[Yes! 프리큐어 5]]부터는 여아들이 선호할법한 요소[* [[두 사람은 프리큐어|초기]] [[두 사람은 프리큐어 Splash Star|프리큐어]]가 각종 전투씬으로 좋은 평가를 받고 있으나, 정작 여아들은 전투씬보다는 귀여운 것이나 화려함을 더 선호하는 시기라 그런지 초기 작품에 대해 별로 호감을 가지지 못하는듯 하다.]들도 많이 들어갔으며, 현재 [[마법사 프리큐어!]] 시점에서는 초창기와는 스타일이 많이 달라졌다. 같은 프리큐어 시리즈끼리 비교해봐도 [[두 사람은 프리큐어|초기]] [[두 사람은 프리큐어 Splash Star|프리큐어]]와는 다르게 [[Yes! 프리큐어 5|후]][[프레시 프리큐어!|기]] [[하트 캐치 프리큐어!|프]][[스위트 프리큐어♪|리]][[스마일 프리큐어!|큐]][[심쿵! 프리큐어|어]] [[해피니스 차지 프리큐어!|시]][[Go! 프린세스 프리큐어|리]][[마법사 프리큐어!|즈]]들이 훨씬 세련되고 화려해지면서 보다 정통 마법소녀물에 가깝게 '''보인다'''. 따라서 프리큐어 시리즈가 마법소녀물 같지 않아 보인다는 일부 사람들의 주장은, 다분히 [[두 사람은 프리큐어|초대]]나 [[두 사람은 프리큐어 Splash Star|SS]] 만을 보고 잘못 생각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마법사 프리큐어!]]를 제외하면 작중에서 사용하는 특수 기술이 '마법'으로 칭해진 적은 없지만, 그런 식으로 따지면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시리즈|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을 비롯해서 배틀 마법소녀물 중에도 '마법'이란 용어가 등장하지 않는 작품은 많이 있다. 작중에서 꼭 '마법'이란 용어가 등장해야만 사람들이 [[마법소녀물]]로 취급하는 것은 아니다. 프리큐어들의 기술은 '아이템의 힘을 빌려 사용하는 특수한 힘'이라는 점에서 다른 [[마법소녀물]]에 등장하는 마법과 크게 다르지 않다. 인터넷에서는 프리큐어 제작진이 '[[프리큐어]]는 마법소녀가 아니며 프리큐어 시리즈는 마법소녀물이 아니다. 프리큐어는 마법으로 뭐든 척척 해결하는 존재가 아니라 스스로의 힘과 의지로 소중한 일상을 지키기 때문'이라고 발언했다는 정보가 떠돌고 있는데 확인된 정보는 아니다. 설령 위의 인터뷰가 사실이라고 하더라도 그것은 어디까지나 제작진의 의견일 뿐이고, 프리큐어가 마법소녀물의 틀을 따르고 있다는 사실 자체는 부정할 수 없다. 또한 프리큐어 시리즈가 10년 넘게 이어지면서 제작진이 꾸준히 교체되었기 때문에 이후의 제작진도 같은 생각일지는 알 수 없다. 2016년에 나온 [[마법사 프리큐어!]]는 "마법사"를 컨셉으로 잡고 주인공들이 마법을 사용하는 전개가 나와 더욱 [[마법소녀물]]에 가까워졌다. 2017년에 나온 [[키라키라☆ 프리큐어 아라모드]]는 스틱에서 나오는 '크림 에너지'로 원거리 액션을 주로 하기 때문에 이젠 사실상 [[마법소녀물]]이다. 무엇보다, 십년이 넘게 이어지는 시리즈물에서 그런 논쟁이 이제와서 무슨 의미가 있겠느냐마는....~~가면라이더나 전대물도 과학이랑 마법이랑 별에별 거를 다 다루고 있는 판국에.~~ == 시리즈 일람 == 프리큐어 시리즈는 4쿨로 보통 1년 단위로 방송된다. ||
<-4><:> [[TV판]] || ||<:> 작품명 ||<:> 방영연도 ||<:> 화수 ||<:> 비고 || || [[두 사람은 프리큐어]] [br] (ふたりはプリキュア / PRETTY CURE[* 본작의 공식 영문표기이다. 프리큐어 시리즈의 타이틀의 공식 영문표기는 전부 대문자로 표기되어 있다.]) ||<:> 2004년 ||<:> 전 49화 || || || [[두 사람은 프리큐어 Max Heart]] [br] (ふたりはプリキュア Max Heart / PRETTY CURE Max Heart[* Max Heart는 대문자로만 쓰지 않는다.]) ||<:> 2005년 ||<:> 전 47화 || 극장판 2편 개봉 || || [[두 사람은 프리큐어 Splash Star]] [br] (ふたりはプリキュア Splash Star / PRETTY CURE Splash Star[* Splash Star는 대문자로만 쓰지 않는다.]) ||<:> 2006년 ||<:> 전 49화 || 극장판 1편 개봉, 3D 영화 1편 개봉 || || [[Yes! 프리큐어 5]] [br] (Yes! プリキュア5[* 프리큐어 시리즈 중 유일하게 공식 영문표기가 없다.]) ||<:> 2007년 ||<:> 전 49화 || 극장판 1편 개봉 || || [[Yes! 프리큐어 5 GoGo!]] [br] (Yes! プリキュア5 GoGo![* 상동(上同)]) ||<:> 2008년 ||<:> 전 48화 || 극장판 1편 개봉 || || [[프레시 프리큐어!]] [br] (フレッシュプリキュア! / FRESH PRETTY CURE[* 공식 영문표기에 [[!]]가 없다.]) ||<:> 2009년 ||<:> 전 50화 || 극장판 1편 개봉[* 이때부터 상반기에 올스타즈 시리즈개봉, 하반기에 단독극장판개봉의 형태로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각 올스타즈 시리즈에서 현재 방영중인 멤버를 중심으로 보여주는 경향이 있기때문에 2편이라고 볼 여지도 약간은 있다.] || || [[하트 캐치 프리큐어!]] [br] (ハートキャッチプリキュア! / HEARTCATCH PRECURE![* 본작부터 프리큐어의 영문표기는 PRETTY CURE가 아니라 '''PRECURE'''이다. 단, 한국,이탈리아판에서는 'PRETTY CURE'라고 표기되었다.][* 하트 캐치의 영문표기는 공식에 따라 붙여써야 한다.]) ||<:> 2010년 ||<:> 전 49화 || 극장판 1편 개봉 || || [[스위트 프리큐어♪]] [br] (スイートプリキュア♪ / SUITE PRECURE♪) ||<:> 2011년 ||<:> 전 48화 || 극장판 1편 개봉 || || [[스마일 프리큐어!]] [br] (スマイルプリキュア! / SMILE PRECURE!) ||<:> 2012년 ||<:> 전 48화 || 극장판 1편 개봉 || || [[심쿵! 프리큐어]] [br] (ドキドキ! プリキュア / DOKIDOKI! PRECURE[* 한국판은 'HEARTBEAT! PRECURE']) ||<:> 2013년 ||<:> 전 49화 || 극장판 1편 개봉 || || [[해피니스 차지 프리큐어!]] [br] (ハピネスチャージプリキュア! / HAPPINESSCHARGE PRECURE![* [[하트캐치 프리큐어!]]의 공식 영문표기와 마찬가지로 해피니스 차지의 영문표기는 공식에 따라 붙여써야 한다.]) ||<:> 2014년 ||<:> 전 49화 || 극장판 1편 개봉 || || [[Go! 프린세스 프리큐어]] [br] (Go! プリンセスプリキュア / Go! PRINCESS PRECURE[* Go는 대문자로만 쓰지 않는다.]) ||<:> 2015년 ||<:> 전 50화 || 극장판 3편 동시 개봉[* 3편이라곤 하나 상영시간이 각 5분, 50분, 18분이며 중간중간 이어주는 자투리 영상 포함하여 총 76분 분량으로 길이만을 고려하면 타 극장판 1편과 거의 같다.] || || [[마법사 프리큐어!]] [br] (魔法つかいプリキュア! / MAHO GIRLS PRECURE!) ||<:> 2016년 ||<:> 전 50화 || 극장판 1편 개봉 || || [[키라키라☆ 프리큐어 아라모드]] [br] (キラキラ☆プリキュア アラモード/ KiraKira Precure A La amode) ||<:> 2017년 || || 극장판 1편 개봉예정 || ||
<-3><:>[[극장판]] || ||<:> 작품명 ||<:> 개봉일 ||<:> 비고 || || [[영화 두 사람은 프리큐어 Max Heart]] || 2005년 4월 16일 || || || [[영화 두 사람은 프리큐어 Max Heart2 눈내리는 하늘의 친구들]] || 2005년 12월 10일 || || || [[영화 두 사람은 프리큐어 Splash Star 똑딱똑딱 위기일발!]] || 2006년 12월 9일 || [* <디지몬 세이버즈 THE MOVIE 궁극파워! 버스트 모드 발동!!>과 동시 상영.] || || [[영화 Yes! 프리큐어 5 거울 나라의 미라클 대모험!]] || 2007년 11월 10일 || [* 현재까지 유일하게 우리말로 더빙된 단독 시리즈 극장판이다.] || || [[영화 Yes! 프리큐어 5 GoGo! 과자 나라의 해피 버스데이♪]] || 2008년 11월 8일 || [* <초~단편 프리큐어 올스타즈 GOGO 드림라이브!> 상영.] || || [[영화 프리큐어 올스타즈 DX 모두 친구☆기적의 전원 대집합!]] || 2009년 3월 20일 || 올스타즈 시리즈 1 || || [[영화 프레시 프리큐어! 장난감 나라에는 비밀이 가득!? ]] || 2009년 10월 31일 || || || [[영화 프리큐어 올스타즈 DX2 희망의 빛☆레인보우 쥬얼을 지켜라!]] || 2010년 3월 20일 || 올스타즈 시리즈 2 || || [[영화 하트캐치 프리큐어!꽃의 도시에서 패션쇼...입니까!?]] || 2010년 10월 31일 || || || [[영화 프리큐어 올스타즈 DX3 미래에 닿아라! 세계를 잇는☆무지갯빛 꽃]] || 2011년 3월 19일 || 올스타즈 시리즈 3 || || [[영화 스위트 프리큐어♪ 되찾아라! 마음이 이어진 기적의 멜로디!]] || 2011년 10월 29일 || || || [[영화 프리큐어 올스타즈 New Stage 미래의 친구]] || 2012년 3월 17일 || 올스타즈 시리즈 4[* 국내에서는 이 시리즈부터 올스타즈가 더빙되었다.] || || [[영화 스마일 프리큐어! 그림책 속은 모두 뒤죽박죽]] || 2012년 10월 27일 || || || [[영화 프리큐어 올스타즈 New Stage 2 마음의 친구]] || 2013년 3월 16일 || 올스타즈 시리즈 5 || || [[영화 심쿵! 프리큐어 마나 결혼!!? 미래로 이어지는 희망의 드레스]] || 2013년 10월 26일 || || || [[영화 프리큐어 올스타즈 New Stage 3 영원한 친구]] || 2014년 3월 15일 || 올스타즈 시리즈 6 || || [[영화 해피니스 차지 프리큐어! 인형 나라의 발레리나]] || 2014년 10월 11일 || || || [[영화 프리큐어 올스타즈 봄의 카니발♪]] || 2015년 3월 14일 || 올스타즈 시리즈 7 || || [[영화 Go! 프린세스 프리큐어 Go! Go! 호화 3편!!!]] || 2015년 10월 31일 || [* 프리큐어 극장판 최초의 3편 동시상영작이다.] || || [[영화 프리큐어 올스타즈 모두 노래하자♪ 기적의 마법!]] || 2016년 3월 19일 || 올스타즈 시리즈 8 || || [[영화 마법사 프리큐어! 기적의 변신! 큐어 모후룬!]] || 2016년 10월 29일 || || || [[영화 프리큐어 드림스타즈!]] || 2017년 3월 18일 || [* 프리큐어 전체가 모이는게 아니므로 올스타즈로 분류하기 애매하기에 비워놓는다 분류가 되면 [[수정바람]]] || == 구성 == 첫 작품인 《[[두 사람은 프리큐어]]》는 총 2부에 걸친 내용으로 구성되었고 후속작인 Max Heart까지 포함하면 3부 구성의 전개다. 그리고 2년에 걸쳐 장기 시리즈화되었고 이는 후속작인 《[[Yes! 프리큐어 5]]》에서도 그대로 전개되었다. 시리즈에서 2년에 걸쳐 방영된 작품은 아직까지는 《두 사람은 프리큐어》와 《Yes! 