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트럼프(카드)/게임]] [목차] == 개요 == Pinochle. [[트럼프 카드]] 2덱으로 하는 [[트릭 테이킹]] 카드 게임의 일종이다. 각 무늬의 A, K, Q, J, 10, 9만 사용하며, 총 48장으로 한다. 대부분의 플레잉 카드 제조사에서 이 게임을 위해 제작한 카드가 따로 있으나 단순히 A부터 9까지 2장씩 넣은 구성이다. 이 게임은 4명이 2:2로 한다. == 규칙 == 이하 규칙은 트릭 테이킹 계열 게임의 기본 규칙을 알고 있다는 전제 하에 서술한다. === 카드 서열 & 점수 === 모든 무늬의 서열이 으뜸패 여부를 불문하고 A - 10 - K - Q - J - 9 순이다. [[스카트]]처럼 10이 A 바로 뒤에 온다. 카드 점수가 특이한데 대부분의 점수가 실제 트릭 테이킹 전의 조합에서 나온다. 트릭 테이킹 때에는 A, 10, K 각각 한장당 1점이고 마지막 트릭에 1점이 추가돼서 트릭 테이킹만 따지면 최대 25점이다. ||<|2><-2> 조합 ||<|2> 설명 ||<-2> 점수 || || 1개 || 2개 || ||<-2> 줄 (Run) || 으뜸패 무늬에서 A, 10, K, Q, J이 있을 때[br]줄이 하나만 있을 때 K나 Q가 붙어 있다면 4점을 추가하고[br]둘다 붙어 있다면 8점을 추가한다. (이때 밑의 로얄 커플은 세지 않는다.) || 15점 || 150점 || ||<-2> 으뜸패 9 (Deece) || 으뜸패 9가 있을 때 ||<-2> 개당 1점 || ||<|2> 커플 (Marriage) || 일반 (Common ") || 으뜸패가 아닌 한 무늬의 K와 Q가 같이 있을 때 ||<-2> 개당 2점 || || 로얄 (Royal ") || 으뜸패 K와 Q가 같이 있을 때 ||<-2> 개당 4점 || ||<-2> 피노클 (Pinochle) || ♤Q와 ◇J이 같이 있을 때 || 4점 || 30점 || ||<|4> 포카드 (Around) || 에이스 || 각 무늬의 A가 1장씩 있을 때 || 10점 || 100점 || || 킹 || 각 무늬의 K가 1장씩 있을 때 || 8점 || 80점 || || 퀸 || 각 무늬의 Q가 1장씩 있을 때 || 6점 || 60점 || || 잭 || 각 무늬의 J가 1장씩 있을 때 || 4점 || 40점 || === 패 돌리기 & 공약 === 딜러가 패를 섞고 모든 인원에게 한번에 3장씩 총 12장을 나눠준다. 딜러의 왼쪽부터 공약을 걸기 시작하는데 최소 25점부터 1점 단위로 걸거나 패스를 할 수 있다.[* 계속 1점 단위로만 걸면 공약이 심하게 길어질 수 있어서 보통 50점부터는 5점 단위로 걸기도 한다.] 이때 한번 패스를 하면 다시 공약을 걸 수 없다. 계속 공약을 걸다 패스를 안한 사람이 1명만 남게 되면 그 사람이 선언자가 되고 그 사람이 속한 팀이 선언자 팀이 된다. 만약 처음 3명이 모두 패스를 하는 경우 딜러가 25점을 건 것으로 취급한다. === 패 교환 & 조합 선언 & 플레이 === 이후 선언자의 파트너가 선언자한테 원하는 패를 4장 주고 선언자가 파트너한테 필요없는 패를 4장 준다. 그 이후 선언자부터 시계방향으로 자신이 들고 있는 조합을 선언하고 보여준 뒤 그에 따른 점수를 적어 놓는다. 이때 조합 점수는 공약 점수에 포함된다. 만약에 선언자 팀의 점수가 트릭 테이킹을 해도 공약을 못 해낼 만큼 낮다고 생각되면 선언자는 판을 취소할 수 있다. 이후의 플레이는 전형적인 트릭 테이킹 게임과 같다. 첫 트릭은 선언자부터 그 이후의 트릭은 바로 전 트릭 획득자부터 카드를 낸다. 