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메카니멀)] ||<-3> '''숲 속의 왕자[br]{{{+2 프린스콩(Princekong)}}}''' || ||<-3> {{{#!wiki style="margin: -5px -10" [[파일:external/c2eb8626238087b291ec40208ee872fc0ccb0886d89bc352d405e81e708e5d2e.jpg|width=300]]}}} || ||<-3> '''1기'''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mg.kbs.co.kr/prins_1.jpg|width=300]]}}} || ||<-3> '''2기 W(시즌 1~2)''' || || '''성별''' || '''[[남성|{{{#0000ff 남성}}}]]''' || || '''이름 모티브''' ||<-2> [[킹콩(괴수)|킹(King)콩]] → 프린스(Prince)콩 || || '''변신 형태''' ||<-2> [[고릴라]] || || '''고유 속성''' ||<-2> {{{#red '''레드홀'''}}} || || '''컬러''' ||<-2> {{{#cc723d '''브라운'''}}}(무인편), {{{#0000ff '''블루'''}}}(W부터) || || '''주요 테이머''' ||<-2> '''[[리안(터닝메카드)|{{{#ff8c00 리안}}}]]'''(1기) → '''[[반다인|{{{#003399 반다인}}}]]'''(W1) → '''[[로키(터닝메카드 W)|{{{#008299 로키}}}]]'''(W2) → '''[[반다인|{{{#003399 반다인}}}]]'''(특별판) || || '''차량 모델''' ||<-2> [[SUV]][* 우르스와 같은 디자인을 공유한다.] || || '''No.''' ||<-2> 027 || || '''첫 등장''' ||<-2> 타나토스[br](터닝메카드 시즌1 에피소드 12) || || '''성우''' ||<-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최한]][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0]] [[카이지 탕]] || [목차][clearfix] == 개요 == > {{{#0000ff '''“숲 속의 왕자 프린스콩!”'''}}} 테이머 : 리안 > 반다인 > 도깨비단 > 리안 > 반다인 > 로키 == 작중행적 == === [[터닝메카드(애니메이션 1기)|1기]] === > {{{#cc723d '''“나를 테이밍하려고 왔는가?”'''}}} 첫 등장은 12화. 현명하고 기품이 있어 숲의 왕자라고 불린다. > {{{#cc723d '''“나도 싸우게 된 이상, 절대 지지 않겠다.”'''}}} 숲 속에서 발견되었으며 처음에는 [[리안(터닝메카드)|리안]]이 [[반다인]]과의 배틀에서 패배하여 블랙미러에게 넘어갔지만, 14화에서 [[도깨비단]]과의 배틀에서 승리하여 다시 리안의 손에 들어온다. 50화 배틀로열에서는 [[에반(터닝메카드)|에반]]의 슈퍼 대시로 인해 아웃되었다. === [[터닝메카드 W|2기(W) 시즌1]] === 터닝메카드 W에서는 색깔이 {{{#cc723d '''갈색'''}}}에서 {{{#0000ff '''파란색'''}}}으로 바뀌었다. > {{{#0000ff '''“우리를 모욕하다니 용서 못한다!”'''}}} 1기에서 [[리안(터닝메카드)|리안]]이 테이머였을 때는 비중도 거의 공기 인데다가 되찾은 이후엔 배틀에도 나가지 못하는 등 [* 33화에서 한 번 나온 적 있었지만 그게 연극이였다는 것을 감안하면...] 취급이 안 좋았지만, 2기에서는 [[반다인]]의 메인 메카니멀로 활약하면서 여러모로 비중도 높아지고, 비록 4화에서는 [[투스코]]에게 밀리는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10화에서 [[하이드론]]과 함께 [[그리핑크스]]에 맞설 최정예로 뽑히는 등 확실히 1기보다 취급이 좋아진다. 