프리큐어 5》 둘 뿐이다. [[Yes! 프리큐어 5]] 이후 후속작들이 2년에 걸쳐 방영하지 않는 이유가 [[프리큐어 올스타즈|올스타즈]] 때문이라는 추측이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두 사람은 프리큐어]] Max Heart》 이후로 일본에서 방영되고 나서 2년이 지난 후에 방영되고 있다. [[타이완]]과 [[홍콩]]에서는 《빛의 미소녀》[* 광지미소녀(光之美少女).]라는 제목으로 방송되고 있으며 시기도, 일러스트도 한국과 똑같다[* 다만 시기는 한국과는 달리 10~11월에 방영한다.]. [[북미]]에서는 2009년에 [[퍼니메이션]]과 토에이가 1기만 직접 [[캐나다]]에서만 방영했으며[* 사실 원래는 [[4Kids Entertainment]]가 방영하겠다고 했으나 결국 무산되었다고 한다.] 나머지 시리즈는 감감무소식...이었으나 2015년 12월18일부터 《[[스마일 프리큐어!]]》가 미국에서 《Glitter Force》라는 이름으로 방영중이라고 한다. 언제 《[[Yes! 프리큐어 5]]》도 방영될 거라는 소식이 있었지만 루머였던 듯. [[독일]], [[이탈리아]]를 비롯한 [[유럽]]에서도 한창 방영 중이다. == 각 시리즈의 연관성 == 스플래시 스타부터는 매번 [[평행세계]]라는 설정으로 '전설의 전사 프리큐어'의 존재만이 공유되고 있다. 그에 따라 달라지는 무대배경 및 미술도 특징 중 하나. 그리고 프리큐어에 대한 배경도 가지각색이다. 예를 들어 흔히 초대라고 불리는 블랙과 화이트는 '''그녀들 본인이 전설의 전사'''이지만 하트 캐치 프리큐어의 프리큐어들은 이미 몇 대나 내려올 정도로 역사 있는 조직(?)이다. 게다가 각 세계관에서는 프리큐어를 지칭하는게 조금씩 다른데, [[Go! 프린세스 프리큐어]]에서는 프리큐어가 전설의 프린세스이고 [[마법사 프리큐어!]]에서는 프리큐어가 전설의 마법사와 같이 작중에서 지위가 조금씩 다르다. 초대인 MAX HEART와 Splash Star, 그리고 프리큐어 5 시리즈가 후배들이 많아지다보니 올스타즈 DX3에서 활약을 마무리하고 올스타즈 New Stage 등에서는 대사가 없는[* New Stage 2에서는 MAX HEART 팀의 대사가 있었고 New Stage 3에서는 Splash Star, Yes팀도 대사가 생겼다.] 도와주는 선배님들(?)로 등장. 당연히 비중도 그만큼 줄었다. 말한 것처럼 맥스 하트, 스플래시, 예프파가 후배들이 늘어남에 따라 선배격 프리큐어가 되었고 프리큐어의 방향성을 바꾸려고 노력한 프레시, 하트 캐치, 스위트 팀이 여러 방향성을 제시해주어서[* 사실 방향성을 바꾸는 데 가장 큰 기여를 하고 희생한 것은 스플래시 팀이다. 스플래시 스타부터는 프리큐어가 변신하면 그만큼 헤어스타일이 크게 바뀌게 되었다는 등 여러 방향성이 제시되었다. 다만 맥스 하트에 비해 별로 좋은 성과를 얻지 못했으나 이후 예프파의 활약(?)으로 완벽히 자리를 잡게 되어 프레시부터 8등신 프리큐어 등으로 여러 방향성을 제대로 잡고 나아가게 되었다.] 결국 지금의 후배격 프리큐어들인 스마일, 심쿵, 그리고 해피니스 차지로 10주년을 이어나갈 수 있게 된 것.[* 인기가 늘어남에 따라 스마일부터는 노림수로(?) 대다수 프리큐어들이 모에선을 맞았다는 것도 한 몫 한다. 물론 시작은 8등신인 프레시 팀부터겠지만.] == 참여한 애니메이터 == 프리큐어 시리즈에는 '총작화감독'이 존재하지 않는다. 단지 캐릭터 디자이너와 각 화 작화감독이 있을 뿐이며 캐릭터 디자이너가 작화감독으로 참여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초대, 스마일). 그러므로 프리큐어 시리즈는 각 에피소드마다 작화감독의 개성이 강하게 드러나 있으며 시청자 입장에서 그 차이를 구분하는 것도 하나의 재미라 하겠다. 물론 나쁘게 말하면 작화에 통일성이 없다는 것이라서 작화감독에 따라서는 전혀 딴 사람으로 보이기도 한다. 이 나쁜 쪽으로 유명한 것이 통칭 '사신작감' [[카와노 히로유키]].[* 이례적으로 2016년 방영작 [[마법사 프리큐어!]]에서는 10화까지 총작화감독이 존재했는듯. 초대부터 프레시까지 극장판에서(올스타즈 제외) 작화감독을 담당한 타메가이 카츠미(爲我井克美). 엔딩 크레딧에서 각 화 작화감독 옆에 총작화감독으로서 표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여전히 매화마다 작화감독의 개성이 드러나는 것은 이전까지와 다를 바가 없었고, 11화부터는 다시 총작화감독이 없어졌다.] 또한 많은 애니메이터들이 토에이에서 장기간 활동해 오고 있으므로 프리큐어 시리즈를 담당한 애니메이터들은 대부분이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시리즈|세일러문]] 시리즈나 [[우마코시 요시히코]]처럼 [[오쟈마녀 도레미]] 시리즈에도 참가한 사람들이다. 이 외에 프리큐어 시리즈에 참여한 애니메이터로서는 [[우에노 켄]], [[오오츠카 타카시]] 등이 있다. === 역대 캐릭터 디자이너 === * [[두 사람은 프리큐어]] - [[이나가미 아키라]] * [[두 사람은 프리큐어 Splash Star]] - [[이나가미 아키라]] * [[Yes! 프리큐어 5]] - [[카와무라 토시에]] * [[프레시 프리큐어!]] - [[카가와 히사시]] * [[하트 캐치 프리큐어!]] - [[우마코시 요시히코]] * [[스위트 프리큐어♪]] - [[타카하시 아키라]] * [[스마일 프리큐어!]] - [[카와무라 토시에]] * [[심쿵! 프리큐어]] - [[타카하시 아키라]] * [[해피니스 차지 프리큐어!]] - 사토 마사유키 * [[Go! 프린세스 프리큐어]] - 나카타니 유키코 * [[마법사 프리큐어!]] - 미야모토 에미코 * [[키라키라 프리큐어 아라모드]] - 이노 마리에 * [[프리큐어 올스타즈]] - [[아오야마 미츠루]][* 전 디자이너 공동 참여라지만 사실상 작화, 원화는 전부 이 사람이 담당한다. 올스타즈 오리지널 캐릭터인 최종보스들, [[사카가미 아유미|큐어 에코]], [[퓨전(프리큐어 올스타즈)|퓨전]], [[그렐]], [[엔엔]], 유메타 등이 속한다.] == 자주 나오는 특징 == 자주 나오는 특징이라고 서술된 이유는 항상 그런 패턴인 '전통' 이 아니기 때문이다. 쉽게 말해 '''예외도 있다.''' * 등장하는 모든 프리큐어[* 그와 [[키류 카오루|유사한]] [[키류 미치루|존재]]나 [[쿠조 히카리|동일시]] [[미미노 쿠루미|되는 존재]]도 [[캔디(스마일 프리큐어!)|모두]] [[사카가미 아유미|포함]]한다.]의 전투력은 개인차가 있지만 '''[[의지드립|마음과 의지가 확고하고 강하면 그만큼 강해진다]]'''. 이건 전통에 가깝다. * [[Yes! 프리큐어 5]] 이후부터 시리즈마다 [[CMYK|분홍색, 파란색, 노란색]] 프리큐어가 반드시 있다. 특히 이러한 속성의 프리큐어들을 묶어 '''핑크 팀''', '''블루 팀''', '''옐로우 팀'''으로 통칭한다.[* [[프리큐어 올스타즈 DX3]] 관련으로 제작진들이 공식적으로 언급한 용어. 이외의 색 속성은 딱히 정해진 건 없으나 통상 빨간색, 녹색, 보라색이 각 시리즈 별로 번갈아 등장한다.] * 주인공 캐릭터(통칭 '''핑크 팀''') 관련[* 다만 상징색, 말버릇을 제외.] * '''상징색이 [[분홍색]], [[검정]]이다'''. * 다소 [[공부]]에 서툴고 멤버 중에서 [[얼굴개그]]와 [[몸개그]] 전담이다.[* [[하나사키 츠보미]]와 [[아이다 마나]]는 제외. 둘 다 공부에는 일가견이 있으며 특히 츠보미는 성격이 점잖은 편이라 얼굴 표정으로는 [[쿠루미 에리카]]가 더 뜬다.] * 대부분 성격이 적극적이고 활발하며, 싸울 때마다 앞장선다. * [[말버릇]]이 독특하다.[* 나기사는 '''말도 안돼~''', 사키는 '''절호조니라!'''' 노조미는 ''''~~결정''' 러브는 '''행복을 손에 넣는거야!''' 츠보미는 '''나 인내심이 끊어졌어요!''' 히비키는 '''이걸 못하면 여자가 아니지!''' 미유키는 '''울트라 해피~'''와 '''합뿌뿌~''' 마나는 '''큥큥~''' 메구미는 '''행복 해피니스''', 하루카는 '''~활짝!'''미라이는 '''오늘도 힘찬 하루가 되어라!'''.] * 음식을 밝힌다. * 주인공들 이름은 한자 한 글자로 표현이 가능하다는 규칙이 존재했지만,[* 일단 일본어에서 인명으로 사용하는 한자는 [[신자체]]와 [[구자체]]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다만, [[히라가나|가]][[카타카나|나]]가 아닌 처음부터 한자표기가 정해진 경우는 공식으로 정해진 한자만 표기가 가능하고, 이 경우는 굵은 표시를 하였다.][* 이름이 [[가나(문자)|가나]]로 된 주인공의 한자표기는 제법 많기 때문에(...), 여기서는 이름과 연관된 뜻을 지닌 한자만 작성하였다. [[미스미 나기사|나기사]](물가)=渚/渚(점이 있는 渚로 일반적인 한자변환으로는 입력이 불가능하기에 지우지 말 것.)/汀, [[휴가 사키|사키]](꽃이 피는 것)='''咲''', [[유메하라 노조미|노조미]](희망, 소망, 꿈)=希/望/夢, [[모모조노 러브|러브]](사랑)=愛, [[하나사키 츠보미|츠보미]](꽃봉오리)=蕾/莟, [[호조 히비키|히비키]](소리가 울리는 것)='''響''', [[호시조라 미유키|미유키]](행운, 행복)=幸, [[아이다 마나|마나]](사랑)='''愛'''([[카타카나]]로 표기하지만, 본명이 한자이름), [[아이노 메구미|메구미]](은혜, 은총, 사랑)=恩/恵/惠/愛, [[하루노 하루카|하루카]](아득함)=遥/遙/杳(봄과 관련된 의미로 사용할 경우 春도 사용이 가능하나, 이는 春香, 春花 등 한자 2자 이상일 경우에 가능하고 단독으로는 사용하지 않는듯 하다.)의 식으로 쓸 수 있다. 사키, 히비키, 마나는 본명부터가 한자이며, 다만 마나는 [[카타카나]]로 표기되어 특정한 한자로 표기하지 않는다.][* 여담으로 [[모모조노 러브|러브]], [[아이다 마나|마나]], [[아이노 메구미|메구미]]는 한자로 '''愛'''를 쓸수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메구미는 보통 은혜의 뜻으로 恩/恵/惠로 표기하지만, 성인 [[아이노|아이노(愛乃)]]와 프리큐어일 때의 [[큐어 러블리|큐어 러블리(Cure Lovely)]]에서 알수 있듯이 [[사랑]]을 의미하기도 해서 愛로 쓸수도 있다. 멀리갈 것도 없이 메구미의 성우인 [[나카지마 메구미]]는 이름을 '''愛'''로 표기한다. 나머지 2명도 이름에서 사랑과 관련되어 있고, 유래는 각 항목을 참고할 것.] 2016년 [[마법사 프리큐어!]]에서 그 전통이 깨질 듯 싶다.[* 2016년의 주인공 [[아사히나 미라이]]의 이름 '''미라이'''는 한자 한 글자로 축약할 수 없는 이름이다. 보통 미라이(미래)는 '''[[신자체|未来]]'''/'''[[구자체|未來]]'''가 되므로... 다만, [[미라이]]는 여자 아이의 이름으로 사용하는 한자 중에 '夢'으로 쓰는 예가 있다. 아무래도 미래=희망=꿈 이런 식으로 유추가 가능하긴 하다.] * 주변의 다른 [[남캐]]를 [[짝사랑]]하거나 다른 남캐의 짝사랑의 대상이 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유메하라 노조미]]는 작중 [[코코(Yes! 