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피아트|[[파일:피아트 로고 화이트.svg|width=10%]]]]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22 피아트 e-도블로_(1).jpg|width=100%]]}}} || || {{{#fff '''Doblò'''}}} || '''Fiat Doblò / Panorama[* 1세대 [[싱가포르]] 시장 수출명] / Practico[* [[튀르키예]] 시장 픽업트럭 사양]'''/ '''RAM V1000[* [[칠레]] 시장 2세대 차량]''' / '''[[램 프로마스터 시티|RAM PROMASTER CITY]]''' [목차] == 개요 == [[이탈리아]]의 자동차 제조사인 [[피아트]]에서 생산하고 있는 [[LAV]] 형태의 [[경상용차]]이며, 국내에서는 [[평화 뻐꾸기]] I의 기반 차량으로도 알려져 있다. == 상세 == === 1세대(Type 223,2000~2010) === [[파일:2000 피아트 도블로.png|width=700]] 초기형 차량(2000~2005) [[2000년]] 10월에 개최된 파리 모터쇼에서 최초로 공개되었다. 이후 [[2001년]] 1월에 [[네덜란드]] 시장에서 최초 판매가 이루어졌으며 [[2006년]]에는 올해의 국제 밴 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싱가포르]] 시장에서는 1.4L 사양의 5인승 차량과 7인승 차량이 '피아트 파노라마'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고, [[북한]]에서는 이 차량을 [[평화 뻐꾸기]]라는 이름으로 생산하기도 했다. 차량의 최대 적재량은 730kg, 실내공간은 3.2평방미터 정도였다. 플랫폼은 [[피아트 팔리오]]에서 파생된 [[피아트 스트라다]]의 것을 사용했다. 후면부 서스펜션은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을 적용했는데, 코일 스프링 형태의 [[토션빔 서스펜션]]이 적용된 팔리오와는 일부 차이가 있었다. 생산은 [[튀르키예]] [[부르사]]에 위치한 토파스 공장에서 이루어졌으며, 이외에도 [[브라질]] 베팀 공장, [[2002년]]부터는 [[러시아]] 나베레즈니예첼니 공장, [[베트남]] [[호치민 시]] 공장에서도 이루어졌다. [[파워트레인]]으로는 64마력의 1.2L파이어 가솔린 I4 엔진, 92마력의 1.6L 토크 내츄럴 파워 CNG I4 엔진, 62마력의 1.9L D 디젤 I4 엔진, 104마력의 JTD 디젤 I4 엔진이 탑재되었다. 차량의 전장은 4,158mm, 맥시 사양이 4,633mm, 전폭은 1,715mm, 전고는 1,818mm, 휠베이스는 일반 사양이 2,853mm, 맥시 사양이 2,963mm였다. [[파일:2006 피아트 도블로.png|width=700]] 후기형 차량(2005~2010) [[2005년]] 10월에 첫 [[페이스리프트]]가 이루어졌으며, 테일램프와 헤드램프 부분의 수정과 전면부 위주의 변화가 이루어졌다. [[2009년]]까지 생산된 차량의 [[파워트레인]]으로 76마력의 1.4L 파이어 가솔린 I4 엔진, 91마력의 1.6L 토크 내츄럴 파워 CNG I4 엔진, 74마력/83마력의 1.3L 16v 멀티젯 디젤 I4 엔진, 104마력의 1.9L 멀티젯 디젤 I4 엔진, 118마력의 1.9L 멀티젯 16v 디젤 I4 엔진이 탑재되었다. 초기형과 후기형에서 이와 함께 5단 [[수동변속기]]와 6단 [[수동변속기]]가 탑재되었다. 차량의 전장에 변화가 생겨 4,253mm, 전폭은 1,722mm, 전고는 1,818mm, 하이루프 사양은 2,086mm을 기록했다. ==== 브라질 사양 ==== [[파일:도블로 어드벤처.png|width=700]] 도블로 어드벤처 사양 [[2002년]]에 출시되었으며, 1.3L 파이어 엔진과 1.6L 토크 가솔린 I4 엔진이 탑재되었다. [[2004년]]부터 [[2009년]]까지는 엔진 라인업이 단 하나뿐이었는데, [[제너럴 모터스]]의 N18XFH형 1.8L 에코텍 가솔린 엔진이 탑재되었다. 