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일반 함정]]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함정 카드. == 설명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AntiRaigeki-DM3-JP-VG.png]] || 한글판 명칭 ||'''피뢰침'''|| || 일어판 명칭 ||'''[ruby(避雷針, ruby=ひらいしん)]'''|| || 영어판 명칭 ||'''Anti Raigeki'''|| ||<-2> 함정 || ||<-2>[[번개(유희왕)|번개]]를 회피. 아군 대신 상대 몬스터를 지워 없앤다. {{{-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DM3]],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DM4]])}}}|| ||<-2>번개를 회피. 대신에 적의 필드의 몬스터를 전부 파괴. {{{-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7 결투도시전설|DM7]],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8 파멸의 대사신|DM8]])}}}||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에서부터 등장.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파일:card100259532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피뢰침, 일어판명칭=避雷針(ひらいしん) 영어판명칭=Anti Raigeki, 효과1= 상대가 "번개"를 사용했을 때\, 자신 몬스터 대신에 상대 몬스터를 전부 파괴한다. 발동 후 이 카드를 파괴한다.)] || 한글판 명칭 ||'''피뢰침'''|| || 일어판 명칭 ||'''[ruby(避雷針, ruby=)]'''|| || 영어판 명칭 ||'''Anti Raigeki'''|| ||<-2> 일반 함정 || ||<-2>|| >'''[[https://www.db.yugioh-card.com/yugiohdb/faq_search.action?ope=4&cid=4855|유희왕 공식 DB 일본어판 재정]]'''[br]■대상을 지정하는 효과는 아니다.[br]■상대의 「{{{#blue 번개}}}」의 발동에 직접 체인해서 발동하는 함정 카드다.[br]상대의 「{{{#blue 번개}}}」의 발동에 체인해서 자신이 「피뢰침」을 발동했을 경우, 상대가 추가로 체인해서 「피뢰침」을 발동한다거나 할 수 없다.[br]■상대의 「{{{#blue 번개}}}」의 발동에 체인해서 자신이 「피뢰침」을 발동, 다음에 상대가 체인해서 「{{{#blue 왕궁의 포고령}}}」을 발동했을 경우, 추가로 자신이 「피뢰침」을 발동하거나 할 수 없다.[br]■「피뢰침」의 효과 처리는 상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몬스터를 전부 파괴하는 처리로 완료한다. 일련의 체인 처리의 완료 후, 발동한 「피뢰침」의 카드는 묘지로 보내진다.(「피뢰침」의 카드 자체는 파괴되지 않는다.) 본 문서에는 [[나무위키:편집지침/특정 분야/창작물#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관련 문서|편집 지침]]에 따라 본래 이 카드의 텍스트를 그대로 기재했지만, 영문 버전을 참조하여 최신 기수로 텍스트를 재정비하자면 아래와 같다. >①: 상대가 "번개"를 발동했을 때 발동할 수 있다. 그 효과를 무효로 하고, 상대 필드의 몬스터를 전부 파괴한다.[* 영어판 텍스트 참고 (LCKC-EN104) : When your opponent activates "Raigeki": Negate its effect, and if you do, destroy all monsters your opponent controls.] 즉 원래의 텍스트만 보면 '번개'의 효과를 바꿔버리는 카드 같지만 단순히 옛날 카드라 텍스트가 이상한 것뿐이고, 재정상으론 위에 써둔 것처럼 '상대 번개를 무효화한 후 상대 필드의 몬스터를 전부 파괴하는 효과'이다. 즉 파괴의 주체는 이 카드이므로 번개를 반사했을 때 상대 필드의 몬스터가 2체 이상일 경우 [[스타라이트 로드]]가 걸린다. 그래서 재정 중에는 "내 번개를 상대가 피뢰침으로 반사했을 때 그 피뢰침을 또 피뢰침으로 반사할 수 있나" 같은 황당한 질문도 있으며, 실제로는 당연히 불가능하다. 그런데 정작 텍스트가 이러한 형태이기 때문에 이 카드에 불리한 재정이 내려져 있는데, 텍스트가 자신의 몬스터 대신 상대 몬스터를 파괴하는 형태이기에 '''상대 필드에 몬스터가 없으면 발동할 수 없다.''' 보통 번개가 몬스터를 안 내놓은 상태의 후공이 판쓸이를 위해 쓴다는 걸 생각하면 심히 이상한 재정이 아닐 수가 없다. 그냥 명목상의 안티 카드일 뿐이다의 문제가 아니라, 그 명목상의 안티 카드 역할조차 못 한다.[* 이 재정은 번개가 풀린 2019년 4월에 추가되었으며, 그 이전에는 이런 재정이 없었다. 참고로 [[해피의 깃털]]과 그리폰의 날개도 같은 재정이긴 한데, 이쪽은 발동을 위해 필드에 내려놓은 그 해깃을 파괴할 수 있어 발동 조건 자체는 못 채울 일이 없어 재정의 의미가 없다.] 일반 함정이면서 '''발동 후 이 카드를 파괴한다'''는 이상한 효과가 붙어 있는데, 초창기 유희왕에선 발동한 마법 / 함정이 묘지로 간다는 룰 자체가 없었기에 일일이 저런 텍스트를 붙여줘야 했다. 실제로 이 효과는 카드를 파괴하는 효과가 아니기 때문에 파괴 트리거는 발동하지 않고 파괴 방지로 막을 수도 없다. 아무튼 번개 전용 안티 카드지만, 이 카드를 쓰느니 [[스타라이트 로드]]나 [[대혁명 반전]]을 쓰는 게 더 낫다. 이후 [[피뢰신]]이라는 몬스터로 리메이크되었는데, 번개가 일반 마법이라 그런지 메인 페이즈 1에 마법 카드 발동을 막는 효과를 얻었다. 다만 [[유희왕 파워 오브 카오스]]에서는 의외로 상대가 번개를 발동했을 때, 세트된 이 카드가 도움이 될 때가 많다. ||<-5> '''수록 팩 일람''' || || [[볼륨(유희왕)|Vol.5]] || -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br]절판 || || [[부스터(유희왕)|BOOSTER5]] || - || [[레어]] || 일본 || 절판 || || [[토너먼트 팩|Tournament Pack: 3rd Season]] || TP3-002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br]절판 || || Legendary Collection Kaiba Mega Pack || LCKC-EN104 || [[시크릿 레어]] || 미국 || || || [[토너먼트 팩|토너먼트 팩 3 2006]] || TP3-KR002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br]절판 || == 관련 카드 == === [[번개(유희왕)|번개]] === === [[피뢰신]]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번개(유희왕), version=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