프리큐어 5)|남캐]]와 서로 눈이 맞아 이어진 유일한 케이스이다.][* 스위트에서는 히비키가 아닌 카나데가 그 컨셉을 가져갔고, 스마일에서는 아예 연애 요소가 드러나지 않았다. 마법사에서는 아예 남캐의 비중이 그렇게 크지도 않았고, 그나마 비중이 있는 캐릭터는 할아버지다...] * 전투시에는 주로 [[펀치]]를 많이 사용하며 강력한 힘으로 상대를 찍어 누르는 전법을 구사한다. * [[헤어스타일]]은 [[단발]] 아니면 [[장발]]이고, 장발일 경우 [[호죠 히비키]]를 제외하고는 전부 머리카락을 묶고 다닌다.[* [[하나사키 츠보미|츠보미]]=[[트윈테일]], [[호시조라 미유키|미유키]]=[[롤빵머리]], [[아이노 메구미|메구미]]=[[포니테일]]](변신 전의 경우) * 한국판 더빙 한정으로는 [[큐어 블로섬]]을 제외하고는 주로 대원방송 소속이 아닌 타사 베테랑 성우가 캐스팅되었다. * '''블루 팀''' 관련[* 다만 특징이 거의 겹치는 핑크 팀과는 달리 아래 제시된 특징 중 한 두가지 정도는 속하지 않는 케이스가 많다.] * 상징색이 [[파란색]], [[흰색]], [[초록색]]으로 구성된다. * 대부분 [[천재]] 혹은 그에 준하는 지능을 갖고 있으며, 전투시에는 [[참모]] 역할을 맡는다.[* 다만 프리큐어 시리즈는 육탄전 중심이라서 잘 모르지만, 가끔 두뇌 플레이가 필요한 경우 엄청난 존재감을 발휘한다.]([[쿠루미 에리카]], [[미도리카와 나오]], [[시라유키 히메]]는 예외)[* 하지만 참모 역할을 제외하고, 천재 혹은 그에 준하는 지능이 있는 건 모두 같다. 첫번째 호노카는 전 과목(특히 과학)이 뛰어나고, 두번째 마이는 미술 쪽, 세번째 카렌과 코마치는 학생회장과 음악, 집필력이 뛰어나며, 네번째 미키는 모델로서 재능을 뽐내고 있으며, 다섯번째 에리카는 패션 감각과 디자인 실력이 뛰어나며, 여섯번째 카나데는 컵케이크를 잘 만드는 등 요리에 재능이, 일곱번째 나오와 레이카는 축구와 궁술에 뛰어나며, 여덟번째 릿카는 우등생에 카루타가 뛰어나며, 아홉번째 히메는 영어 회화력이 뛰어나며, 열번째 미나미는 팔방미인으로 존경받는 학생회장이다.] * 주인공 캐릭터 다음으로(그러니까 2번째로) 변신하는 케이스가 많으며,[* Yes! 프리큐어 5, 스마일 프리큐어, 해피니스 차지 프리큐어는 예외.] 타 프리큐어들에 비해 주인공과 관계가 높은 것으로 묘사되어 주인공을 정신적으로 지지해주는 역할을 맡는다. * 멤버들 중 [[장신]]이며 [[누님]] 속성을 지닌 경우가 많고 타 프리큐어들에 비해 무언가가 어른스러운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쿠루미 에리카]], [[시라유키 히메]]는 예외) * 대부분 작중 [[츳코미]] 역할을 맡는다.([[나츠키 린]], [[히노 아카네(스마일 프리큐어!)|히노 아카네]]는 예외) * 평소에는 차분하고 온화한 성격이지만 한 번 화가 나면 무서운 성격으로 변하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전투시에 이런 경우가 생기면 엄청난 전투력을 발휘한다. * [[헤어스타일]]은 [[장발]]이며 특히 머리를 따로 묶지 않은 [[스트레이트 헤어]]가 많다.(변신 전의 경우) * 전투시에는 주로 [[킥]]을 많이 사용하며 다양한 기술을 이용해 적을 제압하는 전법을 구사한다. * 왜인지 다른 캐릭터들에 비해서 '''[[네타 캐릭터]]'''로 굴려지는 경우가 잦다. * '''옐로우 팀''' 관련[* 상징색이 노란색과 빨간색(에 가까운 주황색)인 캐릭터 및 작중 추가되는 신캐릭터들로 구성되어있다.] * '''4차원인 캐릭터가 가장 많은 소속이다.''' * 상징색이 [[노란색]], [[보라색]], [[빨간색]]으로 구성된다. * 상징색이 노란색인 캐릭터들은 '''[[노란캐 보정]]''' 항목 참조. * 작중 새로 추가된 신캐릭터들은 [[만능 캐릭터]]의 면모를 보이는 경우가 많으며 대부분 타 프리큐어들보다 강한 전투력을 갖고 있고 타 프리큐어들과는 다른 변신 아이템을 쓰는 경우가 많다. 또한 메인 스토리와 관련된 비중이 높다. * [[보라색]] 계열의 프리큐어는 첫 등장시 신비적인 요소를 갖고 있으며, 작중에서 소중한 인물들을 잃거나 과거에 잃었던 일이 있다. 여담이지만 보라색 항목에 적혀진 긍정적인 의미와 부정적인 의미, 그리고 고귀함과 신비로움 등이 이와 유사한 색의 프리큐어들이 하나씩은 반드시 가지고 있는 테마인데 여러 모로 잘 맞물리는 부분. * [[빨간색]] 계열의 프리큐어는 [[히가시 세츠나|큐어 패션]]와 [[켄조 아키라|큐어 쇼콜라]] 을 제외하면 모두 [[불]] 속성을 다룬다.[* 심지어 기본색이 붉은색이 아닌 프리큐어가 붉은색으로 폼 체인지하는 [[아이노 메구미|큐어 러블리]]의 체리 플라멩고, [[아사히나 미라이|큐어 미라클]]과 [[이자요이 리코|큐어 매지컬]]의 루비 스타일도 모두 불의 능력을 다룬다. [[큐어 패션]]의 경우 오히려 변신을 하면 [[수영(스포츠)|물 속으로 들어가며]], 필살기인 '해피니스 허리케인'은 [[바람]]에 가깝다.] * [[악의 조직]] 관련 * 막판에 [[아군이 된 적 보정|어떤 형태로든 프리큐어들을 도와주는 간부가 한 놈이라도 나온다.]] 특히 '''[[키류 미치루|중학생]] [[키류 카오루|또래의]] [[히가시 세츠나|여자]][[쿠로카와 엘렌|아]][[아카기 토와|이]]'''는 반드시 프리큐어의 편이 되며 주인공 캐릭터와 같은 중학교에 전학 온 뒤 [[만능 캐릭터]]의 면모를 보인다.[* 다만 이 전통의 시초인 캐릭터는 '''남성'''인 [[키리야(두 사람은 프리큐어)|키리야]]다. [[해피니스 차지 프리큐어!]]에서는 그 전통이 깨질 것으로 보인다. 비슷한 또래라고 하면 [[퀸 미라주]] 정도이나, 알다시피 고대인인데다가 거의 종반부에서 아군으로 돌아왔다.] * 간부들 중 가장 지위가 낮은 하급 간부들은 대부분 3인조로 구성되며 보통은 [[삼악|힘을 많이 쓰는 덩치, 이성적인 성격의 쿨가이]], [[홍일점]] 역할의 [[여간부]]로 구성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덩치 대신 꼬마 속성이 포함되기도 한다.] 또한 '''이들은 최종화까지 대부분 생존했다'''([[프레시 프리큐어!]] 이후).[* [[프레시 프리큐어!]] 이전에도 간부 3인방 형식으로 등장한 적은 있었지만(두 사람은 프리큐어 Max Heart나 Yes! 프리큐어 5) 생존한 경우는 없었다.] * 악의 조직 간부는 대개 남성이지만, 여자도 한 놈은 반드시 있다.[* 대부분 시리즈에서는 여성 간부가 하급자인데, 드물게 상급 간부 내지는 최종 보스까지 맡는다.] * 간부 중 다른 간부들과 격이 다르게 강력한 상급 간부가 등장하며 이들은 프리큐어들을 위기로 몰아넣어 스토리에 전환점을 마련하는 계기를 마련한다. 또한 이들은 매우 유능한 것으로 묘사되며 작중 후반부에나 본격적으로 등장하는 최종 보스에 비해 여기저기서 많은 활약을 하기 때문에 최종 보스에 비해 [[미친 존재감]]을 발휘한다. * [[최종보스]]는 본부에 처박힌 채 간부들에게 지령을 내려 조직을 지휘하는 일 외에는 웬만해서는 나오지 않고 최종결전을 제외하면 한두 번이나 밖으로 나올까 말까 한다.[* 다만 [[발데스(두 사람은 프리큐어 Max Heart)|발데스]]나 [[고얀]]처럼 ([[진 최종보스|진]]) [[최종보스]]가 간부로 위장하고 있던 경우는 예외.] 이 때문에 때때로 2인자가 실질적으로 조직의 지휘를 담당하는데 그 2인자들도 밖으로 별로 잘 안 나오기는 마찬가지다(...) * 멍청한 간부가 있다. 프리큐어들의 정체? 주거지, 학교, 취미나 특기를 비롯한 신상을 아는데도, 기습공격할 생각이 없다. 심지어 몇몇은 '''빨리 변신하라며 일부러 변신이 끝날 때까지 기다린다'''. 여기서 알 수 있는 중요한 사실은 기존의 마법소녀물에서는 적 간부들이 [[안면인식장애]]가 있어 변신 전의 모습을 알아보지 못하였으나[* 물론 바로 알아보는 경우도 있긴 하나 이는 극소수이다.], 프리큐어 시리즈[* 물론 프리큐어 시리즈는 마법소녀물이 아니라고 공식으로 언급했으나, 여기서는 편의상 마법소녀물로 간주한다.]에 등장하는 적 간부들은 [[그런거 없다|안면인식장애 따위는 없고]] 변신 전 상태의 프리큐어를 만나면 공격에 들어간다는 점이다. * 스토리 및 내용 관련 * [[요정(프리큐어 시리즈)|요정]]들의 왕국 혹은 세계가 위기에 처하며 프리큐어들은 그들을 위해 무상으로 1년간 봉사해야만 한다! [[하트 캐치 프리큐어!]]에서는 프리큐어들이 자신이 살고 있는 지구를 구하기 위해 싸우기 때문에 예외다. 다른 시리즈도 악의 조직이 요정들의 왕국 혹은 세계를 정복한 다음에는 프리큐어들의 세계까지 노릴 예정이기 때문에 자신들의 세계를 지키는 목적도 겸하고 있기는 하다. 하지만 마법사 프리큐어에서는 요정들의 왕국이라는 설정이 아예 없어졌다.[* 도리어 이세계가 또 다른 프리큐어 전사의 고향으로 설정되었다.] * 프리큐어의 원활한 활동 및 친목 도모를 위한 비밀 기지(?)가 존재하며, 주로 조력자 내지는 비중있는 조연 캐릭터가 운영하는 가게가 대상이 된다. * [[요정(프리큐어 시리즈)|요정]]들의 부탁으로 [[물건 수집|무언가를 전부 모아야 하며]] 악의 조직에서 프리큐어들과 같은 것을 모으고 있는 경우 후반부에 [[죽 쒀서 개 준 꼴|프리큐어들이 그동안 모은 것을 악의 조직에게 전부 빼앗긴다]].[* 예외적으로 [[프레시 프리큐어!]]에서는 프리큐어들이 모으는 것이 없고 적인 [[라비린스(프레시 프리큐어!)|라비린스]] 측만 'FUKO 게이지'를 모으고 있었다.][* 마법사 프리큐어에서는 요정 컨셉의 캐릭터인 [[모후룬]]이 이세계의 요정 캐릭터가 아닌 미라이가 가지고 있는 곰인형이 생명을 얻은 설정이기 때문에, 해당 설정에 해당이 되지를 않는다.] * 작중 중간 부분(대개 23~24화)에서는 스토리상 큰 비중을 차지하는 에피소드가 진행되며, 이 에피소드의 결과로 새로운 필살기를 각성하는 경우가 많다. * 작중 한 번씩은 멤버들끼리 서로 다투며 심하면 해산 직전까지 갈 뻔하다가 결국 극적으로 화해한다. * [[요정(프리큐어 시리즈)|요정]]이 적에게 사로잡혀서 인질이 되는 에피소드가 한 번 이상 있으며 특히 요정이 변신 아이템을 겸하는 경우에는 위기감이 조성되기도 한다. * 막판에는 [[최종 보스]]에 의해 [[우주전대 큐레인저|전 세계가 멸망 직전까지 간다.]][* 최종 보스들의 능력이나 힘은 전세계 스케일이거나 우주 스케일 정도로 간부들과의 힘의 차이가 눈대중만으로도 보이면서도 프리큐어들이 반드시 애를 먹는다.그런데 생각해보면 최종 보스전에서 쉽게 이기는 아군들은 별로 없다.] * 작중 한 번씩은 여름 축제([[나츠마츠리]]) [[이벤트]]가 있고 이때에는 멤버 모두 [[유카타]]를 입는다.[* 다만 [[하트 캐치 프리큐어!]]에선 여름 [[축제]] [[이벤트]]가 등장하지 않았다. 그 대신이랄까 합숙 이벤트에서 불꽃놀이를 즐기는 장면에서 멤버들이 [[유카타]]를 입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국내판에서는 [[로컬라이징]]을 하기 때문에 이게 문제가 될 수밖에 없는데 [[SBS]]에서 방영된 [[빛의 전사 프리큐어]]는 그 편이 삭제되었고 [[프레시 프리큐어!]]의 경우 약간 설정이 변경되었다.] 또한 작중 한 번씩 학교 축제 이벤트가 있다. * 중간에 태어난 요정들 같은 경우 어리기 때문에 제멋대로 구는 일이 많아 프리큐어와 선배 요정들한테 민폐 끼친다. * 연출 관련 * 여러분이 알다시피 이거는 소녀가 주요 시청자다. 