초기에는 가솔린 사양만 있었으나 후에 플렉스 퓨얼 사양으로 변경되었다. [[2003년]] 9월에는 오프로드 4X2 사양인 피아트 도블로 어드벤처가 출시되었고 역시 1.8L 에코텍 엔진이 탑재되었다. 더 커진 범퍼, 몰딩이 추가되었고, 지상고가 6cm 높아졌으며, 차량 후면부에 스페어 타이어가 탑재되었다. [[2009년]]에는 전 어드벤처 사양[* 도블로, [[피아트 이데아]], [[피아트 스트라다]] 및 [[피아트 팔리오|팔리오 위킨드]] 사양]에 잠금 디퍼렌셜이 추가되었고, '어드벤쳐 로커' 사양으로 판매되었다. 1년뿐이긴 했지만, [[2010년]]까지 판매된 도블로/도블로 어드벤처는 [[유럽]] 시장 사양과 같은 형태를 띄고 있었다. 후에 1.4L 파이어 플렉스 엔진이 탑재되었고, [[2011년]]부터는 에코텍 엔진 대신 [[피아트]]에서 개발한 1.8L E.토Q 플렉스퓨얼 I4 엔진으로 대체되었다. 어드벤처 사양의 전장은 4,354mm, 전폭은 1,763mm, 전고는 1,957mm였다. ==== 전기차 사양 ==== [youtube(TrzEt1uBRJ8)] [[이탈리아]]의 전기차 제조사인 마이크로-벳(Micro-Vett) 사에서 개조한 차량으로, 알타이어 나노테크놀로지 사의 18kW 리튬 이온 나노세이프 배터리 팩인 '고 그린'이 탑재되어 [[미국]]의 방산업체인 에어로바이어먼트(Aerovironment)의 125kW 충전기를 사용해 10분 내로 충전하는 형태로 구성되었다. 43kWh의 배터리 팩은 납 산 형태로 되어 있으며 주행거리는 150km이고 충전 시간은 5~8시간이 소모된다. 또한 60X200 AH 3.6V 리튬 모듈러는 배터리 수명은 1,000번 순환 시 80% 이상, 2,000번 순환 시 70% 이상의 충전 및 방전 횟수를 절약할 수 있다. 모터는 안살도 일렉트릭 드라이브 사의 30kW 제품을 사용해 최대 120km/h의 속도로 주행할 수 있다. [[2007년]] 10월 2일에 최초로 공개되었으며, 18kW 배터리 팩과 최대 300km 도심 배송 주행거리를 기록하였다. 총 60일 간의 주행 결과 7,500km를 달렸고 이 기간은 1년으로 환산 시 약 45,000km를 주행하는 수치였다고 한다. === 2세대(Type 263, 2010~2022, 2010~현재[* [[램 프로마스터 시티]] 사양]) === [[파일:2012 피아트 도블로.png|width=700]] 초기형 피아트 도블로(2010~2015) [[2010년]]에 출시되었으며, 1세대 차량처럼 [[튀르키예]] [[부르사]]의 토파스 공장에서 생산이 이루어지나 다른 공장에서는 생산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오펠]]과 [[복스홀]] 브랜드를 통해 [[오펠 콤보]]로 판매한 적이 있었으나 현재는 [[스텔란티스]]이 [[제너럴 모터스]]에 있던 두 브랜드를 인수하면서 [[시트로엥 베를링고]]를 기반으로 한 차량을 판매하고 있다. 플랫폼은 [[피아트 푼토|피아트 그란데 푼토]]에서 사용되는 소형차 플랫폼이 적용되었고 기존의 [[토션빔 서스펜션]]을 대체하는 [[멀티링크 서스펜션|바이 링크 서스펜션]]이 적용되었다. 적재 공간은 1세대와 같은 790L를 유지하였으며, 이산화탄소 배출량 역시 일부 저감이 이루어졌다.[* 일례로 89마력의 1.3L 멀티젯 엔진의 경우, 129g/km의 배출량을 보였다.] [[파일:피아트 프락티코.png|width=700]] 피아트 프락티코 [[2011년]] 7월에는 픽업트럭 사양인 도블로 워크업 혹은 '피아트 프락티코'라는 이름으로 판매되기도 했으며, 하이루프 및 장축형 차량인 '도블로 카고 맥시' 사양도 존재하였다. 이 버전의 패널 밴 사양은 '도블로 카고 XL'로 판매되었으며, 1t의 적재량과 1.6L 멀티젯 커먼레일 디젤 엔진이 탑재되었고 [[2013년]] 5월에 [[영국]] 시장에 출시되었고 [[피아트 스쿠도]]만큼 적재가 가능했다. 