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B5B2FF,#5b5980> '''지표''' (metrics) || ||<:> 저자 수준 ||<:> 저널 수준 ||<:> 문헌 수준 || ||<:> [[h 인덱스|h-index]] ||<:> [[임팩트 팩터]][BR][[SJR]][BR][[SNIP]] ||<:> [[피인용수]] || [목차] == 개요 == [[피인용수]]의 역대 기록을 서술. 내림차순, 백의 자리에서 반올림. [[구글 학술검색]] 기준으로 10,000건 이상 인용이 확인될 경우 등재하기로 한다. == [[철학]] == [[피인용수/철학]] 참조. == [[역사학]] == ||<#EEEEEE><:> '''저자''' ||<#EEEEEE><:> '''연도''' ||<#EEEEEE><:> '''제목''' ||<#EEEEEE><:> '''피인용수''' || ||[[요한 하위징하]]||1938||[[https://ko.wikipedia.org/wiki/%ED%98%B8%EB%AA%A8_%EB%A3%A8%EB%8D%B4%EC%8A%A4|호모 루덴스]](Homo Ludens)||'''30,000'''[* 네덜란드어+영어+독일어+에스파냐어+포르투갈어]|| ||[[마르크 블로크]]||1949||역사를 위한 변명(Apologie pour l'histoire ou Métier d'historien)||'''13,000'''[* 프랑스어+영어+독일어+이탈리아어+에스파냐어+포르투갈어+러시아어]|| ||[[페르낭 브로델]]||1949||지중해(La Méditerranée et le monde méditerranéen à l'époque de Philippe)||'''10,000'''[* 프랑스어+영어+독일어+에스파냐어+포르투갈어]|| ||[[에른스트 칸토로비츠]]||1957||왕의 두 몸(King's Two Bodies)||'''10,000'''[* 영어+독일어+프랑스어+에스파냐어+포르투갈어]|| ||[[필리프 아리에스]]||1960||아동의 탄생(Enfant et la Vie familiale sous l'Ancien Régime)||'''31,000'''[* 프랑스어+영어+독일어+에스파냐어+포르투갈어]|| ||[[에릭 홉스봄]]||1962-1987||장기 19세기 3부작([[https://ko.wikipedia.org/wiki/%ED%98%81%EB%AA%85%EC%9D%98_%EC%8B%9C%EB%8C%80|혁명의 시대]], [[https://ko.wikipedia.org/wiki/%EC%9E%90%EB%B3%B8%EC%9D%98_%EC%8B%9C%EB%8C%80|자본의 시대]], [[https://ko.wikipedia.org/wiki/%EC%A0%9C%EA%B5%AD%EC%9D%98_%EC%8B%9C%EB%8C%80|제국의 시대]])||'''20,000'''[* 영어+독일어+프랑스어+에스파냐어+포르투갈어]|| ||[[에드워드 P. 톰슨]]||1963||[[https://ko.wikipedia.org/wiki/%EC%98%81%EA%B5%AD_%EB%85%B8%EB%8F%99%EA%B3%84%EA%B8%89%EC%9D%98_%ED%98%95%EC%84%B1|영국 노동 계급의 형성]](The making of the English working class)||'''21,000'''|| ||[[페르낭 브로델]]||1967||물질문명과 자본주의(Civilisation matérielle et capitalisme)||'''14,000'''[* 프랑스어+영어+독일어+에스파냐어+포르투갈어]|| ||[[헤이든 화이트]]||1973||메타역사(Metahistory)||'''11,000'''[* 영어+독일어+에스파냐어]|| ||[[크리스토퍼 래쉬]]||1979||나르시시즘의 문화(The Culture of Narcissism)||'''11,000'''[* 영어+에스파냐어]|| ||[[라인하르트 코젤렉]]||1979||지나간 미래(Vergangene Zukunft)||'''15,000'''[* 독일어+영어+프랑스어+이탈리아어+에스파냐어+포르투갈어]|| ||[[에릭 홉스봄]]||1983||1780년대 이후의 민족과 민족주의(Nations and nationalism since 1780)||'''20,000'''[* 영어+독일어+프랑스어+에스파냐어+포르투갈어]|| ||[[에릭 홉스봄]], 테렌스 레인저 편||1983||만들어진 전통(The Invention of Tradition)||'''40,000'''[* 영어+독일어+프랑스어+에스파냐어+포르투갈어]|| ||[[피에르 노라]]||1984||"기억과 역사의 