그리고 이후 18화에서 [[메가 드래곤]]에게 슈팅받은 [[카이온(터닝메카드 W)|카이온]]을 보조한다. 24화에서 [[윙라이온]]의 샤이닝 브레이크를 맞고 쓰러진다. 26화에서 다시 윙라이온의 샤이닝 브레이크로 살아나고 여전히 반다인이 소유하고 있었다. === [[터닝메카드 W 블랙미러의 부활|극장판]] === 극장판에서 클론 프린스콩을 쓰러뜨렸다. === [[터닝메카드 W 시즌2|2기(W) 시즌2]] === > {{{#0000ff '''"오랜만이군, 반다인. 나한테 무슨 볼 일이라도 있나?"'''}}} 28화에서는 [[고브(터닝메카드)|로키]]와 호각으로 싸우지만, 고브의 버닝 체인에 붙잡히는 바람에 구형 메카니멀의 한계로 지고 [[로키(터닝메카드 W)|로키]]에게 넘어간다. > {{{#0000ff '''"이봐, 까맣게 잊은 건가? 난 Prince야. 왕자란 말이다!"'''}}} > {{{#ff8000 '''안드로매지션''' : '''"공주를 지키는 것도 왕자가 할 일 아닌가~?"'''}}} === [[터닝메카드 R|리부트(R)]] === [[파일:터닝메카드 R 프린스콩.jpg]] >'''“내 이름은 프린스콩, 다시 말해 콩왕자라고 한다.”''' No.008의 고릴라형 메카니멀로, 근육질의 외모와 달리 매우 지적이고, 왕자로써의 기품도 있다. 해박한 지식을 자랑하며, 상대를 직접 가르치기보다는 대화법을 통해서 무지를 알려주고자 한다. 24화에서 타나토스가 에반과 알타의 합동공격에 밀려 프린스콩을 내보내게 되고 에반을 상대로 선전하고, 마지막에 타나토스와 합동공격으로 에반과 알타를 쓰러트렸다. === [[빠샤메카드]] === == 사용기술 == ||{{{#red '''레드홀'''}}}|| > '''“온 땅을 뒤 흔들어라! 대지의 분노!”''' * MC 027 - 1 대지의 분노(大地矣 憤怒 = Fury of Earth) (기본+강화 기술) (레드홀: 40 / 블랙미러: 20 / 블루랜드: 20) 커다란 양손으로 바닥을 내리쳐 지면을 세차게 흔들고 상대를 무방비 상태로 만든다. > '''“파괴를 부르는 소리여, 절규의 소리!”''' * MC 027 - 2 절규의 소리(Sound of Scream) (기본 기술) (레드홀: 30 / 블랙미러: 10 / 블루랜드: 20) 상대를 향해 고음으로 외쳐 혼란을 준다. > '''“하늘에서 낙하 공격, 고릴라 스카이!”''' * MC 027 - 3 고릴라 스카이(Gorila Sky) (기본+강화 기술) (레드홀: 50 / 블랙미러: 40 / 블루랜드: 10) 하늘에서 내려진 밧줄을 타고 이동하여 피하고 몸을 날려 공격한다. > '''“폭풍처럼 몰아친다! 고릴라 스퀴즈!”''' * MC 027 - 4 고릴라 스퀴즈(Gorila Squeeze) (기본 기술) (레드홀: 40 / 블랙미러: 30 / 블루랜드: 10) 팔의 차체 부분으로 내리친다. > '''“강철같은 펀치! 아이언 펀치!”''' * MC 027 - 5 아이언 펀치(Iron Punch) (강화 기술) (레드홀: 50 / 블랙미러: 20 / 블루랜드: 40) 주먹을 강철처럼 단단하게 만들어 강력한 펀치를 날린다. > '''“힘을 모아 공격하라, 벌크 업!”''' * MC 027 - 6 벌크 업(Bulk Up) (강화 기술) (레드홀: 50 / 블랙미러: 20 / 블루랜드: 20) 기합을 모아 전신의 파워를 최대치로 끌어올린 후 공격한다. ||{{{#000000 '''블랙미러'''}}}|| > '''“뜨거운 맛의 지옥불!”''' * 지옥불 (Hell Fire) 땅을 쳐서 뜨거운 불길을 일으킨다. > '''“혼쭐을 내줘라! 프린스콩 헤머!”''' * 프린스콩 해머 (Princekong Hammer) 아이언 펀치의 블랙미러 버전. 무거운 주먹을 망치처럼 날린다. > '''“일족이여 분노하라, 일족의 분노!”''' * 일족의 분노(一族矣 憤怒 = Fury of Kin) 여러명의 분신이 생겨 함께 싸운다. === 기타 === 캐나다에서 더빙한 목소리와 원작과 갭이 심한데, 원작이 조곤조곤하고 파워 넘친 반면, 미국판은 그냥 원숭이 두목(...)이 된 느낌이다. == 관련 인물 == * [[파이온(터닝메카드)|]] * [[리안(터닝메카드)|]] * [[반다인]] [[분류:메카니멀]] [include(틀:포크됨2, title=프린스콩, d=2022-07-12 22:00: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