그래서 [[판치라]][* 짧은 치마를 입고 육탄전을 벌이는데, 어떻게 안 보이냐고 반문하지만, 기본적으로 전투복에 [[스패츠]]가 들어간다. 그게 아니라도 프릴로 가득 채웠다. 그게 아니라면 [[강철치마]]속성으로 커버한다.]나 [[샤워신]], [[온천신]], 주요 여성 캐릭터들의 [[수영복]]신도 역시 없었다. 그러나 [[프레시 프리큐어!]] 2화, [[Go! 프린세스 프리큐어]] 28화에서 [[수영복]]신이 나왔다. * [[프레시 프리큐어!]]를 제외하면 프리큐어들은 무조건 [[절벽]]에 가까운 [[빈유]]로 나온다. 심지어 [[츠키카게 유리|고등학생 프리큐어]]도? 프리큐어가 아닌 조연 여성 캐릭터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악의 조직 [[여간부]]는 예외이며 가슴이 크게 그려지는 캐릭터들이 많다. 반대로 여간부에서 프리큐어 편으로 합류하면서 가슴이 다소 작아진 케이스도 존재한다. * 모든 주연 [[프리큐어]]들은 그 나이나 성별에 관계없이 [[얼굴개그]]나 [[몸개그]]는 기본이다. * 시리즈마다 음식을 밝히는 캐릭터가 하나라도 나온다. * 위에서도 써뒀듯이 주요 시청자는 성장기인 소녀다. 그래서 등장인물들이 음식을 기피하거나, 다이어트를 핑계로 음식을 거르지 않고, 꼬박꼬박 다 먹는다.[*하지만 프레시 프리큐어! 캐릭터 쇼에서는 러브가 대회에 나가기 위해 세츠나가 만든 케이크까지 자제하며 다이어트를 하는 모습을 보였다.] * 밝고 긍정적으로 스토리가 그려진다. * 각 시리즈별로 프리큐어 중 한 명은 전학생이다.([[두 사람은 프리큐어 Splash Star]] 이후).[* [[Yes! 프리큐어 5]]는 프리큐어가 아닌 밀키 로즈 [[미미노 쿠루미]]가 전학생이다.] * 할머니는 엄청나게 대단한 인물로 묘사된다. * 첫 변신(SS는 두번째에서)에서 자신의 점프력을 조절하지 못하고 엄청 높이 점프하고 낙하하는 모습을 보인다. [[http://www.nicovideo.jp/watch/sm25504502|그 모음집]]([[니코동]] 아이디 필요). 동시에 프리큐어의 엄청난 파워를 보여주는 것. 물론 예외도 있다.([[프레시 프리큐어!]]와 [[스위트 프리큐어♪]], [[해피니스 차지 프리큐어!]], [[마법사 프리큐어]]).[* 그렇지만 1화 때는 어떤 형태로든지 당황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는 한다.] * 악의 조직의 간부와의 전투에서 프리큐어들이 복부나 얼굴을 얻어 맞는 등 [[데미지]]를 많이 받을 것 같은 연출은 거의 나오지 않는다.[* 하지만 아예 없는 건 아니다. [[다크 프리큐어 5|다크 드림]]은 주인공측으로 보기 애매한 면이 있으니 그렇다 치더라도 [[하트 캐치 프리큐어!]]에선 [[묘도인 이츠키]]가 [[다크 프리큐어]]에게 복부를 강타당하는 장면이 있었다. 가장 심한 건 [[Yes! 프리큐어 5]] 극장판 1기. 다크 프리큐어 5와의 1:1 대결에서 [[카스가노 우라라|큐어 레모네이드]]는 발로 걷어차이고 [[아키모토 코마치|큐어 민트]]는 탄막으로 맞고 [[유메하라 노조미|큐어 드림]]은 아예 복부에 정면으로 빔을 맞았다. 그 중에서도 제일 심한 것을 뽑는다면 [[심쿵! 프리큐어]] 극장판에서의 [[아이다 마나]]. 매슈에게 물려서 [[피]]를 보게 된다. 프리큐어 최초로 피를 보게 된 프리큐어로 등극되었다.] * 프리큐어의 변신이 해제되는 장면은 직접적으로 묘사되지 않는다.[* 간혹 묘사될 때는 전신이 빛으로 감싸인 다음 원래대로 돌아오는 것으로 묘사된다. 하트 캐치의 경우 전투 중 데미지로 인해 변신이 해제될 때는 완전히 원래대로는 아니고 변신할 때 입고 있던 빛으로 된 민소매 드레스 같은 것을 걸친 모습이고 해피니스 차지에서도 빛으로 된 목욕 타올+호박바지(...) 같은 것을 걸친 모습이 된다.] * [[Yes! 프리큐어 5|Yes! 프리큐어 5 GoGo!]]까지의 프리큐어들은 악의 조직의 간부들의 이름을 잘 부르지 않고 '너는?', '당신은?' 이라고 부르거나 적 간부가 소속된 조직의 이름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았다. [[두 사람은 프리큐어 Splash Star]]와 [[프레시 프리큐어!]]는 이름으로 불러준 적도 제법 있지만 [[두 사람은 프리큐어]]&Max Heart와 [[Yes! 프리큐어 5]]&GoGo!에서는 프리큐어의 편으로 돌아선 [[키리야(두 사람은 프리큐어)|키리야]]와 [[분비(Yes! 프리큐어 5)|분비]]를 제외하면 한 번도 이름을 불러준 적이 없다(...)[* 분비의 경우 나이트메어에서 이터널로 전직하기 때문에 1기에서는 '나이트메어!', GoGo!에서는 '이터널!' 로 불리는 안습한 신세를 맞다가 최종화 바로 전인 47화에서야 [[유메하라 노조미]]에게 딱 한 번 이름으로 불린다.] [[하트 캐치 프리큐어!]]부터는 적들을 꼬박꼬박 이름으로 불러주면서 이러한 악습(?)은 깨지게 되었으나... 마법사 프리큐어!에서 그 악습(?)이 다시 부활하게 된다. * [[극장판]] 관련 * 프리큐어 극장판에서는 OO나라(왕국) 등으로 자주 묘사되는 또 하나의 세계가 언급되며 [[프리큐어]]들은 이 나라에서 발생하는 [[최종보스/창작물/극장판|문제를 일으키는 원흉을 찾아가는 스토리]]로 나아간다. 이때 분홍색(메인 주인공) 프리큐어는 초월적 존재로 변신한다. * [[극장판 보정]]이 상당히 강하며,[* 보정의 대상도 다양한데, 대표적으로 전투력에 보정을 받아 본편에서는 상상도 못할 정도의 스케일의 전투를 선보인다던가, 작화에 보정을 받아 여신으로 등극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올스타즈 시리즈에서는 아군이고 적군이고 할 것 없이 보정을 많이 받는다.[* 다만 [[우라가노스]],섀도우 같은 예외가 존재한다.] == 평균 시청률 및 상품 수익 == 프리큐어 시리즈는 엄청난 수준의 관련 상품 판매고를 올린 것으로도 유명한데 2011년 기준으로 '''반다이의'''[* 프리큐어는 반다이가 전부가 아니다. 제작은 아사히와 토에이 애니메이션이며 반다이가 모든 수익을 가져가는 것 또한 절대 아니다.] 연간 완구 판매 실적 평균은 약 110억 엔대에 이르고 있다. 이는 [[반다이]] 전체 작품매체 수익으로 따져보았을 때 [[건담]](180억 엔)이 부동의 1위, 그 뒤를 [[가면라이더 시리즈]](110억 엔)와 프리큐어 시리즈가 뒤따르고 있는 상황이다. 2010년대에 들어서도 [[프리큐어 시리즈]]의 강세는 여전하다. 2012년 캐릭터 시장 규모는 약 1조 6천억 엔이었는데 프리큐어 시리즈는 3.93%로 [[날아라 호빵맨|호빵맨]], [[포켓몬스터]], [[미키 마우스]], [[헬로 키티]], [[원피스(만화)|원피스]]에 이은 6위를 차지하였고 금액으로는 600억 엔대의 시장규모를 기록했다. 이전 이 항목에는 [[쥬얼펫 시리즈|쥬얼펫]]이나 [[프리티 리듬 시리즈]]가 프리큐어의 위치를 위협한다는 내용이 적혀있었는데 그것은 완구 판매 매상과 시장 규모를 혼동한 데서 온 착각이다. 보통 프리큐어가 100억 엔 시장이라고 말하는 것은 완구 판매를 담당하는 반다이의 토이・취미 부문 매상을 말하는 것이며 쥬얼펫 등 시리즈가 100억 엔을 달성했다는 것은 프리큐어가 600억 엔대를 달성한 전체 시장 규모의 이야기이다. 비슷한 기준인 세가토이즈의 쥬얼펫 완구 매상은 1년차가 3억 엔, 2년차가 7~8억 엔 근처로서 프리큐어의 100억 엔과는 큰 차이가 난다. 고로 여아 대상 애니메이션으로서 프리큐어의 지위는 여전히 흔들림이 없다고 할 수 있겠다. 다만 2013년~14년에는 본궤도에 오른 같은 반다이 소속의 [[아이카츠!]]에게 분기별 완구 매상이 뒤지는 굴욕(?)을 당했다. 물론 [[아이카츠!]]와 [[프리큐어]]는 대상으로 하는 연령층이 완전히 겹치지는 않고 [[프리큐어]]는 완구 판매만 있는 것이 아니기는 하다. || [[파일:attachment/프리큐어 시리즈/a0033932_4d4c2c78c0279.jpg|width=500]] || 2010년 기준으로 5년간 [[토에이]] 작품들의 '''일본 내 판권 매상 순위'''. 2007년을 제외하면 프리큐어 시리즈가 모두 1위에 올랐으며 특히 2010년에는 전체 작품의 1/4를 차지했다. 다만 2011년부터 원피스의 판권 매상이 급상승하여 [[프리큐어]]는 이후 2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원피스의 판권 매상은 토에이 전체 판권매상의 1/2에 달할 정도(...) 토에이 애니메이션 판권 매상 수익 추이 ||<:> 연도 ||<:> 수익 ||<:> 작품 || ||2004년|| 7.55억 엔 ||두 사람은 프리큐어|| ||2005년|| 12.33억 엔 ||두 사람은 프리큐어 MaxHeart|| ||2006년|| 7.34억 엔 ||두 사람은 프리큐어 SplashStar|| ||2007년|| 8.97억 엔 ||Yes! 프리큐어 5|| ||2008년|| 10.03억 엔 ||Yes! 프리큐어 5 GoGo!|| ||2009년|| 11.01억 엔 ||프레시 프리큐어!|| ||2010년|| 12.68억 엔 ||하트 캐치 프리큐어!|| ||2011년|| 11.09억 엔 ||스위트 프리큐어♪|| ||2012년|| 10.58억 엔 ||스마일 프리큐어!|| ||2013년|| 9.91억 엔 ||심쿵! 프리큐어|| ||2014년|| 8.52억 엔 ||해피니스 차지 프리큐어!|| ||2015년|| 6.31억 엔 ||Go! 프린세스 프리큐어|| [[http://prehyou2015.hatenablog.com/entry/prehyou|역대 프리큐어 시청률 자료]]. 토에이의 바로 전 작품들인 《[[오쟈마녀 도레미]]》 시리즈와 《[[내일의 나쟈]]》를 포함한 시청률과 반다이 완구 매상 수익 추이. ||<:> 연도 ||<:> 평균 시청률 ||<:> 첫회 시청률 ||<:> 수익 ||<:> 작품 || ||1999년|| 10.4% || || 49억 엔 ||오쟈마녀 도레미|| ||2000년|| 11.2% || || 76억 엔 ||오쟈마녀 도레미#|| ||2001년|| 10.6% || || 65억 엔 ||좀~더! 오쟈마녀 도레미|| ||2002년|| 8.3% || || 40억 엔 ||오쟈마녀 도레미 돗~쾅~!|| ||2003년|| 6.8% || || 31억 엔 ||내일의 나쟈|| ||2004년|| 7.29% || 7.4% || 101억 엔 ||두 사람은 프리큐어|| ||2005년|| 7.87% || 8.0% || 123억 엔 ||두 사람은 프리큐어 MaxHeart|| ||2006년|| 6.38% || 8.8% || 60억 엔[* 이상 해당 년도 4월~다음 년도 3월까지. 이 시리즈는 2월에 시작하므로 이상의 숫자는 다음 년도 작품의 실적이 2개월 분 포함된 것이다.][* 이하 해당 년도 1월~12월 실적. 전년도 작품의 실적이 1개월 포함된 숫자이다. 스플래시 스타는 어느 쪽으로 계산해도 60억 엔.] ||두 사람은 프리큐어 SplashStar|| ||2007년|| 6.58% || 7.4% || 96억 엔 ||Yes! 프리큐어 5|| ||2008년|| 5.6% || 6.7% || 101억 엔 ||Yes! 프리큐어 5 GoGo!|| ||2009년|| 6.49% || 7.4% || 115억 엔 ||프레시 프리큐어!|| ||2010년|| 6.5% || 6.6% || 130억 엔[* 맥스 하트와 같은 기준으로는 125억 엔. 