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전사족]][[분류:유희왕/OCG/싱크로 소환]] [[유희왕]]의 최상급 싱크로 몬스터 카드. [목차] == 설명 == === 원작 === [[파일:ChevalierdeFleur-JP-Anime-5D.png]] || 한글판 명칭 ||<-4>'''플뢰르 드 슈발리에'''|| || 일어판 명칭 ||<-4>'''フルール・ド・シュヴァリエ'''|| || 영어판 명칭 ||<-4>'''Fleur de Chevalier'''|| ||<-5> [[싱크로 소환|싱크로]]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8 || 바람 || 전사족 || 2700 || 2300 || ||<-5>"[[플뢰르 싱크론]]"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br]상대와 자신의 턴에 1번, 상대의 마법 / 함정 카드의 발동과 효과를 무효로 하고 파괴할 수 있다.|| ||<-5>'''"광속으로 태어난 아름다운 육체여, 혁명의 때가 왔노라. 승리를 나의 것으로! 싱크로 소환! 반짝여라, 플뢰르 드 슈바리에!(光速より生まれし肉体よ、革命の時は来たれり。勝利を我が手に!シンクロ召喚!きらめけ、フルール・ド・シュヴァリエ!)"'''|| [[유희왕 5D's]]에서 [[셰리 루브란]]이 사용한 싱크로 몬스터. 레벨 6 [[켄타우르미나]]와 레벨 2 [[플뢰르 싱크론]]을 소재로 싱크로 소환했다. 공격명은 '플뢰르 드 오라주(フルール・ド・オラージュ / Fleur de Orage)'. === [[유희왕/OCG|OCG]] === [[파일:フルール・ド・シュヴァリエ(DP25).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싱크로=, 효과=, 한글판 명칭=플뢰르 드 슈바리에, 일어판 명칭=フルール・ド・シュヴァリエ, 영어판 명칭=Chevalier de Fleur, 레벨=8, 속성=바람, 종족=전사족, 공격력=2700, 수비력=2300, 소재="플뢰르 싱크론"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효과1=①: 1턴에 1번\, 자신 턴에 상대가 마법 / 함정 카드를 발동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그 발동을 무효로 하고 파괴한다.)] [[유희왕 태그 포스]] 5 동봉으로 등장하는 카드. 국내에는 [[프리미엄 팩/한국판|프리미엄 팩]] 10을 통해서 발매. 1턴에 1번, 자신 턴에 상대의 마법 / 함정 카드 발동을 무효화하는 [[유발즉시 효과]]를 가진 [[싱크로 소환|싱크로]] 몬스터. 일단 튜너가 정해져 있어서 범용성은 매우 낮다. 대신 [[싱크론]]의 일원인 [[플뢰르 싱크론]]을 전용 튜너로 사용하므로, [[조율(유희왕)|조율]]로 서치하거나 [[퀵 싱크론]]으로 싱크로 소환할 수 있다. [[성기사의 창지기]]도 소환만 하면 레벨 8 이하의 몬스터를 플뢰르 싱크론으로 취급하는 효과를 들고 나와서 소환 난이도가 내려갔다. 텍스트가 저렇지만, 듀얼 중에 1번만 발동할 수 있다는 의미가 아니라 1턴에 1번, 자신 턴에만 발동할 수 있는 효과로 결국 복각되면서 이해하기 쉽게 다듬어졌다. 각종 위험한 견제 카드를 견제할 수 있는 수준급의 효과지만 자신 턴에만 발동할 수 있어 상대 턴에는 무력하고, 그것도 1번밖에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무효 효과에 체인해 다른 제거 카드를 발동하면 그대로 제거된다.원작의 문구는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었지만 OCG화 되면서 잘려나간 건 아쉬운 부분. 참고로 플뢰드 드 슈발리에(Fleur de Chevalier)를 직역하면 꽃의 기사가 아니라 기사의 꽃이 된다.~~[[커스 오브 드래곤|어디선가 본 듯한 실수]]~~ 해외판에서는 슈발리에 드 플뢰르로 어순을 바꾸어서 해결했다. 한편, 국내 번역명은 어순은 일본어판을 따라가긴 하지만, 기괴하게 '슈바리에'가 되었는데, 옛날에 나온 [[에볼텍터 슈발리에]]나, 같은 프리미엄 팩에 있는 [[DD(유희왕/카드군)|DD]] 프라우드 슈발리에의 표기(シュバリエ)와, 이 카드의 표기(シュヴァリエ)를 억지로 구분한답시고 이런 번역명이 된 듯 하다.[* 단순히 외래어 표기에서의 'v'를 표기하는 방식이 다른 것일 뿐이다. [[ヴ]] 문서 참고.] 참고로 문제 부분 일어 표기는 마찬가지로 '슈바리에'라 표기된 [[마돌체|마돌체 슈바리에]]의 표기(シューバリエ)와도 다르다. 이것까지 고려했으면 슈바리'''예'''가 되었을지도 모른다.[* 물론 'シュバリエ'든, 'シュヴァリエ'든, 카드군화될 가능성은 한없이 적다. 플뢰르가 카드군이 될 가능성이 오히려 더 크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프리미엄 팩/한국판|프리미엄 팩 Vol.10]] || PP10-KR041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유희왕 태그 포스|유희왕 TAG FORCE 5]] 동봉 카드 || TF05-JP002 || [[울트라 레어]] || 일본 || 일본 최초수록 || || [[유희왕 태그 포스|유희왕 TAG FORCE 5]] 동봉 카드 || TF05-EN002 || [[울트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 관련 카드 == === [[플뢰르 싱크론]] === 플뢰르 드 슈발리에의 전용 튜너. === [[플뢰르 드 바로네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