타 국가군에서는 [[2012년]]에 출시되었으며, 1.3L 멀티젯 디젤 터보 I4 엔진과 1.4L T-젯 엔진을 제외한 모든 디젤 엔진이 탑재되었다. 이외에도 2.0L 멀티젯 디젤 터보 엔진이 탑재된 XL 콤비 사양도 존재하였다. [[파일:피아트 도블로.png|width=700]] [[2015년]] 하노버 모터쇼에서 최초로 공개된 [[페이스리프트]] 사양은 새로운 대시보드, 헤드램프, 그릴, 전면 범퍼 등을 [[배지 엔지니어링]] 사양인 [[램 프로마스터 시티]]와 비슷한 형태로 구성하였다. 사양은 상용 버전이 '액티브', 'SX', '테크니코' 사양이 있었으며 승용 사양은 '팝', '이지', '라운지', '트레킹'으로 분류되었다. [[2017년]] NCAP 충돌테스트 결과 별점 5점 만점 중에서 3점을 획득하였다. [[2019년]]부터 [[영국]] 시장에서 판매를 중단한 것을 시작으로 [[2020년]] 1월에는 모든 승용 도블로의 생산이 중단되었다. 화물 밴 사양은 [[2020년]] 2월까지 생산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사실상 단종 수순을 밟는 것으로 추정된다. 단 해당 생산라인은 지금까지도 [[램 프로마스터 시티]] 생산을 전담하고 있다. ==== 전기차 사양 ==== [[파일:도블로 EV.png|width=700]] [[2010년]] 2월에 토파스에서 공개가 이루어졌으며, '튀르키예에서 개발된 최초의 상용 전기차'로 소개되었다. 또한 100만 번째 도블로의 생산 이후 튀르키예의 니하트 에르귄 산업통상부 장관과 언론들에게 시승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첫 번째 차량은 [[2019년]] 2월에 [[튀르키예]]의 한 패션 업체에 탁송되었으며, 111마력과 220Nm의 최대 토크를 내는 전기 모터가 탑재되었고 1회 충전 시 210km를 주행할 수 있다. 30kWh의 배터리는 차량 바닥에 위치해 있으며, 1.6L 엔진이 탑재된 도블로 카고 사양보다 150kg 정도 무거운 편이다. ==== 파생차량 ==== [[파일:램 프로마스터 시티.png|width=700]] [[램 프로마스터 시티]] 문서 참고. [[파일:램 V1000.png|width=700]] [[칠레]] 시장에서는 램 V1000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되기도 했다. ==== 파워트레인 ==== * 가솔린 사양 * 1.4L 파이어 I4 가솔린 엔진(2009~현재) - 94마력, 127Nm(최대 토크) * 1.4L T-제트 내츄럴 파워 I4 엔진(2009~현재) - 118마력, 207Nm(최대 토크) * 디젤 사양 * 1.3L 멀티젯 I4 엔진(2009~현재) - 89마력, 200Nm(최대 토크) * 1.6L 멀티젯 I4 엔진(2009~현재) - 104마력, 290Nm(최대 토크) * 2.0L 멀티젯 I4 엔진(2009~현재) - 135마력, 320Nm(최대 토크) * 적용 변속기 * 5단 [[수동변속기]] * 6단 [[자동변속기]] * 5단 듀얼로직 [[반자동 변속기]] ==== 제원 ==== * 전장: 4,390mm(단축형), 4,756mm(장축형) * 전폭: 1,832mm * 전고: 1,845mm(단축형), 1,880mm(장축형) * 휠베이스: 2,755mm(단축형), 3,105mm(장축형) === 3세대(2022~예정)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22 피아트 e-도블로_(1).jpg|width=100%]]}}}||{{{#!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22 피아트 e-도블로_(2).jpg|width=100%]]}}}||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22 피아트 e-도블로_(3).jpg|width=100%]]}}}||{{{#!