맥스 하트 방영 당시의 분기별 매상 자료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수치는 알 수 없지만 나쟈-초대-맥스 하트-SS라는 방영 순서를 고려하였을 때 맥스 하트의 수치를 최근 기준으로 고쳐 쓴다면 130억 엔 이상일 가능성이 높다.] ||하트 캐치 프리큐어!|| ||2011년|| 5.2% || 6.0% || 103억 엔 ||스위트 프리큐어♪|| ||2012년|| 5.3% || 5.4% || 108억 엔 ||스마일 프리큐어!|| ||2013년|| 4.89% || 5.4% || 96억 엔 ||심쿵! 프리큐어|| ||2014년|| 4.68% || 5.8% || 78억 엔 ||해피니스 차지 프리큐어!|| ||2015년|| 4 .06% || 3.7% || 64억 엔 ||Go! 프린세스 프리큐어|| ||2016년|| % || 5.2% || ? ||마법사 프리큐어!|| 다음은 일본의 캐릭터 시장 조사인 CharaBiz Data에 의한 시장규모의 추이이다. 매년 총 시장 규모는 변화하지만 대략 1조 5천억 엔을 웃도는 정도라고 보면 된다. 최근 몇 년 간 프리큐어 시리즈는 5~7위 정도를 유지하고 있으며(가면라이더 시리즈의 집계가 올스타, 전반기, 후반기작으로 갈리기 때문에 프리큐어의 실제 순위는 보통 한 계단 아래가 된다) 보통 1~5위는 호빵맨, 미키 마우스, 포켓몬스터, 헬로 키티, 원피스, 가면라이더 같은 작품들이 차지한다. 상기 캐릭터들과의 점유율 차이는 많아야 2배 이하이니 프리큐어 시리즈의 위상이 어느 정도인지 대략 감이 올 것이다. ||<:> 연도 ||<:> 점유율(%) ||<:> 순위(위) ||<:> 시장규모(억엔) ||<:> 작품 || ||2004년|| 1.63 || 12 || 265.7 ||두 사람은 프리큐어|| ||2005년|| 3.52 || 6 || 566.7 ||두 사람은 프리큐어 Max Heart|| ||2006년|| 2.15 || 11 || 344.4 ||두 사람은 프리큐어 Splash Star|| ||2007년|| 2.78 || 9 || 428.0 ||Yes! 프리큐어 5|| ||2008년|| 3.24 || 7 || 487.6 ||Yes! 프리큐어 5 GoGo!|| ||2009년|| 3.96 || ? || 624.4 ||프레시 프리큐어!|| ||2010년|| 4.74 || 5 || 766.4 ||하트캐치 프리큐어!|| ||2011년|| 3.93 || 6 || 631.1 ||스위트 프리큐어♪|| ||2012년|| 4.14 || 6 || 635.0 ||스마일 프리큐어! || * 주제가 CD 판매량 (2011년 7월 오리콘차트 집계 기준) ||<:> 초동(매) ||<:> 누계(매) ||<:> 작품 || || 4,716 || 29,220 ||두 사람은 프리큐어|| || 3,803 || 36,085 ||두 사람은 프리큐어 Max Heart|| || 4,258 || 13,680 ||두 사람은 프리큐어 Splash Star|| || 3,615 || 39,189 ||Yes! 프리큐어 5|| || 5,417 || 36,440 ||Yes!프리큐어 5 GoGo!|| || 3,596 || 28,237 ||프레시 프리큐어!|| || 13,384 || 47,121[* 2011년 3분기까지 6만 장 이상이라는 발표가 있다.[[http://www.marv.jp/pdf/mmv/ir_presentation/2011_tuuki_setumeikai.pdf|11페이지 참고]]] ||하트캐치 프리큐어!|| || 7,725 || 20,216 ||스위트 프리큐어♪|| || 12,559 || ? ||스마일 프리큐어!|| == 기타 == || [[파일:attachment/프리큐어 시리즈/a0014655_498c4eca039f3.jpg|width=500]] || '''주 타깃 연령층'''은 남자 : 19~30세, 여자 : 4~9세다.[* 여아용 애니메이션의 경우 관련 상품들이 참 많은데 이걸 살 돈이 딸바보인 아빠 지갑에서 나온다. 딸이 관심 가지는 분야는 자연스럽게 아빠도 관심을 가지게 되고 딸을 위해서 주 소비층이 되어가는 것이다. 어린 첫째 딸을 가진 아버지의 연령대를 19~30세로 잡은 셈.] 물론 반쯤은 농담. 다만 어느 정도는 사실을 내포하고 있으며 일부 2013년 프리큐어 영화 소개 메세지에서도 드러났듯이 제작사 측에서도 성인 남성층의 인기를 충분히 인식하고 있다. 성인층을 위한 공식 이벤트(극장판 올나이트 상영회 등)도 개최된 적이 있으며, 당연히 성인층이 구매자인 피겨아츠나 다키마쿠라, 태피스트리 등의 대형 상품(이런 물건들은 하나에 1만 엔을 호가하며 절대로 어린아이들을 대상으로 한 상품이 아니다)도 토에이 샵에서 꾸준히 출시된다. 이케멘 캐릭터가 두 명 등장한 프리큐어 5 시리즈에서는 일반 애니메이션 라디오처럼 성인 팬 대상의 라디오 프로그램이 송출되기도 하였다. 그렇다고 절대로 성인 팬을 의식해서 작품을 만들지는 않는다. 프리큐어 시리즈의 아버지인 와시오 프로듀서와 올스타즈 시리즈의 감독인 오오츠카 감독도 '어른을 위한 프리큐어를 만들면 주 시청자인 아이들이 자신들을 위한 것이 아니라고 깨달을 뿐만 아니라 어른 팬들도 보지 않을 것' 이라는 발언을 하여 프리큐어 시리즈는 아이들을 위한 작품이라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어디까지나 '''어른 팬들은 어린애들 보는 거에 덤으로 껴서 보는 것'''이다. 오타쿠 팬들이 관련 상품을 사는 것은 좋지만 그들에게 아양을 떨지는 않는다(?)는 것. 하지만 [[스마일 프리큐어!]]는 꽤나 노골적으로 오타쿠층을 노린 요소를 투입함으로서 논란이 되기도 하였다. 또한 여러 가지 다채로운 [[패러디]]가 많은 것으로 유명하며 특히 본작 내용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전투 장면에서 심심치 않게 발견할 수 있다. 일단 같은 제작사에서 만들어진 작품들 중에는 [[드래곤볼]], [[원피스(만화)|원피스]], [[세인트 세이야]], [[근육맨]], [[북두의 권]] 및 [[가면라이더 시리즈]] 등 액션 부분에서 유명세를 떨치는 것들이 다수 있으며 이런 작품들에서 사용된 액션들을 중학생 또래의 소녀들이 구사해 수준 높은 액션신을 보여주는 것은 본작의 대표적인 매력 요소로 자리잡았다. 덧붙여서 반대로 본작의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타 작품에서 패러디되는 경우도 종종 있으며 대표적으로 [[은혼]]의 타마큐어가 있다. 그리고 본 시리즈가 계속적으로 나오면서 후속작에서 앞선 작품들의 소재를 패러디하는 [[자급자족]] 신공을 보여주기도 한다. 위 사진을 근거로 시리즈의 시청 연령대가 성인층에서 아동층으로 변경되어 초기 시리즈에서 보여주던 액션 등이 후대에 없어졌다며 비난하는 경우가 있는데 프리큐어는 단 한 번도 성인층을 대상으로 한 적이 없다. 이건 엄연한 사실 왜곡. 이와 달리 제작비의 압박으로 액션이 줄어든다는 설이 설득력 있게 제기된다. 설정과도 관계가 있는데 무기나 (광선계)기술이 없었던 초대 프리큐어의 경우 순수 도수공권에 의한 격투가 많았기에 아직도 액션이 가장 높게 평가된다. 프리큐어 시리즈 캐릭터들이 출연한 [[TV]] [[광고]]도 있다. [[http://www.youtube.com/watch?v=jP7wWdwPIbc|오로나민C CM]], [[http://www.youtube.com/watch?v=JGl9T_eiPcU|Joyfull CM]], [[http://www.youtube.com/watch?v=3Tth2QaF-zk|프리큐어 빵 CM]], [[http://www.youtube.com/watch?v=tN3SLY6RfoI|구르트! CM]]. || [[파일:attachment/프리큐어 시리즈/c0012102_4a06fb08694ae.jpg|width=500]] || [[가고시마]] 현 홈페이지에 '''프리큐어를 패러디한''' 홍보물이 올라온 적이 있었는데 내용이 '''6월 1일까지 [[자동차]]세를 납부해달라는 것'''. 주 시청자층이 4~9세 여아들인 '''건전한 애니''' 프리큐어도 결국 [[Total Media Agency|TMA]]를 피해가지는 못했다(...) [[http://horori83.egloos.com/m/3511484|참고]], [[http://alonestar.egloos.com/4798953|다른 버전]]. [[http://uncyclopedia.kr/wiki/%ED%94%84%EB%A6%AC%ED%81%90%EC%96%B4|백괴사전은 눈깔괴물 야쿠자 집단으로 표기하고 있다]].[* 다른 나라의 [[언사이클로피디아]]들에서의 프리큐어의 항목은 주로 [[백합]]을 중심으로 서술되어있다.] 2012년 4월 12일 개봉한 영화 [[가면라이더X슈퍼전대 슈퍼 히어로 대전]]에 [[카도야 츠카사]] 역을 맡은 배우 [[이노우에 마사히로]]는, 역대 가면라이더와 슈퍼전대와도 싸워봤으니 다음은 뭐랑 싸워보고 싶냐는 인터뷰에 '''"프리큐어요."'''라고 답변했다. 그리고 10주년을 기념해서 '''프리큐어 10주년 기념 공식 다이제스트 북'''이 나왔다. 프리큐어 전사 성우진의 인터뷰와 간단하게 역대 프리큐어 시리즈를 소개하는[* OP, ED곡 정보와 에피소드 제목 등.] 코너와 스텝들의 뒷담화와 10주년 기념으로 해서 스텝들의 축하 그림과 역대 [[프리큐어 시리즈]] OST를 불렀던 가수들의 글이 담겨져 있다. 가격은 천 엔. [[http://www.yes24.com/24/goods/11995981?scode=032&OzSrank=1|YES24 해당 서적 소개]]. 코단샤 캐릭터 문고에서 [[헤이세이 라이더]],[[슈퍼전대 시리즈]]에 이어 프리큐어 시리즈도 소설화를 진행한다. 2015년 9월 16일에 [[두 사람은 프리큐어]]와 [[하트 캐치 프리큐어!]]의 소설판이 발매되었으며, 2016년 3월 [[프레시 프리큐어!]]의 소설판이 발매. 이후 2016년 하반기에는 [[스위트 프리큐어♪]], [[스마일 프리큐어!]] , 2017년에는 [[두 사람은 프리큐어 Splash Star]]의 소설 발매가 예정되어 있다. 16년 상반기 발매 예정이었던 [[Yes! 프리큐어 5]]의 경우 밀리고 밀리다 현재는 발매일 미정이 되어버린 상태. 2016년 3월 17일에는 프리큐어 코믹스판을 담당해온 카미키타 후타고의 초대부터 마법사 프리큐어까지의 일러스트집이 발매된다.[[http://www.inside-games.jp/article/2016/02/05/95670.html|해당기사]] === 게임 === * 두 사람은 프리큐어 - 말도 안~돼! 꿈의 정원은 대미궁 ([[GBA]]) * 두 사람은 프리큐어 Max Heart - 진짜? 진짜야!? Fight도 좋잖아 ([[GBA]]) * 두 사람은 프리큐어 Max Heart - DANZEN! DS에서 프리큐어 힘을 합쳐 대배틀 ([[NDS]]) * 두 사람은 프리큐어 Splasa Star - PANPAKA게임으로 절호조! ([[NDS]]) * Yes! 프리큐어5 ([[NDS]]) * Yes! 프리큐어5 Go Go - 전원모이-Go! 드림 페스티벌 ([[NDS]]) * 프레시 프리큐어 놀이 컬렉션 - ([[NDS]]) * 하트 캐치 프리큐어! - 멋쟁이 컬렉션 - ([[NDS]]) * 하트 캐치 프리큐어! - 목소리로 놀자 - ([[NDS]]) * 스위트 프리큐어♪ - 멜로디 컬럭션♪ ([[NDS]]) * 스마일 프리큐어! 렛츠고! 메르헨 월드 ([[3DS]]) * 두근두근! 프리큐어 나리키리 라이프! ([[3DS]]) * 해피니스 차지 프리큐어! 