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국제올림픽위원회 위원장)] ---- [include(틀:프랑스 2 선정 위대한 프랑스인)]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7F7F7 0%, #FFFFFF 20%, #FFFFFF 80%, #F7F7F7);" '''{{{#000000 제2대 국제올림픽위원회 위원장}}}[br]{{{+1 쿠베르탱 남작}}}[* 현지 언어 발음으로는 '삐예흐 드 꾸베흐텅'에 가깝다.][br]Pierre de Couberti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www.sportsfeatures.com/img1_51593.jpg|width=100%]]}}} || || '''본명''' ||피에르 드프레디, 쿠베르탱 남작[*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 용례상 [[로망스어]]권 인명의 전치사 및 관사는 뒤 요소와 붙여 적도록 하고 있다.][br]{{{-1 Pierre de Frédy, Baron de Coubertin}}} || ||<|2> '''출생''' ||[[1863년]] [[1월 1일]] || ||[[프랑스 제2제국|프랑스 제국]] [[파리(프랑스)|파리]] || ||<|2> '''사망''' ||[[1937년]] [[9월 2일]] (향년 74세) || ||[[스위스]] [[제네바]]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 || '''직업''' ||[[교육자]], 체육 [[행정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올림픽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대회에서 이기는 것이 아니라 참가하는 것이다. 인생에서 가장 필수적인 것은 이기는 것이 아닌 얼마나 잘 싸우는 것이냐다."'''[* 원문은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Olympic Games is not winning but taking part; the essential thing in life is not conquering but fighting well."'''] >'''"모든 스포츠는 이 세상에 사는 모든 사람들을 위해 존재한다."'''[* 원문은 '''"All sports for all people."'''] || [navertv(42954960)] || || '''[다큐] 영상의 세기 PREMIUM 제16부 - 올림픽 ·격동의 제전中'''[* 2020년 6월 20일 방송][* 쿠베르탱과 근대 올림픽의 탄생에 대해서 간략하게 다루고 있다][* 20세기 영상 매체 발명 후 기록된 영상들을 수집하여 평화의 제전 올림픽의 격동을 시간 순서대로 다룬 다큐멘터리] || [[프랑스]]의 前 [[교육자]]. '''근대 [[올림픽]]의 창시자'''이자 드미트리오스 비켈라스와 함께 [[1894년]] [[국제올림픽위원회]]를 설립했으며 제2대 [[국제올림픽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근대 올림픽의 아버지'''라는 별명이 있을 정도로 올림피아 제전 연구 및 올림픽 부활에 큰 공헌을 한 인물로 체육사에 있어 중요한 인물이다. == 생애 == 1863년 1월 1일 [[프랑스 파리]]에서 샤를 루이 드프레디 쿠베르탱 남작의 아들로 태어났다. 샤를은 화가였는데 [[병인박해]]로 한반도에서 [[순교]]한 프랑스 [[파리 외방전교회]]의 [[사제]] 4명을 추모하기 위해 이들의 출정을 그린 1868년의 작품 [[http://www.koreanart21.com/review/artWorldStory/view?id=6146|선교사들의 출발(Le depart des Missionnaires)]]이 대표작이다. ||
[[파일:etrange.jpg|width=100%]] || || <선교사들의 출발(Le depart des Missionnaires)>. 왼쪽부터 성(聖) 위앵 민 루카 신부(1836-1886), 성 도리 김 헨리코 신부(1839-1866), 성 볼리외 서 루도비코 신부(1840-1866), 성 브르트니에르 백 유스토 신부(1838-1866).[* 그림 속 4명의 신부들은 1984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방한 때 [[시성]]되었다.([[한국 103위 순교성인]])] 뒤돌아보는 어린아이가 피에르 드 쿠베르탱이다. || 쿠베르탱은 [[노르망디]]에서 청년 시절을 보내면서 [[프랑스]]가 과거 [[유럽]]을 호령하던 시절에 비해 그가 살고 있는 시대에 프랑스의 국제적 지위가 약화된 이유가 무엇인지 고민하게 되었다. 