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22 피아트 e-도블로_(4).jpg|width=100%]]}}}|| ||<-2> {{{#ffffff '''e-도블로'''}}}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22 피아트 e-도블로 밴_(1).jpg|width=100%]]}}}||{{{#!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22 피아트 e-도블로 밴_(2).jpg|width=100%]]}}}|| ||<-2> {{{#ffffff '''e-도블로 밴'''}}} || [[2022년]] [[6월 7일]] 공개되었다. 상용밴에는 파워트레인으로 디젤 2종과 가솔린 1종을 같이 제공하되 승용판은 전기차 사양인 e-도블로만 공개되었으며, [[시트로엥 베를링고]], [[푸조 파트너]], [[오펠 콤보]], [[토요타 프로에이스 시티]]의 배지 엔지니어링으로 전항하되 2019년 공개된 피아트 첸토벤티 콘셉트카의 것을 응용한 그릴리스 룩의 프런트와 대문자 FIAT 엠블럼, 무도장 범퍼 커버가 적용되었다. 피아트 도블로는 기존에는 튀르키예 공장에서 생산되었으나 3세대 도블로부터는 스텔란티스 그룹이 피아트 도블로 생산을 튀르키예 대신 스페인 공장에서 할 것으로 계획하고 있다고 한다. [[https://www.carscoops.com/2022/06/stellantis-to-move-production-of-fiat-doblo-from-turkey-to-spain/|#]] 2023년 10월 23일, 스텔란티스는 시트로엥, 피아트, 오펠, 복스홀, 푸조의 2세대 전기밴, 상용밴을 발표하였다. 해당되는 차량은 시트로엥의 경우 베를링고, 점피, 점퍼; 피아트는 '''도블로''', 스쿠도, 두카토; 오펠/복스홀은 콤보, 비바로, 모바노. 푸조 파트너, 엑스퍼트, 박서 이 3가지 차종은 2023년 후반 도입이 계획되어 있다. 순수전기 램 프로마스터 EV는 2023년말 이전에 선보일 예정이다. 모두 새로운 전기차 또는 수소차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며 '''자체 제작한(in-house) 배터리'''를 사용한다. 완충시 주행거리(WLTP 기준)는 '''소형 밴 330 km''', 50kWh 또는 65kWh 배터리팩을 장착한 중형 밴의 경우는 350km, 대형 밴은 110kWh 배터리팩을 장착하여 420km다. 대형 밴의 경우 150 kW 충전시스템을 갖춰 0%에서 80%까지 1시간 내에 충전이 가능하다. 수소 밴의 경우는 2가지 사이즈(중형, 대형)으로 나온다. 주행거리(WLTP 기준)는 중형 밴 400km, 대형 밴은 500km이며 수소차량의 특성상 완충에 5분밖에 걸리지 않는다. 10인치 인포테인먼트 스크린, 레벨2 주행보조장치, OTA(over-the-air) 업데이트, 서라운드 뷰 카메라 등이 제공된다. 운송회사의 경우 커넥티드 기술 덕분에 운행나가있는 차량들과도 연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계획수립 테크놀로지를 활용, 가장 효율적인 운송 경로를 계획할 수 있다. 400V e-Power Take Off (ePTO) 시스템을 적용한 덕분에 차량에 추가적인 악세사리 등을 장착하더라도 특별한 작업이 필요하지 않다고 한다. [[https://www.carscoops.com/2023/10/stellantis-drops-12-new-electric-delivery-vans-all-at-once/|#]] == 둘러보기 == [include(틀:피아트의 차량)] [[분류:피아트/생산차량]][[분류:2000년 출시]][[분류:MP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