사이에서"(Entre mémoire et histoire)||'''18,000'''[* 프랑스어+영어+독일어+에스파냐어+포르투갈어]|| ||[[조앤 스콧]]||1986||"젠더: 역사적 분석의 유용한 범주"(Gender: A Useful Category of Historical Analysis)||'''22,000'''[* 영어+독일어+프랑스어+에스파냐어+포르투갈어]|| ||[[폴 케네디]]||1987||강대국의 흥망(The Rise and Fall of the Great Power)||'''11,000'''[* 독일어+영어+프랑스어+이탈리아어+에스파냐어+포르투갈어]|| ||[[토마스 라커]]||1990||섹스의 역사(Making Sex)||'''10,000'''[* 영어+독일어+프랑스어+에스파냐어+포르투갈어]|| ||[[에릭 홉스봄]]||1994||[[https://ko.wikipedia.org/wiki/%EA%B7%B9%EB%8B%A8%EC%9D%98_%EC%8B%9C%EB%8C%80|극단의 시대]](The Age of Extreme)||'''20,000'''[* 영어+독일어+프랑스어+에스파냐어+포르투갈어]|| ||[[디페쉬 차크라바르티]]||2000||유럽을 지방화하기(Provincializing Europe)||'''10,000'''|| == [[인류학]] == ||<#EEEEEE><:> '''저자''' ||<#EEEEEE><:> '''연도''' ||<#EEEEEE><:> '''제목''' ||<#EEEEEE><:> '''피인용수''' || ||[[브로니스와프 말리노프스키]]||1922||서태평양의 항해자들(Argonauts of the Western Pacific)||'''12,000'''|| ||[[클로드 레비-스트로스]]||1958||구조 인류학(Anthropologie structurale)||'''17,000'''[* 프랑스어+영어]|| ||[[클로드 레비-스트로스]]||1962||야생의 사고(La Pensée sauvage)||'''19,000'''[* 프랑스어+영어]|| ||[[클리포드 기어츠]]||1973||문화의 해석(The interpretation of culture)||'''98,000'''[* 영어+독일어+에스파냐어+포르투갈어]|| ||[[에릭 울프]]||1982||유럽과 역사 없는 사람들(Europe and the people without history)||'''10,000'''[* 영어+독일어+에스파냐어]|| ||[[클리포드 기어츠]]||1983||지역적 지식(Local Knowledge)||'''10,000'''|| ||[[어니스트 겔너]]||1983||민족과 민족주의(Nations and Nationalism)||'''20,000'''|| == [[언어학]] == ||<#EEEEEE><:> '''저자''' ||<#EEEEEE><:> '''연도''' ||<#EEEEEE><:> '''제목''' ||<#EEEEEE><:> '''피인용수''' || ||[[페르디낭 드 소쉬르]]||1916||일반 언어학 강의(Cours de linguistique générale)||'''41,000'''|| ||[[놈 촘스키]]||1957||[[촘스키의 통사구조]](Syntactic structures)||'''28,724'''|| ||[[로만 야콥슨]]||1958||언어학과 시학(Linguistics and phoetics)||'''10,000'''[* 영어+독일어+에스파냐어]|| ||[[놈 촘스키]]||1965||통사 이론의 제양상(Aspects of the Theory of Syntax)||'''35,000'''|| ||[[놈 촘스키]], [[모리스 할레]]||1968||[[영어의 음성체계]](The sound pattern of English.)||'''18,544'''|| ||[[조지 레이코프]], [[마크 존슨]]||1980||삶으로서의 은유(Metaphors we live by)||'''57,000'''|| ||[[놈 촘스키]]||1981||지배결속이론(Lectures on government and binding: The Pisa lectures)||'''23,000'''|| ||[[놈 촘스키]]||1986||언어 지식(Knowledge of language: Its nature, origin, and use)||'''13,000'''|| ||[[놈 촘스키]]||1995||최소주의 언어이론(The minimalist program)||'''26,994'''|| == [[사회학]] == [[피인용수/사회학]] 참조. == [[정치학]] == === 고전 === ||<#EEEEEE><:> '''저자''' ||<#EEEEEE><:> '''연도''' ||<#EEEEEE><:> '''제목''' ||<#EEEEEE><:> '''피인용수''' || ||[[토마스 홉스]]||1651||리바이어던(Leviathan)||'''27,000'''|| ||[[존 로크]]||1689||통치론(The two treatises of government)||'''20,000'''|| ||[[장 자크 루소]]||1762||사회 계약론(Du contrat social)||'''20,000'''[* 프랑스어+영어+독일어+에스파냐어]|| ||[[알렉시스 드 토크빌]]||1835||미국의 민주주의(De la démocratie en Amérique)||'''33,000'''[* 프랑스어+ 영어+독일어+에스파냐어]|| ||[[카를 마르크스]]||1852||루이 보나파르트의 브뤼메르 18일(Der achtzehnte Brumaire des Louis Bonaparte)||'''12,000'''[* 독일어+영어+프랑스어+에스파냐어+포르투갈어]|| ||[[존 스튜어트 밀]]||1859||자유론(On Liberty)||'''30,000'''|| ||[[로베르트 미헬스]]||1911||정당사회학(Zur Soziologie des Parteiwesens in der modernen Demokratie)||'''10,000'''[* 독일어+영어+프랑스어+이탈리아어+에스파냐어+포르투갈어]|| ||[[막스 베버]]||1919||"직업으로서의 정치"(Politik as Beruf)||'''12,000'''[* 독일어+영어]|| ||[[카를 슈미트]]||1922||정치 신학(Politische Theologie: Vier Kapitel zur Lehre von der Souveränität)||'''10,000'''[* 독일어+영어+프랑스어+포르투갈어]|| ||[[카를 슈미트]]||1932||정치적인 것의 개념(Der Begriff des Politischen)||'''10,000'''[* 독일어+영어+에스파냐어]|| === [[정치철학]] === ||<#EEEEEE><:> '''저자''' ||<#EEEEEE><:> '''연도''' ||<#EEEEEE><:> '''제목''' ||<#EEEEEE><:> '''피인용수''' || ||[[한나 아렌트]]||1951||[[https://ko.wikipedia.org/wiki/%EC%A0%84%EC%B2%B4%EC%A3%BC%EC%9D%98%EC%9D%98_%EA%B8%B0%EC%9B%90|전체주의의 기원]](The Origins of Totalitarianism)||'''24,000'''[* 영어+독일어+프랑스어+에스파냐어+포르투갈어]|| ||[[존 롤스]]||1971||[[https://ko.wikipedia.org/wiki/%EC%A0%95%EC%9D%98%EB%A1%A0|정의론]](A theory of justice)||'''92,000'''[* 영어+독일어+프랑스어+에스파냐어]|| ||[[로버트 노직]]||1974||[[https://ko.wikipedia.org/wiki/%EB%AC%B4%EC%A0%95%EB%B6%80,_%EA%B5%AD%EA%B0%80,_%EA%B7%B8%EB%A6%AC%EA%B3%A0_%EC%9C%A0%ED%86%A0%ED%94%BC%EC%95%84|무정부, 국가 그리고 유토피아]](Anarchy, state, and utopia)||'''20,000'''|| ||[[로널드 드워킨]]||1977||법과 권리(Taking Rights Seriously)||'''18,000'''|| ||[[마이클 왈저]]||1983||정의의 영역들(Spheres of Justice)||'''26,000'''|| ||[[위르겐 하버마스]]||1992||[[https://ko.wikipedia.org/wiki/%EC%82%AC%EC%8B%A4%EC%84%B1%EA%B3%BC_%ED%83%80%EB%8B%B9%EC%84%B1|사실성과 타당성]](Faktizität und Geltung)||'''30,000'''[* 독일어+영어+에스파냐어+포르투갈어]|| ||[[존 롤스]]||1993||[[https://ko.wikipedia.org/wiki/%EC%A0%95%EC%B9%98%EC%A0%81_%EC%9E%90%EC%9C%A0%EC%A3%BC%EC%9D%98|정치적 자유주의]](Political Liberalism)||'''24,000'''[* 영어+에스파냐어]|| ||[[마이클 샌델]]||1998||자유주의와 정의의 한계(Liberalism and the Limits of