다만 현재 나온 패 중에서 최강패를 이길 수 있다면 해당 패를 무조건 내야 한다. (선도패의 무늬가 없어서 으뜸패를 낼 때 포함) 똑같은 패가 나온다면 먼저 나온 패가 이긴다. === 점수 계산 === 선언자 팀의 경우 * 조합 점수 & 플레이 점수의 합이 공약보다 높거나 같다면 그 합을 얻는다. * 그 반대의 경우나 판을 취소한 경우 공약만큼 점수를 잃는다. 상대 팀의 경우 * 그냥 조합 점수 & 플레이 점수의 합만큼 받는다. * 선언자 팀이 공약을 못 채웠거나 판을 취소했다면 플레이 점수가 25점이 된다. * 단, 선언자 팀이 공약을 채웠고 플레이에서 1점도 못 땄다면 으뜸패 9에 대한 조합 점수만 받을 수 있다. 보통 150점을 넘기는 팀이 이긴다. (동시에 넘기는 경우는 그 판의 선언자 팀이 이긴다.) == 변형 == 이 게임은 미국 지역에 따라 규칙이 천차만별이다. 여기선 기본적인 변형(목표 점수 등)을 제외한 변형만을 서술한다. 공약 수순에서 어시스트 패스(Pass with Help)를 추가하기도 하는데, 무슨 무늬가 으뜸패가 됐든 자신의 파트너에게 도움이 되는 패 4장을 들고 있다는 신호로 쓰인다는 점을 제외하면 패스와 같다. 공약 수순에서 딜러에게 강제 25점 공약을 하게 하는 대신 처음 공약을 거는 사람에게 강제 25점 공약을 하게 하는 방식도 있다. 줄에서 K/Q 추가 점수를 빼고 하기도 한다. 즉 줄과 로얄 커플을 들고 있어도 23점이 아닌 19점으로 세는 방식이다. 각 무늬의 커플을 전부 들고 있으면 얻는 라운드하우스(Roundhouse)도 있다. 점수는 1개에 24점, 2개[* 라운드하우스 하나에 8장이 필요한 특성상 더블 덱 피노클에만 해당된다.]에 240점이다. 요즘에는 별로 안 쓰이나 모든 점수에 10배를 시키는 경우가 있다. === 더블 덱 피노클 === 이 게임에 쓰이는 덱을 2배로 늘리고 9를 빼서 하는 변형이다. 보통 앞서 서술한 피노클 덱을 2개 쓰기 때문에 더블 덱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NPA (National Pinochle Association)의 공식 게임이기도 하다. 한명당 20장[* 보통 한번에 4장이나 5장씩 돌린다.]을 들고 시작하며, 최소 공약은 50점이다. 플레이시 점수는 마지막 트릭이 2점이라는 점을 빼면 그대로이다. 패가 늘어난 만큼 조합표에도 변형이 있다. ||<|2><-2> 조합 ||<|2> 설명 ||<-4> 점수 || || 1개 || 2개 || 3개 || 4개 || ||<-2> 줄 (Run) || 으뜸패 무늬에서 A, 10, K, Q, J이 있을 때[br]K/Q 추가 보너스는 없다.|| 15점 || 150점 || 225점 || 300점 || ||<|2> 커플 (Marriage) || 일반 (Common ") || 으뜸패가 아닌 한 무늬의 K와 Q가 같이 있을 때 ||<-4> 개당 2점 || || 로얄 (Royal ") || 으뜸패 K와 Q가 같이 있을 때 ||<-4> 개당 4점 || ||<-2> 피노클 (Pinochle) || ♤Q와 ◇J이 같이 있을 때 || 4점 || 30점 || 60점 || 90점 || ||<|4> 포카드 (Around) || 에이스 || 각 무늬의 A가 1장씩 있을 때 || 10점 || 100점 || 150점 || 200점 || || 킹 || 각 무늬의 K가 1장씩 있을 때 || 8점 || 80점 || 120점 || 160점 || || 퀸 || 각 무늬의 Q가 1장씩 있을 때 || 6점 || 60점 || 90점 || 120점 || || 잭 || 각 무늬의 J가 1장씩 있을 때 || 4점 || 40점 || 60점 || 80점 || 9가 없기 때문에 으뜸패 9는 없으나, 재량껏 추가할 수 있다. 