실상 [[보불전쟁]] 이전인 1815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나폴레옹]]이 [[워털루 전투]]에서 패배한 것이 계기가 되어 프랑스의 '역사적 역할'은 역사의 뒤쪽으로 밀려난 상태였다. 1789년 발발한 [[프랑스 혁명]]은 1871년에 [[파리 코뮌]]이 피바다 속에서 파괴된 것으로 사실상 끝났고 이들은 더 이상 혁명 세력이 되지 못한 채 시민 사회로 정작하게 되었다. 그리고 파리 코뮌의 숙청과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던 [[프로이센-프랑스 전쟁|보불 전쟁]]에서 프랑스가 패배하면서 프랑스는 유럽의 패권국 자리에서 내려와야 했다. 이러한 환경에서 유년 시절을 보내며 쿠베르탱은 [[프로이센]]에 대한 강한 적개심을 갖게 되었고 열렬한 애국주의자로 성장하게 되었다. 청년이 된 쿠베르탱은 육군사관학교에 입학했으나 [[군인]]으로서의 자질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고 사관학교를 중퇴한 후 교육학을 전공했다. 교육학을 연구하면서 쿠베르탱은 프랑스 몰락의 원인을 '''군인들의 [[체력]]이 약했기 때문'''이라는 단순한 결론을 내리게 되는데 이는 그 당시 발굴했던 고대 올림피아 유적지의 연구와 맞물려 그가 고대 스포츠를 연구하게 되는 계기가 됐다.[* 이 단순한 결론은 그의 독창적인 생각이었던 것은 아니고 실제로도 [[고대 올림픽]]의 스포츠는 군사적인 성격이 매우 강했다. 창던지기, 전차경주, 레슬링 등을 보면 실제 전투를 염두에 두고 신체 단련을 위해 창설한 종목이다.] 이외에도 쿠베르탱은 [[스파르타]]의 교육에 흥미를 가지고 연구했는데 스파르타가 [[고대 그리스]]의 맹주로 떠오르면서 이웃 국가들과 맺은 동맹이 [[고대 올림픽]]의 안전장치로 작용했다는 사실에 큰 감명을 받았다. 쿠베르탱은 후에 <프랑스 스포츠 연맹>을 조직하여 학교 [[체육]]의 활성화 및 프랑스 전국체육대회의 성격을 띤 경기대회를 추진했으며, 이곳에서 얻은 결과를 가지고 자신의 스포츠 철학을 구성하게 된다. 19세기 말엽부터 유행하기 시작한 [[국제주의]]의 영향을 받은 쿠베르탱은 편협한[[ 민족주의]] 사상에서 한층 진보하여 '''스포츠를 통한 세계 청년들의 화합'''이라는 사상 아래 근대 [[올림픽]]의 부활을 꿈꾸게 된다.[* 그러나 국제주의라는 이상 하에도 불구하고 각 민족들의 선전용으로 올림픽이 활용된 면이 강했다는 것을 생각하면 아이러니하다.] 그러나 그의 포부는 쉽게 이루어지지 못했는데, 프로젝트에 대한 세간의 무관심과 무지 때문이었다. 그리하여 그는 1894년 6월 16일부터 23일까지 파리 [[소르본대학교]]에서 <올림픽 경기의 부활을 위한 의회>를 열고 공식적으로 올림픽 부활 프로젝트를 추진하게 된다. 이 회의에는 쿠베르탱의 작업을 국제적으로 지원하던 [[미국]] 및 [[영국]]의 인사들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쿠베르탱은 자신의 설득과 지지자들의 성원으로 국제올림픽위원회([[국제올림픽위원회|IOC]])를 창설하기에 이르렀다. 동시에 13명의 IOC 위원들이 선정됐고 초대 위원장으로는 쿠베르탱의 추천에 따라 [[그리스]]의 왕자인 드미트리오스 비켈라스가 선정되었고, 자신은 사무총장이 되었다. 물론 쿠베르탱 이전에도 근대올림픽을 부활하려는 노력은 꾸준히 있었다. 17세기 초 [[영국]]에서 있었던 코츠월드 대회의 주최자인 로버트 도버는 이 대회를 올림픽이라고 불렀으며,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독립한 [[그리스]]가 1838년에 올림픽 경기의 부활을 시도하기도 했다. 또한 [[스웨덴]], [[프랑스]]에서도 올림픽의 이름을 걸고 개최하는 스포츠 대회들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대회들은 지역적인 결속을 위한 대회라는 한계를 벗어나지 못했다. 한마디로 근대 올림픽은 쿠베르탱이라는 어느 선각자가 [[갑툭튀]]하여 만들어낸 것이 아니라, 고대 문명에 대한 향수라는 그 시대정신 속에서 태어난 것이었다. 그러나 수많은 올림픽 부활의 시도 속에서 쿠베르탱의 근대 [[올림픽]]만이 성공한 이유는, 시대를 읽을 줄 아는 탁월한 안목 때문이었다. 