카와룬☆컬렉션 ([[3DS]]) * Go! 프린세스 프리큐어! - 슈가 왕국과 6명의 프린세스! * 마법사 프리큐어 프리큐어의 게임은 초대부터 계속 출시되고 있으며 기종은 GBA, NDS, 3DS 등 닌텐도의 휴대용 컨솔로 주로 발매되었다. 주 대상연령층을 고려하여 제작된 만큼 난이도는 그리 높지 않으며 가볍고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게임 디자인으로 구성되어있지만 야리코미 요소도 존재한다. 대체로 메인 타겟인 4~6세의 여아들에게 친절한 게임성이지만 Yes! 프리큐어 5(NDS)만큼은 어른이 해도 어렵고 아이들이 하기에는 도저히 적응할 수 없는 게임성 때문에 평가가 많이 갈린다. 뒤집어 말하자면 프리큐어 게임 중에 어른이 즐길 만한 게임은 프리큐어 5밖에 없다는 말도 된다. 실제로 상당히 머리를 써서 적을 코너로 몰아넣어야 하는 게임으로 어린애들 놀이라고 우습게 봤다간 큰 코 다친다. 그 다음해에 발매된 Yes! 프리큐어 5 GoGo - 전원모이-Go! 드림 페스티벌은 전작과는 반대로 다시 예전처럼 가벼운 터치의 액션 게임으로 돌아왔지만 등장 캐릭터 간의 성능 편차가 너무 심해서[* 예로 [[미스미 나기사|큐어 블랙]]은 게임 내 최약체에 거의 쓰레기급의 성능. 짧은 범위, 느린 공격 속도, 그저 그런 스피드에 공격시 전진거리도 대단히 짧은 등 장점이라고는 단 하나도 없다.] 해당 캐릭터의 팬들은 심하게 반발할 수 있다. 이 외에 데이터 [[카드다스]] [[프리큐어 올스타즈]]가 있으며 전국 백화점/할인점, 완구점, 오락실 등에서 가동 중(당연히 일본). === [[태고의 달인]] 수록곡 === [[남코]]의 음악 게임인 태고의 달인 6에 'DANZEN!ふたりはプリキュア!'가 최초로 수록이 되었으며 이후에도 (예상은 했지만) 예상외로 계속 프리큐어 시리즈 관련 음악이 연속적으로 수록되고 있다. 호빵맨과 [[도라에몽]]을 잇는 또다른 안방마님으로 존재하게 된 계기. 2013년 12월 기준 [[심쿵! 프리큐어|현재까지 방영된 프리큐어 시리즈]]의 웬만한 곡들을 아케이드나 콘솔로 해볼 수 있다. 일부는 iOS에도 수록되어 있으니 참조. * 용어 안내 * AC: 아케이드 * CS: 콘솔 * DANZEN!ふたりはプリキュア(두 사람은 프리큐어 오프닝) * AC: 6에 수록 * CS: PS2 4대목에 수록 * ゲッチュウ!らぶらぶぅ?!(두 사람은 프리큐어 엔딩) * AC 수록버전 없음 * CS: PS2 5대목에 수록 * DANZEN!ふたりはプリキュア(Ver.Max Heart)(두 사람은 프리큐어 Max Heart 오프닝) * AC: 7에 수록 * CS: 토빗키리 에니메스페셜 , 6대목(Ps2), 포터블 1 수록(PSP) * ムリムリ!?ありあり!!INじゃあな~い?!(두 사람은 프리큐어 Max Heart 엔딩) * AC: 7에 수록 * CS: 6대목(ps2) * まかせて★スプラッシュ☆スタ★(두 사람은 프리큐어 Splash Star 오프닝) * AC: 8~9수록 * CS: 7대목 (ps2), 포터블2 수록(PSP) * 「笑うが勝ち!」でGO!(두 사람은 프리큐어 Splash Star 엔딩) * AC: 9에만 수록 * CS: 없음 * Yes! プリキュア5 スマイルGOGO!(Yes! 프리큐어 5 오프닝) * AC: 10에 수록 * CS: DS1에만 * プリキュア5, フル·スロットルGO GO!(Yes! 프리큐어 5 GoGo! 오프닝) * AC: 11~12증량판까지 * CS: DS2, wii1에 수록 * 手と手つないでハートもリンク!!(Yes! 프리큐어 5 GoGo! 엔딩) * AC: 11만 수록 * CS 수록버전 없음 * Let's!フレッシュプリキュア!(프레시 프리큐어! 오프닝 1) * AC: 12증량판에 수록 * CS 수록버전 없음 * LET'S! フレッシュプリキュア! ~HYBRID VER.~(프레시 프리큐어! 오프닝 2) * AC: 13에 수록 * CS: wii 2에 수록 * Alright!ハートキャッチプリキュア!(하트 캐치 프리큐어! 오프닝) * AC: 14에 수록 * CS: DS3, wii3에 수록 * ラ♪ラ♪ラ♪スイートプリキュア♪(스위트 프리큐어♪ 오프닝1) * AC: 新AC에 수록. 2013년 10월 22일에 삭제 * CS: Wii 결정판 * Let's go!スマイルプリキュア!(스마일 프리큐어! 오프닝) * AC: 新AC에 수록 * CS: 3DS, Wii 초호화판에 수록 * Happy Go Lucky! ドキドキ!プリキュア(심쿵! 프리큐어 오프닝) * AC: 新AC SORAIRO에 수록 * ハピネスチャージプリキュア!WOW!(해피니스 차지 프리큐어! 오프닝) * AC: 新AC MOMOIRO에 수록 * Miracle Go! プリンセスプリキュ(Go! 프린세스 프리큐어 오프닝) * AC: 新AC MURASAKI에 수록 전체적으로 오프닝이 12곡, 엔딩이 3곡 수록되어 있다. 최초 수록된 DANZEN!ふたりはプリキュア는 태고 6에서부터 나온지라 인기가 대단했었다(아니였음 출시도 못했을 정도). 그리고 역대 최초로 아케이드판에서 오래 앉아있었던 Yes! 프리큐어 5 시리즈는 지금도 개념보면의 절정을 뛰어넘고 있었다. 다만 12증량판에 프레시 프리큐어 오프닝과 함께 13이 등장하게 되면서 그 모습을 감췄다. 그리고 콘솔에서도 인기가 많았다. 특히 'DANZEN!ふたりはプリキュア(Ver.Max Heart)'라는 곡은 PSP와 PS2 두 곳이나 수록이 되어있을 정도였으며 이때까지만 해도 그 인기가 최대의 절정이라고 할 수가 있었다. 하지만 스플래시 스타 이후부터는 콘솔로 수록되는 경우가 드물었다. 그리고 프레시 프리큐어는 원래 태고 12가 출시할 때 방영이 이루어졌지만 너무 늦은 탓에 12증량판에 출시가 되고 13이 나오면서 하이브리드 버전으로 바뀌었다. 이번에 나올 태고의 달인 포터블 DX에는 스위트 프리큐어가 정식 수록곡으로 등록이 되지도 못했다. 태고의 달인에서 7레벨 되는 곡임에도 불구하고 희대의 개념보면으로 뽑힐 정도로 중독성이 강하고 익숙한 패턴으로만 구성되어 있는 나름 개념보면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무라사키 버전에 추가된 프린세스 프리큐어 오프닝은 유일하게 8렙으로 상승했다(...). === '''[[성우]] 오디션''' === '''한마디로 초대박으로 향하는 [[등용문]] [[하이패스]]''' '''성우들에겐 레알 변신 완료''' 신인 여자 성우들에게 있어 아이돌 게임 캐스팅이 그냥 커피라면 프리큐어는 T.O.P다. 일본 여성 성우계는 경쟁이 워낙 치열하여 왠만한 작품의 배역을 따내는게 어렵기로 유명한데, 프리큐어 시리즈의 배역선정 오디션은 그중에서도 최고봉의 경쟁률과 난이도를 자랑한다. 특히 신인급들이 많은 10~30대 여성 성우들이 많이 지원하니 경쟁률이 치열하며, 절정의 연기력과 인기를 구가하는 최정상급 성우들조차 오디션에서 허무하게 탈락하는 경우가 많다. 성우 겸 가수로서 업계내 입지가 탄탄하기로 유명한 [[미즈키 나나]]와 [[호리에 유이]]도 여러번 떨어진건 유명한 에피소드. [[나바타메 히토미]]는 [[아이다 마나]] 배역을 따내기 위해 1년치 일정을 비워놨었고,[* 이전에도 지속적으로 도전했지만, 그때마다 개인 사정 및 건강상의 이유로 오디션을 보지 못하거나 떨어지는 일도 있었다고 한다.] 합격통보를 받았을 때는 어린애처럼 울었다고 한다. 또한 오랫동안 계속된 시리즈답게 어릴적부터 [[프리큐어 시리즈]]의 팬인 여성 [[성우]]들도 있으며, 인지도가 적은 성우가 주역에 발탁되는 경우가 있는데, 대표적인 인물로 [[프레시 프리큐어!]]에서 [[모모조노 러브|큐어 피치]] 역을 맡은 [[오키 카나에]], [[해피니스 차지 프리큐어!]]에서 [[오모리 유코|큐어 허니]] 역을 맡은 [[키타가와 리나]]가 있다. 특히 키타가와 리나는 데뷔한지 1년도 안된 신인 중의 신인이였기에 합격소식이 나오자 이례적인 일이라며 꽤나 화제가 되었다. 이 정도 수준이니 프리큐어 오디션에 합격하는 것을 '''커리어 최고의 영광'''으로 여기는 여성우들이 대부분이다. 그도 그럴 것이 일단 캐스팅되면 황금 시간대에 1년간 고정으로 본인의 연기를 보여줄 수 있는데다 위에 언급된대로 엄청난 수익을 벌어들이는 장난감용 음성도 녹음할 수 있고,[* 본방 시작하기 전부터 녹음하는 경우도 많다고.] 프리큐어 관련 극장판에 두편 이상은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보장된다. 정리하자면 그 해에는 확실하게 일감이 보장되는건 물론이고 벌어들이는 수입도 많은데다 업계내에서 본인의 입지를 다지는데 지대한 영향을 준다. 그리고 [[슈퍼전대|토에이의 핵심]]까지 출현기회가 확대되는데 여간부[* ex) [[나리아]], [[에이전트의 메탈A]]] 혹은 '''최종 보스'''[* 대표적인 예가 [[이자요이 큐에몬]]의 [[한 메구미]]다.]까지 담당하는 경우도 있으니 성우만 되면 프리큐어 뿐만 아닌 '''토에이의 특촬'''까지 맡게 되니 그야말로 진짜 [[등용문]]. 단, 이 등용문 케이스가 모두 들어맞는건 아니다. 프리큐어 시리즈가 끝나고 나서도 인지도가 오르지 않아서 안습이 된 주역 성우들이 은근히 있는데, [[큐어 블룸]] 역 [[키모토 오리에]]와 [[큐어 피치]] 역 [[오키 카나에]], [[큐어 이그렛]] 역 [[에노모토 아츠코]]가 대표적이다.[* 그나마 에노모토 아츠코는 사정이 나은 편. 키모토 오리에와 오키 카나에는 프리큐어 시리즈를 맡은지 몇 년이 흘렀지만 그 이후로도 단역을 오고가는등 인지도가 무척 적다.] 한국에서는 [[대원방송 성우극회]] 출범 이후 지금까지 방영된 시리즈의 프리큐어 맴버 중 최소 한 명은 신입 전속 성우 중에서 캐스팅 되고[* 특히 상징색이 노란색인 프리큐어 맴버들은 대부분 신입 전속 성우들이 맡았었다. 그러나 [[심쿵! 프리큐어]]에서 그 기록이 깨졌다.] 리더 포지션에 해당하는 맴버는 대개 경력 있는 외부 성우가 캐스팅 된다.[* 현재 방영된 작품중에서 [[하트 캐치 프리큐어!]]가 유일한 예외였는데 그다지 평이 좋지 않았다.] 대원방송의 신인 여성 성우들에게 프리큐어는 자신의 연기력을 시험하는 무대로서 자신의 인지도를 올릴 수 있는 기회인 동시에 자칫 연기력 논란을 불러일으켜 성우 인생이 꼬일 수도 있는, 어찌 보면 양날의 검과 같다. == 팬덤 == === 여아 팬덤과 성인 팬덤 === 여타 아동용 애니들처럼 해당 타겟층의 팬덤과 성인층 팬덤을 동시에 갖고 있다. 규모 자체는 여아측 팬덤이 조금 더 큰 편. 물론 활동적인 부분에서 "조금" 큰 거지 단순 시청인구만 따지면 여아측 시청자수가 성인측을 압도한다. 사실 시청연령에 맞는 미취학 아동들은 팬덤으로 잘 쳐주지 않는다. 그 나이대에 팬덤 활동같은 사회활동을 할 수가 없기 때문에. 다만 초-중학교를 다니면서도 프리큐어를 보는 여아들이 있으며, 이들이 여아 팬덤의 주류를 차지한다. 국내에서는 네이버 카페/블로그 등지에서 많이 찾아볼 수 있다. 성인 팬덤에서 이들을 "여아 선배"라 부르기도 한다. 아무래도 연령대가 낮다 보니 어쩔 수 없이 팬덤활동에서 미성숙한 부분이 보이기도 한다. 프리큐어는 아니지만 비슷한 여아용 컨텐츠인 [[아이카츠!]]와 [[프리파라]], [[꿈의 보석 프리즘 스톤|프리즘 스톤]] 여아 팬덤에서도 도를 넘은 글들이 꽤나 발견되는 편이다. [[http://blog.naver.com/dnckd14/220463022049|사례]] 성인 팬덤은 여성팬도 상당수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남성팬 비중이 더 높은 편이다.