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 [[파일:shells.png|width=100%]] || || 구조도 || [[파일:attachment/APC-B00001.gif||width=100%]] '''A'''rmor '''P'''iercing '''C'''apped [[철갑탄]]의 일종으로, [[경심철갑탄]]과는 다른 방법으로 탄자 붕괴 현상을 막은 [[포탄]]이다. [[텅스텐]]과 같이 강한 [[경도(성질)|경도]]를 가진 [[탄두]]에 [[구리(원소)|구리]] 등 연성, 전성이 뛰어난 금속으로 만들어진 캡(피모)을 씌워, 착탄시 일단 연질의 피모 부분이 뭉개진 뒤에 관통자가 [[장갑(무기)|장갑]]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 상세 == 피모철갑탄 이전의 [[철갑탄]]은 장갑판에 고속으로 부딪힐때 충격 저항을 버티지 못하고 관통자 앞 부분이 변형되거나 심할 경우 탄자 자체가 붕괴하여 관통력이 낮아지는 경우가 많았지만, 피모철갑탄의 경우 피모가 먼저 힘을 받아주기 때문에 탄자 붕괴와 변형을 막을 수 있었다. 이 때문에 통상 [[철갑탄]]보다 높은 관통력을 발휘했다. 하지만 이는 장갑판의 경사도가 대략 45도 이하일 경우에만 그렇고 45도 이상의 경사장갑의 경우에는 충격저항이 상대적으로 낮아 탄자의 변형이 적어지면서 53도 이상이 되면 오히려 같은 질량 대비 관통자가 더 무거운 일반 [[철갑탄]] 쪽이 더 높은 관통력을 발휘했다. 과거에는 [[월드 오브 탱크]]의 영향으로 인해 피모철갑탄 쪽이 [[경사장갑]]에 무조건 더 강하다는 낭설이 퍼졌으나,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실제 기록과 [[철갑탄]] 관련 연구 문서들에 의해 실제로는 낮은 경사에서만 그렇고, 높은 경사에서는 반대로 작용한다는 것이 드러났다. 이 외의 단점으로는 이 방식을 사용하면 구경이 어느 정도 이상 올라가면 탄두의 중량이 증가하며, 덤으로 [[포탄]]의 앞면이 밋밋해지므로 공기저항을 많이 받아 운동에너지를 손실하기 딱 좋다. 후자는 저저항피모철갑탄으로 해결했지만, 전자는 해결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경심철갑탄]]이 등장하게 된다. 그러나 경심철갑탄도 가공이 힘들고 근거리만 넘어가면 관통력이 급격하게 하락하며, 탄도성능도 좋지 않기 때문에 양자가 공존하다가 [[분리철갑탄]]에게 1선급 [[철갑탄]]의 지위를 넘기고 역사에서 퇴장한다. 생철갑탄(AP)에 유선형 탄도 캡(BC - Ballistic Capped)만 씌운 '''APBC''' 라는 포탄도 존재했다. 하지만, APC 포탄이나 APCBC 포탄으로 바로 개량되어버렸으니, APBC 포탄은 상대적으로 덜 유명했다.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소련의 [[T-34-76]] 전차가 쓰는 BR-350 계열 APBC 포탄이다.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T34_bkF34br.jpg|링크 사진의 첫 번째, 두 번째이다.]] 첫 번째는 BR-350A로, 철갑탄두의 앞에 철갑탄과 같은 재질인 코를 만들어 코가 경사면을 받아낸 뒤 부러지고 나머지 탄두가 관통하도록 설계되었는데, [[https://www.youtube.com/watch?v=EBS5RdLdJ60|시뮬레이션을 살펴보면 피모철갑탄과 유사한 거동을 보여준다]]. 두 번째 포탄인 BR-350SP는 철갑탄두 자체의 중량을 늘리는 더 직관적인 설계를 도입했고, BR-350A보다 더 나은 관통력을 보여주었다. 이후 소련은 더 이상 BR-350A처럼 여러 가지 기교를 부리는 철갑탄 설계를 하지 않게 된다. === 저저항피모철갑탄 === || [[파일:attachment/APCBC-B00001.gif|width=100%]] || '''A'''rmor '''P'''iercing '''C'''apped '''B'''allistic '''C'''ap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68px-German_7.5-cm-PzGr._39.svg.png|width=100%]] || 독일제 75mm Pzgr. 39 APCBC-HE-T[* 내부 작약이 들어있으므로 [[철갑유탄]]의 변종이다.] 포탄 그림 단면도 1: [[신관(동음이의어)#toc|신관]](Fuze) 2: [[예광탄|예광제]](Tracer) 3: 드라이빙 밴드(Driving Band) 4: [[고폭탄]] 작약(Explosive Filler) 5: 관통자(Penetrator) 6: 경금속 피모(Soft Cap) 7: 유선형 캡(Ballistic Cap) 피모철갑탄의 경우 탄두 앞에 경금속을 붙인 형태라 공기저항을 많이 받아서 [[포탄]]의 속도가 떨어지므로 관통력 자체는 약간 저하되는 현상을 보인다. 이런 것을 막기 위해 그 앞에 유선형의 캡을 추가해서 공기저항을 줄인 탄이다. 해당 캡은 오로지 공기저항을 막는 역할만 하므로 [[포탄]]이 목표에 명중하면 순식간에 그냥 깨져서 흩어져서 피모철갑탄의 위력을 저하시키지 않는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대전차포]]와 [[전차포]], [[전함]] 주포의 주력 탄종으로 사용되었다. 비록 피모철갑탄 자체는 [[현대전]]에서 관통력이 떨어져서 사장되었지만, [[포탄]]에 유선형의 캡을 씌운다는 발상 자체는 유용하므로 유선형 캡은 지금도 각종 포탄이나 총기용 [[철갑탄]]에 적용돼서 사용 중이다. 철갑탄 문서의 맨 위 사진에도 있는 [[7.62×51mm NATO]] M993 철갑탄이 대표적인 예다. [[분류:탄환]][[분류:대전차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