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Pierre-Gustave Roz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miralRoze.jpg]]}}} || || 이름 ||피에르귀스타브 로즈(Pierre-Gustave Roze) || ||<|2> 출생 ||1812년 11월 28일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width=25]] [[프랑스 제1제국|프랑스]] [[툴롱]]|| ||<|2> 사망 ||1883년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width=25]] [[프랑스 제3공화국|프랑스]] [[파리(프랑스)|파리]]|| || 소속 ||[[프랑스 해군]] || [목차] [clearfix] == 개요 == [[프랑스]]의 군인. [[한국]]에서는 [[병인양요]] 당시 [[조선]]과 충돌했던 프랑스 원정군의 사령관으로 인지도가 있는 인물이다. == 병인양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병인양요)] 1866년, [[파리외방전교회]] 소속 [[프랑스인]] [[가톨릭]] [[선교사]] 9명이 [[순교]]하는 [[병인박해]]가 발생하였다. 당시 로즈는 프랑스 극동함대의 사령관으로 [[톈진]]에 주둔하고 있었는데, 병인박해에서 살아남았던 [[펠릭스 클레르 리델]][* [[천주교 서울대교구]] 제6대 교구장] 신부 등이 로즈 제독에게 병인박해에 대해 알려오면서, 로즈 제독은 조선 원정을 준비하였다. 당시 [[제너럴 셔먼호 사건]]으로 분위기가 뒤숭숭했던 [[조선]]은, [[프랑스]] 함대가 출격하자 전쟁 분위기에 휩싸인다. 리델 신부는 이 기회에 [[조선의 천주교 박해]]를 저지하자고 제안하였는데, 로즈는 [[병인박해]] 이전 한성으로 진공할 때 받았던 호의적인 태도 때문에 리델 신부의 제안을 거부하고 즈푸항으로 돌아온다. 로즈는 이후 다시 [[강화도]]로 진공하기 위해 [[영종도]]를 점령하기로 결정하고 이 전투를 통해 강화도로 진공하였다. 이후 강화해협 봉쇄령을 [[청나라]]와 각국의 공사관에 발송하고 해상훈련을 실시하였다. [[조선]]에서 항의서한을 보내자 로즈는 조선에서 선교사들이 처형당한 사건을 비난하며 전권대신의 파견을 요구하였다. 로즈의 함대는 이후 문수산성을 정찰하다가 매복 중이던 [[한성근]]의 공격으로 인해 27명의 사상자를 내고 물러났다. 이후 [[정족산성]] 공략을 시도했으나 실패하였고, 퇴각하면서 강화이궁과 [[외규장각]]에서 각종 무기와 서적 등을 약탈하였다. == [[병인양요]] 이후 == [[병인양요]] 이후 로즈는 [[일본]] [[요코하마]]로 돌아갔다가 1868년 [[프랑스]]로 돌아갔다. 로즈는 이 전투의 패배에도 불구하고 이후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에도 참전하고 중장으로 [[지중해]] 방면 사령관을 맡았다가 1883년 [[프랑스 파리]]에서 사망하였다. [[분류:프랑스의 군인]][[분류:1812년 출생]][[분류:1883년 사망]][[분류:툴롱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