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doopedia plume.jpg|align=right]] [목차][clearfix] == 개요 == '''{{{+1 Plume Tectonics, ─構造論}}}''' 1990년대에 발전한 지구 토모그래피(tomography)로 얻은 지구 내부의 3차원 구조의 해석에서 생긴 개념이다. 플룸 구조론은 플룸의 상승이나 하강으로 지구 내부의 변동이 일어난다는 이론으로 판 내부의 대규모 화산 활동을 설명하기 위해 등장했다. 판구조론을 지구 표층 운동으로 한정시키고 [[맨틀 대류설]]로 설명하지 못하는 판의 이동을 플룸의 구조론으로 설명한다. == 플룸 == 플룸은 [[지각(지구)|지각]]에서 [[맨틀]] 하부로 하강하거나 맨틀과 핵의 경계에서 지각으로 상승하는 폭이 100km 미만인 원기둥 모양의 물질과 에너지의 흐름을 말한다. 플룸은 뜨거운 플룸과 차가운 플룸으로 구별된다. 차가운 플룸(플룸 하강류) 은 수렴형 경계에서 섭입된 판의 물질이 상부 맨틀과 하부 맨틀의 경계부에 쌓여 있다가 밀도가 커지면 맨틀과 핵의 경계부까지 가라앉으며 형성된다. 아시아 지역에 거대한 플룸 하강류가 존재한다. 뜨거운 플룸(플룸 상승류) 은 차가운 플룸이 맨틀의 최하부에 도달하면서 온도 교란과 물질을 밀어 올리는 작용이 일어나 맨틀과 핵의 경계로부터 공급된 열로 인해 형성된다. 즉 뜨거운 플룸은 판 내부에서도 상승하고 판 경계에도 상승한다. 아프리카, 남태평양, 대서양 중앙해령에 거대한 플룸 상승류가 존재한다. [[지진파]]의 속도 분포로 맨틀의 온도 분포를 알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플룸의 구조를 조사할 수 있다. 차가운 플룸은 밀도가 커서 지진파의 이동 속도가 빠르고, 뜨거운 플룸은 밀도가 작아서 지진파의 이동 속도가 느리다. == 예시 == [[열점]]은 플룸 구조론의 대표적 예시인데 [[열점]]은 말 그대로 뜨거운 플룸이 상승하여 지표면과 만나는 지점 아래 마그마가 생성되는 곳이다. 이 마그마가 지각을 뚫고 분출하여 화산섬이나 해산을 형성한 것이 [[하와이 제도]] 와 [[옐로스톤]]이다.[* 자세한 내용은 [[열점]] 문서 참고] == 같이 보기 == * [[지질학]] * [[대륙이동설]] * [[열점]] * [[토모그래피]] [[분류:지질학]][[분류:지구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