지역적 특색과 국내 선전용 행사라는 한계가 분명했던 다른 대회들과는 달리, 쿠베르탱의 대회는 [[세계화]]를 표방하는 대회이자 그의 출신 배경을 뛰어넘는 자유주의적 사고, 영국과 유럽을 두루 여행하면서 배운 '체육'과 체계적인 '스포츠'의 철학에 기초하여 탄생된 '''세계화된 대회'''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시도는 일찍이 어느 국가나 다른 인물에 의해서 시도된 적이 없었던 것으로, 근대 올림픽을 세계의 제전으로 발전시킨 가장 큰 이유가 되었다. == 비판 == 올림픽 정신을 강조하는 것과는 다르게 [[성차별|성차별]]적인 인식에서는 벗어나지 못하여, 초기에는 여성의 올림픽 출전을 거부했다. [[신비한 TV 서프라이즈]]에서 쿠베르탱의 이와 같은 이중성을 다룬 내용을 방송했었다. 여성은 시상식에서 남성 메달리스트에게 메달이나 주면 된다느니 여자가 땀 흘리며 달리는 것처럼 꼴보기 싫은 건 없다는 발언까지 했을 정도다. 이에 대한 근거로 고대 올림픽에 여성의 참가가 없었다는 점을 내세우기도 했다. 하지만 거듭된 비판에 결국 제2회 [[1900 파리 올림픽]]부터 여성들도 올림픽에 자유롭게 참석하게 되었다. 사실 쿠베르탱이 반대한 것은 여성의 '''육상''' 경기 출전이었다. 하지만 여자 육상 선수들이 [[https://en.wikipedia.org/wiki/1922_Women%27s_World_Games|1922년]]과 [[https://en.wikipedia.org/wiki/1926_Women%27s_World_Games|1926년]]에 자기들끼리 경기(Women's World Games)를 치러 여자도 고난도의 육상 경기를 치를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해 보이자 결국 쿠베르탱도 굴복하여 [[1928 암스테르담 올림픽]]부터 여성의 육상 경기가 도입되었다.[* Women's World Games은 1934년 4회 대회까지 열린다.] 그리고 독일의 올림픽 출전을 싫어하여 초대 올림픽 대회에 독일을 초청하지 않는 행적을 보이기도 했다. 이는 그가 스포츠 진흥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가 프랑스의 보불전쟁 패배였고, 때문에 독일에 반감을 가졌던 점에서 기인한다. 하지만 그가 생전에 마지막으로 참석했던 올림픽은 [[1936 베를린 올림픽|독일에서 열렸다.]][* 재밌게도 이 올림픽 마라톤 종목에서 [[손기정|금메달을 차지한 선수]]는 조선인이었고 천주교인이었다.] [[1904 세인트루이스 올림픽]]의 흑역사인 [[인류학의 날]]과 연관되었다는 주장도 있다. 그러나 자신은 이를 부인하고 조직위에게 책임을 떠넘겼다. == 기타 == * [[1964 도쿄 올림픽]]부터 성적과 관련 없이 스포츠맨십을 구현한 인물에게 이 사람의 이름을 딴 [[피에르 드 쿠베르탱 메달]]을 수여하고 있다. * 이 사람이 고안한 종목이 바로 [[근대 5종]]이다. 해당 종목은 비인기 종목이며 승마 부분에서 형평성 논란이 있지만[* '[[적군]]의 말을 빼앗아 타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어' 말을 기수가 데려오는 것이 아니라 무작위로 추첨한다. 그렇다보니 숙련도와 상관없이 [[운빨좆망겜|운에 의해 승부가 갈리는]] 면이 매우 크다. 최근 사례로는 도쿄 올림픽의 근대 5종에서도 말이 통제가 되지 않아 우승후보였던 독일의 아니카 슐로이가 꼴찌가 되었을 정도. 경정같은 경우도 타는 보트가 랜덤으로 배정되긴 하지만, 그래도 정비 여부 등에 따라서는 극복할 수 있으니 근대 5종처럼 우발적 상황에 좌우되지는 않는다.], 창시자에 대한 존중 차원에서 유지하고 있다. * 1976년 소련의 천문학자 니콜라이 스테파노비치는 자신이 발견한 [[소행성]] 2190에 쿠베르탱이라는 이름을 붙여주었다. * [[박명수]]가 [[무한도전 오호츠크 해 특집]]에서 [[애틀랜타]]에 관한 --아무말 대잔치--랩에다가 갑자기 '올림픽 창시자 쿠베르탱'이라는 가사를 넣었다.--올림픽... 올림픽 창시자 쿠베르탱 쿠베르탱 '''탱 탱 탱'''-- * 위의 성차별적인 선입견을 가졌던것과는 별개로 인종문제에 대해서 그리 꽉 막힌 사람은 아니라서 1920년대에 아프리카인들의 지역대회가 필요하다고 여겨서 [[아프리칸 게임]]을 구상하기도 했다. 이 구상안은 아프리카 대부분의 나라들이 식민치하에 있었기 때문에 쿠베르탱 살아 생전에는 실현되지는 않았지만 아프리카 국가들이 잇따라 독립 한 후인 1965년부터 콩고공화국 브라자빌에서 아프리칸 게임이 개최되면서 현실화되었다. [[분류:1863년 출생]][[분류:1937년 사망]][[분류:파리 출신 인물]][[분류:프랑스의 귀족]][[분류:프랑스의 교육인]][[분류:프랑스의 남성 정치인]][[분류:국제올림픽위원회 위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