보통 500점까지 한다. == 전략 == 공약을 걸 때 * 자신의 패가 몇점이나 나올지 생각하고 공약을 걸어야 한다. 최소 공약이 플레이 최대 점수인 25점인 특성상 조합이 꼭 필요하다. * 파트너에게서 받을 법한 패 포함해서 조합 점수를 계산한 뒤 15점 정도를 추가하면 얼추 맞는다. * 줄에 들어가는 카드가 한장도 없는 무늬가 있다면 (즉, 한 무늬의 패가 전혀 없거나 9만 있다면) 전의 공약보다 2점 이상 올려서 공약을 해서 신호를 보내줄 수 있다. * 어시스트 패스의 경우 꼭 같은 4장이 아니더라도 각 무늬에 확실히 도움이 되는 4장을 들고 있어야 한다. 으뜸패를 정할 때 * 에이스가 있고 패가 많은 무늬는 으뜸패로 고르기 좋은 무늬이다. * 런 완성용이나 특정 조합 완성용으로 으뜸패를 고르는 경우도 있으나 런이 아닌 이상 리스크가 좀 크다. * 에이스가 없는 무늬는 안 고르는게 좋다. 패 교환 시 파트너 측 * 으뜸패는 줄을 만들 수 있으니 주는 것이 좋다. 단, 으뜸패 9의 경우는 다른 무늬의 A를 주는 것이 더 낫다. * 특히 으뜸패 에이스는 으뜸패 뽑기에도 좋으니 꼭 보내는 게 좋다. * 선언자가 으뜸패로 스페이드를 골랐다면 ◇J을, 다이아몬드를 골랐다면 ♤Q를 보내서 피노클을 완성하는 것도 노릴 수 있다. 패 교환 시 선언자 측 * 에이스 포카드는 무조건 깨지 마라. 확실하게 4트릭을 이길 수 있는 패인 동시에 10점을 주기 때문이다. * 더블이라면 더더욱. 100점은 한번에 따기 쉬운 점수가 아닌데다 목표 점수에 따라 다르지만 거의 한판에 바로 게임을 이길 수 있는 조합이기 때문이다. * 으뜸패는 최대한 안 보내는 게 낫다. 굳이 보내야 한다면 으뜸패 9를 보내면 된다. * 확실히 이길 수 있는 패가 아닌 점수패[* A 두장을 들고 있지 않을 때 10, K 혹은 A 두장을 들고 있으나 10 두장을 들고 있지 않을 때 K]는 파트너에게 보내줘서 자신이 따낼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 * 으뜸패가 아닌 무늬의 K/Q는 보내주면 커플을 만들 가능성이 있다. * 피노클 패(♤Q와 ◇J)의 경우 * 으뜸패로 스페이드나 다이아몬드를 불렀다면 가지고 있는게 좋다. * 으뜸패로 하트나 클럽을 불렀다면 보내는 게 좋다. 단 꼭 보내야 하는 패(위의 2항목)이라면 먼저 보내는 게 좋을 수 있다. * 위의 경우에서 자신이 피노클을 하나 들고 있다면 그걸 그대로 보내줘서 더블 피노클을 노릴 수도 있다. 선언자 플레이 시 * 으뜸패는 무조건 최대한 뽑자. 으뜸패 A부터 내면서 확실히 이길 수 있는 으뜸패를 계속 내면 상대편의 으뜸패를 뽑아낼 수 있다. 그 동시에 파트너는 점수패를 내줄 것이니 플레이 점수도 챙길 수 있다. * 으뜸패를 뽑고 난 후 나머지 무늬 중 하나가 에이스만 있다면 그걸 먼저 내라. 상대편이 같은 무늬의 에이스를 내면 지기 때문이다. 상대 팀 플레이 시 * 선언자의 조합에서 확실히 이길 수 있는 패가 아닌 패를 잘 찾아내면 그걸 이용해서 트릭을 먹을 수 있고 선도패도 낼 수 있다. * 점수패 낼 타이밍을 잘 계산하자. 자신의 파트너가 최강패를 냈을때 점수패를 내는게 좋다. == 출처 == [[https://www.pagat.com/marriage/pinmain.html|기본 규칙]] [[https://www.pagat.com/marriage/pindd.html|더블 덱 피노클]] [[https://www.pagat.com/marriage/pintip.html|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