이들의 팬덤 활동은 일반적인 성인 남성 오덕층의 팬덤활동과 비슷하다. 다만 그 때문에 아동용 애니임을 망각한 팬덤 활동을 해서 물의를 빚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으론 [[큐어 피스]]의 [[아헤가오]] 더블피스 학부모 항의 사건. 아래의 동인계 항목에도 나와있지만 프리큐어가 여아용 컨텐츠임을 숙지하고 선을 넘지 않거나 넘더라도 너무 드러나지 않게 적당히 즐기는 자세가 필요하다. === 동인계 === 프리큐어 시리즈는 10세 이하의 여아들을 주 타깃층으로 한 작품으로 [[동성애]]적 떡밥이 끼어들 여지가 없는 작품이지만 딱히 [[커플링]] 지을 만한 [[인남캐]]가 없고 미형 캐릭터의 콤비가 강조되며 [[전대물]]의 성향을 띠고 있기 때문에 성인 남성 팬들과 백합 동인남들 때문에 결국 [[백합(장르)|백합]] 필터링을 당하고 있다. 여기서 부각되는 '[[콤비]]' 는 서로 상반되는 성격의 두 소녀가 마음을 하나로 합쳐 어려움을 헤쳐나간다는 점, 그리고 커플링을 이을 만큼 비중 있고 매력 있는 남캐가 거의 없다는 점에서 동인계에서 주요한 소재로 쓰이고 있다. [[소꿉친구]]에서 악역의 정화(?)로 인한 콤비 플레이까지 다양한 관계가 주목되는 것도 매력적이다. 게다가 작품의 모든 캐릭터들이 [[2차 창작]]이란 이름 아래 같은 작품에 등장한다는 접점으로 커플링을 맺을 수 있다(...) 특히 《[[프레시 프리큐어!]]》는 팔등신의 늘씬하고 세련된 캐릭터상을 내세우면서 동인적으로 매우 흥했다.[* 특히 적의 여간부 '[[이스(프레시 프리큐어!)|이스]]'의 존재감은...] 프레시 프리큐어 백합 위키(フレッシュプリキュアで百合SS保管庫)[* 19금 작품도 굉장히 많은 곳.]가 따로 있을 정도. 더구나 스위트 프리큐어에서 인간 주인공 뿐만 아니라 [[요정(프리큐어 시리즈)|요정]] 쪽도 예전에 친구였다가 지금은 적 사이인 [[하미(스위트 프리큐어♪)|하미]]와 [[세이렌(스위트 프리큐어♪)|세이렌]]([[쿠로카와 엘렌|엘렌]]) 간의 떡밥이 등장하며 이에 따라 [[동물]] 백합 팬아트, [[고양이]] 팬아트까지 등장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 외에도 원래 아동용이라 어렸을 때부터 지켜봐왔던 팬들이 오타쿠로 진화하는 경우도 많아 단단한 팬층을 형성했기 때문에 동인계(백합) 쪽에서는 오래 이어져나가는 [[메이저]]로 등극했다. 백합 위키도 있을 수준. 말 다했다. 덕분에 여러 가지 서비스(?) 상품도 많다. 듀엣 캐릭터송이 대표적. 그 외에도 여느 시리즈 못지 않게 [[네타 캐릭터]]들 또한 적극적으로 발굴되며(...) 이에 따른 [[별명]]이 붙여지는 등 활발한 팬덤을 유지하고 있다. 별명에 대해서는 캐릭터들의 항목을 참고하자. 반면 다른 작품과 약간 다른 느낌의 전대물 성격이 된 《[[Yes 프리큐어 5]]》에서는 주인공들이 [[요정(프리큐어 시리즈)|요정]]와 연애를 한다는 설정 때문에 백합도가 크게 낮아졌다. 프리큐어 작품들 중에서는 유일하게 [[코코(Yes! 프리큐어 5)|코코]]x[[유메하라 노조미|노조]]나 [[너츠(Yes! 프리큐어 5)|너츠]]x[[아키모토 코마치|코마]] 같은 [[노멀|NL]] 계열이 강세를 보이는 작품. 다만 백합 커플링이 아주 없다는 건 아니라서 작품 내에서는 [[미나즈키 카렌]]과 [[미미노 쿠루미]] 같은 서브 캐릭터로 어느 정도 커플링을 맺고 있는 편이며 작품 외적으로는 프리큐어 올스타즈의 영향으로 [[유메하라 노조미]]와 [[모모조노 러브]][* 특히 올스타즈 관련 커플링 중에서는 가장 많이 보이는 커플링. 올스타즈 1편에서 주인공 역할인 둘이 너무 친하게 지내는 모습을 보이는 바람에 백합빠들의 손에 의해 그만...], [[하나사키 츠보미]] 등의 핑크 계열 주인공 캐릭들이 서로 자주 붙어다니는 중. 다 커서 추억을 되살리려고 프리큐어를 검색했다가 수많은 [[백합(장르)|백합]]짤을 발견한 오타쿠가 아닌 '[[일반인]]들'은 무지 [[동심파괴|충격받는다는 모양]]. 때문에 [[키세 야요이|큐어 피스]]의 [[아헤가오]] 리터칭을 보고 제작진 측에서 [[트위터]]를 통해 아헤가오 더블피스 합성을 그만해달라고 요청하기도 했다. 이유는 그게 '''실제로 방영된 것으로 알아버린''' 부모들의 항의가 빗발치기 때문이라고. 덕질도 좋지만 프리큐어 제작진들한테 '''민폐 끼치지 말자'''.[* 물론 스마프리가 덕층을 노리고 만든 끼가 좀 많이 보였기 때문(?)인지 덕들이 버티지를 못했나보다. 하지만 서술된 것처럼 민폐 끼치지는 말자.] === 팬덤에서의 주요 평가 기준 === 시리즈가 장기화되면서 점차적으로 고연령층의 팬덤이 형성되기 시작했고 그에 따라 어느 정도 이들 사이에서 프리큐어 시리즈를 평가할 때 중요시하는 몇 가지 기준이 생겼다. 다만 아래 항목들은 어디까지나 '''본 시리즈 내의 평가기준'''이며 프리큐어라는 타이틀을 지운다면 의외로 큰 문제가 안되는 점들이기도 하다. * '''전투 장면''' '''[[프리큐어 시리즈]] 만의 대표적인 아이덴티티이자 평가의 8할을 담당하는 주요 핵심 포인트.''' 맨손 격투를 기반으로 한 강렬한 전투신이 특징으로 [[두 사람은 프리큐어]] 시리즈 이후로는 예산이나 부모들의 클레임 등 여러 가지 이유로 과격한 전투 장면이 줄어들고 있다는 얘기도 많지만 필살기의 비중이 커졌다 뿐이지 후대 시리즈들도 시리즈마다 편차는 있겠지만 격투전을 기반으로 하는 아이덴티티에는 변함이 없으며 오히려 시대에 따른 발전 덕분에 제대로 기합이 들어간 에피소드에서는 초대 이상의 격투전을 보여주는 경우도 많다.[* 하지만 [[키라프리]]때부터 전투신이 사라져서 논란이 있다.] * 피아간의 목표 달성도 적아군 간에 목표 달성이 얼마나 진행됐는지 본편에서 얼마나 잘 표현하나 또한 어느 정도 주목 받고 있는 부분 중 하나다. 이러한 부분을 얼마나 잘 표현하냐에 따라 본편의 긴장도와 몰입감이 올라간다는 이유. 간단히 해결될 것처럼 보이는 문제지만 사실 시리즈 특성상 거의 실시간으로 각본을 쓰는 환경이다보니 그렇게 쉽지만도 않다. 그러다 보니 대체로 조금이나 많이 같은 두리뭉실한 표현을 사용하는 일이 많은 편이다. 사실 이 문제는 [[스위트 프리큐어♪]] 때 애매한 목표 달성도로 인한 비판이 심했던 사건 때문에 불거졌던 문제로, 스위트부터 2~3년 정도는 주목받았지만 이후로는 그렇게 주목받는 문제는 아니다. [[스위트 프리큐어♪]] 때의 비판에 대해서는 해당 항목 참고할 것. * 비중 분배 캐릭터간 비중 분배를 얼마나 잘 하느냐에 대한 부분이다. 이부분은 논란이 있는 것이, '''비중분배를 중요시하는 팬층'''이 있고 '''별로 신경쓰지 않는 팬층'''이 있다. 이는 초기 2인 듀오 구성에서 벗어나 전대물 형식을 취하게 된 [[Yes! 프리큐어 5]]부터 불거진 문제로, 캐릭터가 확 늘어나고 작품 구성이 매우 다채로워진 대신 메인 스토리를 진행하는 핑크 프리큐어에게 스포트라이트가 몰렸기 때문이다.[* 재밌게도(?) 정작 전대물 관련 팬덤에선 '''비중 분배에 프리큐어 팬덤만큼 캐릭터 비중에 민감하진 않다.''' 전대물 팬들 曰, "어차피 애들은 레드만 보니까."][* 간혹 핑크를 쌈싸먹는 비중을 가진 서브 프리큐어도 존재한다. [[츠키카게 유리|큐어 문라이트]]라든가... [[마도카 아구리|큐어 에이스]]도 등장 이후 내내 큰 비중을 가졌지만 이쪽은 주인공인 [[아이다 마나|큐어 하트]]가 너무 비중왕이라...] 사실 딱히 전대물이 아니며 여러명이 주역이더라도, 이야기를 대표하고 이끌어가는 주목되는 한명은 자연스레 생기고, 그 캐릭터가 '메인' 주인공이 되어 여러 스포트라이트를 더 받을 수 밖에 없다. 전대물에선 레드, 프리큐어같은 마법소녀물에서는 핑크인 것처럼. 하지만 이 때문에 핑크가 아닌 다른 프리큐어를 지지하는 팬이 상대적으로 소외감을 느낀다는 것이다. 또한 2010년대에 유입된 팬들 중 상당수는 각자의 캐릭터성에 신경을 많이 쓰는 [[러브라이브!|아이돌]] [[THE iDOLM@STER|애니메이션]]의 영향을 많이 받았기 때문에 비중 문제에 민감한 경향이 있다. 심지어 이들이 처음으로 접한 프리큐어가 '''비중분배를 최우선으로 하고있는''' [[스마일 프리큐어!]]인 것이 비중 분배 논란에 크게 한몫 했다.[* 다만 스마일 프리큐어의 공평한 비중분배는 '''메인 스토리를 날려버림'''으로서 가능했던 일이다. 특히 이 작품은 전작들의 카피가 매우 짙은 점으로 비판을 받는다.] 이러한 팬들은 자연스럽게 자신들이 지지하는 캐릭터의 비중 문제에 신경을 많이 쓰게 된다.[* 특히 [[심쿵! 프리큐어]]의 [[히시카와 릿카]]는 역대 파랑캐 중에서도 동인계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얻었음에도 불구하고 비중이 심하다 싶을 수준으로 없었고 똑같이 엄청난 인기를 얻은 [[아이다 마나]]는 '''오히려 역대 시리즈 주인공 중 가장 비중이 크고''' 의도한 백합 요소 때문에 호불호가 갈려 릿카의 비중 문제와는 대조적으로 작품의 평을 떨어뜨렸다.] 결론은 프리큐어 시리즈를 전대물로 보면 의외로 별로 문제될 부분이 없고, 반대로 아이돌 애니메이션으로서의 관점을 적용하면 나름 문제가 되는 부분. 상기한 "프리큐어라는 타이틀을 지운다면 논란이 될 수 없는" 부분중 하나이다. 즉 비중분배가 공평하지 않은것은 개인의 취향 및 작품 컨셉의 영역이지 절대 저평가될 요소가 아니라는 것이고, 애초에 전대물로 방향을 틀은 현재의 프리큐어에서는 크게 중요한 요소가 아니라는 것. * 기타 새로운 시리즈가 나올 때마다 팬들이 전투 장면의 퀄리티만큼 신경을 많이 쓰는 부분이 바로 변신 장면이나 필살기 장면과 같은 [[뱅크신]] 부분이다. 특히 팬들 입장에서는 새로운 시리즈의 뱅크신이 전 시리즈의 뱅크신 이상의 퀄리티를 갖기를 원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를 충족시키지 못할 경우 역시 상당히 좋지 않은 평가를 받게 된다. === 시리즈별 팬덤 간의 분쟁 ===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이건 어디까지나 '''팬덤 내부의 일부 극단적인 부류에 의해 벌어지는 일이므로 팬 전체가 이런 경향을 가지는 것이 절대!! 아니다.''' 애시당초 [[사랑]]과 [[평화]]를 이야기하는 아동용 애니메이션 시리즈에서 팬덤간의 싸움을 붙히는 일은 '''매우 한심한 행위이다.''' 자신이 무개념 빠라고 인증하고 싶은 것이 아니라면 이러한 행위는 필히 지양해야 할 것이다. ==== 초대와 후기 시리즈간의 대립 ==== 시리즈가 장기화되고 매번 새로운 시도를 하면서 작풍도 많이 바뀌다보니 [[건담 인정논쟁|인정논쟁]]까지는 아니더라도 점차 작품별로 팬덤이 갈리고 대립도 일어나는 판국이다. 그러나 이 작품별의 팬덤들도 크게 두 진영으로 나눌 수 있는데, 바로 초기 시리즈와 후기 시리즈들. 다만 [[Yes! 프리큐어 5]]를 제외하면 시리즈의 틀 자체를 바꿔놓을 정도로 혁명적인 시리즈는 아직 없었고, 10년의 세월에 거쳐 조금씩 변해온 것이기 때문에 사실 어디까지가 초기 시리즈고 후기 시리즈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일반적으로는 [[프레시 프리큐어!]] 혹은 [[하트 캐치 프리큐어!]]를 기점으로 본다.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다.(문제제기가 보통 초대측에 의해 제기됨) * 초대는 액션이 많은데 후기는 마법 혹은 아이템에만 의존한다 * 긴장감 넘치는 초대에 비해 너무 전형적인 아동만화 느낌이다 * [[전작빠|초대 이외에는 아류작이다]] 이에 대한 후기 시리즈 팬덤은 다음과 같이 반론한다. * 육탄전이라는 정체성을 유지시키면서 여러 가지 변화와 시도를 거친 것이 지금의 프리큐어 액션. 또한 초대 역시 격투의 비중이 높았을 뿐, 마지막에는 마법 혹은 아이템을 사용하는 패턴은 마찬가지였으며 따져보면 육탄전에서도 후대시리즈에서 초대 못지않거나 오히려 능가하는 배틀이 나오는 경우도 결코 적지 않다. * 이건 원래 아동만화였다. * 다양한 시리즈를 인정해야 한다. 이중에서 초기 시리즈를 도가 지나칠 정도로 찬양하는 부류들은 속칭 '''초대빠''' 혹은 '''초대충'''이라 불린다. 이들은 보통 주요 쟁점중 1번과 3번--그리고 4번--의 논리를 극대화시켜 타 시리즈를 비하하는 경향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 후기 시리즈 역시 비슷한 쟁점으로 초대 팬덤을 비하하나 이들은 각 시리즈별로 유대감이 적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불리는 명칭 같은 것은 없다. 초대와 관련된 분쟁은 주로 성인 팬덤에서 벌어지는데, 이는 초대 프리큐어가 벌써 10년도 넘은 작품이라 통칭 "여아 선배"님들은 일부러 찾아보지 않는 이상 이 작품을 잘 모른다. 게다가 10년이나 지났는데 여아들의 취향이 얼마나 바뀌었을지는 모르는 일. 개중에는 '''프리큐어를 직접 본 적도 없으면서''' [[http://bbs2.ruliweb.daum.net/gaia/do/ruliweb/default/community/325/read?articleId=20615987&bbsId=G005&searchKey=subjectNcontent&itemId=143&sortKey=depth&searchValue=%EC%B4%88%EB%8C%80%EC%9D%98&pageIndex=3|초대의 위엄.gif]]같은 거나 보고 멋대로 프리큐어 시리즈를 재단하는 사람들도 있다. 주로 유머 관련 커뮤니티에서 초대 짤방이나 초대가 강하게 나온 영상을 보며 후기 시리즈를 비하하는 것이 레퍼토리. 이건 진짜 악질중의 악질이다.[[http://bbs2.ruliweb.daum.net/gaia/do/ruliweb/family/230/read?articleId=28938462&bbsId=G005&itemId=75&pageIndex=1|초대충에 대한 비판글]] 이런 현상은 [[프리큐어 올스타즈]] New Stage 시리즈가 부추긴 면이 크다. NS 시리즈에서 유독 초대의 육탄전 능력을 다른 프리큐어보다 강한 수준으로 묘사했기 때문. 넷상에서 초대를 찬양하는 글의 태반이 NS 시리즈의 영상이다. 때문에 전투력 면에서도 초대 최강론을 미는 이가 많으며 당장 위키에도 지나치게 편향적인 서술이 적지 않은데 당연히 선대 프리큐어들이 후대보다 강하다는 설정 따위는 존재하지도 않으며 유독 강하게 나온 장면만 모아놓으면 초대만큼, 그 이상으로 강하게 보일만한 프리큐어는 얼마든지 있다. 애초에 프리큐어 시리즈는 올스타즈로 엮이기는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서로 다른 세계관들이며 프리큐어들의 전투력 또한 작중 상황이나 전개에 따라서 연출 및 우열관계가 수시로 뒤집어지는 작품이기에[* 마음의 상태에 따라 힘이 크게 달리지는 것은 전 시리즈 모든 프리큐어들의 공통적인 사항이다.] 특정 멤버가 혼자서만 대놓고 차별적으로 강하거나 사기적인 최종폼을 얻은 상황이 아닌 이상 세세한 파워 비교는 크게 의미가 없다.[* YES프리큐어는 인원수가 가장 많은만큼 개개인의 전력을 저평가하는 이도 있지만 역으로 특정 멤버가 버프받는 에피소드에서는 단 혼자서 적을 털어버리는 사기적인 전투력을 보여주는 경우도 많다.] ==== 전대물로의 변신 후 시리즈별 대립 ==== 이쪽의 스펙트럼은 '''매우 복잡하다.''' 프리큐어가 벌써 12년이 지났고, 단독 시리즈로는 10개의 메인 스트림이 진행되었다.[* 초대가 2년, 5가 2년] 개별 팬덤에서 일부는 어느쪽과 대립하고 일부는 어느쪽과 대립하는 등 특정짓기가 매우 힘들다. 보통 이쪽 팬덤에서의 분쟁의 시작은 "A시리즈는 액션/스토리/비중분배가 좋았는데 B시리즈는 별로다."에 B팬덤이 반발하여 "그러는 너희 A시리즈는 비중분배/스토리/액션이 B보다 딸리지 않느냐!"고 주장하면서 시작된다. 이 팬덤간의 분쟁엔 '''누가 잘못하고 잘한것도 없다.''' 몇가지 주로 보이는 스펙트럼을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주요 쟁점 부분엔 위의 액션/스토리/비중분배 등에 대한 딴지걸기는 크게 관련이 없는 한 포함하지 않는다. * [[하트 캐치 프리큐어!]] - 전 시리즈 최고 수익을 올린 일명 프리큐어의 최고 리즈시절인 하트캐치 프리큐어와[* 다만 한국판은... [[프리큐어 시리즈/국내 방영]] 참조.] 타 팬덤간의 분쟁. 보통 하트캐치 팬덤의 과도한 팬심과 그에 반발하는 타 팬덤으로 인해 분쟁이 일어난다. * [[스위트 프리큐어♪]] - [[스마일 프리큐어!]] 전후 시리즈간의 대립은 언제나 어느 정도 있어왔으나, 이 경우에는 스마일 프리큐어의 비중분배, 그리고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바탕으로 스위프리를 비하하는 경우가 있었고 그에 스위프리 팬덤이 반발한다. * '''[[스마일 프리큐어!]] - [[심쿵! 프리큐어]]''' '''아마 신 시리즈간 대립중에 제일 큰 규모의 분쟁.''' 미소녀 동물원에 가까운 스마일 프리큐어로 유입된 성인층 팬덤과, 그와는 별 상관 없던 작풍의 심쿵 프리큐어가 정통으로 충돌해 버린것이 길고 긴 분쟁의 시작이다. 더군다나 [[아이카츠!|아동]][[프리티 리듬 시리즈|용]] [[요괴워치|애니]]가 우후죽순 등장해 심쿵 프리큐어의 점유율이 떨어져버린것도 분쟁을 가속화시켜버린 요소중 하나이다. * [[해피니스 차지 프리큐어!]] - 전 시리즈 해피니스 차지 프리큐어가 여러 방면에서 부진한 모습을 보여 타 팬덤의 조롱의 대상이 되었고, 이에 해차프리 팬덤이 반발하여 일어난 분쟁. 이쪽은 성인 팬덤은 물론, 여아 팬덤에서도 나름 활기찬(?)문제이다. 네이버 카페나 블로그 등에서 활동량이 많은 프리큐어 팬덤이 대부분 중학생 이하 여성이며, 이들은 분유랑 이유식 먹던 시절에 방영하던 초대 프리큐어보다는 지금 이순간 진행되는 후기 시리즈들을 더욱 가깝게 느끼기 때문이다.어찌됐든 이 분쟁은 현재진행형인 사항이기에 나무위키에서도 해당 분쟁과 관련하여 수정전쟁이 오고가는 경우가 많은데, 특히 [[아이다 마나]]항목은 심쿵 프리큐어와 스마일 프리큐어 양쪽 팬덤이 정면충돌한 상황이 로그에 그대로 남아있다. == 한국과 프리큐어 == 2005년 12월 [[두 사람은 프리큐어]]가 빛의 전사 프리큐어라는 제목으로 방영을 시작한 이후 10년째 방영을 이어오고 있으나 예전부터 인기가 저조했다. 그래도 [[Yes! 프리큐어 5]]에서 인기가 절정에 달하고 [[프레시 프리큐어!]]까지만 하더라도 어느 정도 인지도가 있었으나 [[하트 캐치 프리큐어!]]에서 이미지가 실추되면서 안습행보가 부각되기 시작한다. 특히 [[스위트 프리큐어♪]]까지만 하더라도 TV 광고는 꾸준히 해줬으나 그 이후로는 TV 광고나 프로모션이 눈에 띄게 줄어들었고(특히 [[스마일 프리큐어!]]는 방영한지 5개월이 지나서야 광고가 제대로 나올 수 있었다.) 급기야 2015년 시즌에 방영될 것으로 보였던 [[심쿵! 프리큐어]] 방영이 1년 늦춰지면서 프리큐어 시리즈의 방영 텀이 (현지 종영, 국내 방영 기준으로) 1년 5개월에서 2년 5개월로 늘어나고 말았으며[* 슈퍼전대 시리즈의 경우 정글포스를 제외하면 현지 종영부터 국내 방영까지 5개월 텀이 있고, 가면라이더 시리즈의 경우 2년의 텀을 두고 방영되다가 히비키, 가이무가 불방되면서 3개월로 단축되었다.] 여아 완구 시장은 전통적으로 인기있고 애니화도 된 [[쥬쥬]]와 [[미미]], [[콩순이]] 등 전통 강자들이 있고, [[대원방송]]도 프리큐어보다 인기가 많은 [[슈퍼전대 시리즈|파워레인저]] 시리즈에 더욱 신경을 쓰다보니 프리큐어는 현지화 면에서 손해를 많이 본다.[* 이는 예전부터 자리잡지 못한 것도 있고 일부 제품이 정발하지 못하거나 장난감 기능의 일부를 삭제하는 등 하향 평준화도 있었다.][* 프리큐어는 초대 프리큐어부터 스마일까지는 한국식으로 현지화했다가 심쿵에선 무국적화로 로컬라이징 되었다.(...) 파워레인저는 비디오판에서는 한국식 현지화로 나왔는데 다이노썬더 방영 기점으로 무국적화 하다가 트레저포스부터 고버스터즈까지는 한국식 현지화와 무국적식 현지화를 혼합해서 가다가(이때는 프리큐어의 방영 시기와 겹쳐 있었다. 다만 와일드스피릿은 제외) 다이노포스를 기점으로 한국식 현지화로 가게 되었다. 닌자포스는 일본풍 전대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식으로 로컬해버리는 아스트랄한 상황이 되어버렸다. 다만 이후의 작품들도 무국적화가 될지는 아직 미지수로 다음 작품인 [[해피니스 차지 프리큐어!]]는 지구의 국가들이 구체적으로 나오기에(주인공 일행이 일본의 프리큐어라는 것이 구체적으로 언급된다.) 스마일처럼 한국식으로 현지화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아이카츠!|아이엠스타]]와 [[프리파라]] 등의 신흥 강자들이 자리잡고 있다보니 여전히 전망이 어둡다. 심지어 2016년 이후부터는 또 다른 신흥 강자인 [[에그엔젤 코코밍]]과 [[소피루비]]에게 밀리는 굴욕까지 당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느 정도 인지도가 있는 시리즈라, 여성 성우, 특히 대원방송의 신인 성우들에게 프리큐어 시리즈 출연은 성우 본인의 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한다. 사족으로 남아 완구 시장이야 [[슈퍼전대 시리즈|파워레인저]], 2010년대 이후인 '''[[터닝메카드]]''', '''[[헬로 카봇]]'''이 자리잡고있으니 소용없다(...). === 국내 방영 === * [[프리큐어 시리즈/국내 방영]] 참고. == 공식 유튜브 채널 == [[https://www.youtube.com/channel/UCSsjL41NsyqSNNbanuI0htg|공식 유튜브 채널]] 2016년 12월 25일 프리큐어 공식 유튜브 채널이 개설되었다. 프리큐어 스탭 코멘트, 연관 동영상, 차회예고, 주제가, 차회예고, 변신씬 등이 업로드된다. ~~어른이들 살판났다.~~ 다만 채널 개설하기 이전의 프리큐어 시리즈 관련 영상은 없으며 앞으로도 업로드될지는 미지수. == 관련 항목 == * [[프리큐어]] * [[프리큐어/등장 프리큐어]] * [[프리큐어/필살기]] * [[요정(프리큐어 시리즈)]] * [[프리큐어 올스타즈]] * [[미라클 라이트]] * [[노란캐 보정]] * [[프리큐어 시리즈/슈퍼 히어로 타임 출연 목록]] * [[프리큐어/엔드 카드]] * [[프리큐어 시리즈/댄스 모음]] * [[프리큐어 갤러리]] * [[프리큐어 드림스타즈]] [[분류:프리큐어 시리즈]][[분류:애니메이션]][[분류:마법소녀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