Justice)||'''10,000'''|| === [[국제정치학]] === ||<#EEEEEE><:> '''저자''' ||<#EEEEEE><:> '''연도''' ||<#EEEEEE><:> '''제목''' ||<#EEEEEE><:> '''피인용수''' || ||[[한스 모겐소]]||1948||[[https://ko.wikipedia.org/wiki/%EA%B5%AD%EA%B0%80_%EA%B0%84%EC%9D%98_%EC%A0%95%EC%B9%98|국가 간의 정치]](Politics among Nations)||'''15,000'''|| ||[[로버트 코헤인]], [[조지프 나이]]||1977||권력과 상호의존(Power and interdependence)||'''10,000'''|| ||[[케네스 월츠]]||1979||[[https://ko.wikipedia.org/wiki/%EA%B5%AD%EC%A0%9C%EC%A0%95%EC%B9%98%EC%9D%B4%EB%A1%A0|국제정치이론]](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19,000'''|| ||[[베네딕트 앤더슨]]||1983||상상의 공동체(Imagined Communities)||'''100,000'''[* 영어+독일어+프랑스어+이탈리아어+에스파냐어+포르투갈어]|| ||[[로버트 코헤인]]||1984||헤게모니 이후(After Hegemony)||'''12,000'''|| ||[[새뮤얼 헌팅턴]]||1993||"문명의 충돌?"(The clash of civilizations?)||'''14,000'''|| ||[[새뮤얼 헌팅턴]]||1996||문명의 충돌(The clash of civilizations and the remaking of world order)||'''23,000'''|| ||[[알렉산더 웬트]]||1999||국제 정치의 사회적 이론(Social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10,000'''|| === [[비교정치학]] === ||<#EEEEEE><:> '''저자''' ||<#EEEEEE><:> '''연도''' ||<#EEEEEE><:> '''제목''' ||<#EEEEEE><:> '''피인용수''' || ||[[모리스 뒤베르제]]||1951||정당론(Les partis politiques)||'''11,000'''[* 프랑스어+영어+독일어+에스파냐어]|| ||[[가브리엘 알몬드]], [[시드니 버바]]||1963||시민 문화(The civic culture)||'''19,000'''|| ||[[배링턴 무어]]||1966||독재와 민주주의의 사회적 기원(Social origins of dictatorship and democracy)||'''11,000'''[* 영어+독일어+프랑스어+에스파냐어+포르투갈어]|| ||[[새뮤얼 헌팅턴]]||1968||변화하는 사회에서의 사회 질서(Political order in changing societies)||'''15,000'''|| ||[[로버트 달]]||1971||다두정치(Polyarchy)||'''11,000'''|| ||[[로널드 잉글하트]]||1977||조용한 혁명(The Silent Revolution)||'''11,000'''|| ||[[아런트 레이프하트]]||1984/1999||민주주의의 유형(Patterns of democracy: Government forms and performance in thirty-six countries)||'''10,000'''|| ||[[제임스 C. 스콧]]||1985||약자의 무기(Weapons of the weak)||'''14,000'''|| ||[[로버트 퍼트넘]]||1988||"외교와 국내 정치"(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10,000'''|| ||[[로버트 달]]||1989||민주주의와 그 비판자들(Democracy and its Critics)||'''10,000'''|| ||[[제임스 C. 스콧]]||1990||지배와 저항의 예술(Domination and the arts of resistance)||'''12,000'''|| ||[[로널드 잉글하트]]||1990||선진 산업 사회에서 문화적 변화(Culture shift in advanced industrial society)||'''10,000'''|| ||[[새뮤얼 헌팅턴]]||1991||제3의 물결(The third wave)||'''14,000'''|| ||[[로버트 퍼트넘]]||1993||사회적 자본과 민주주의(Making democracy work)||'''44,000'''|| ||[[후안 린츠]], [[앨프리드 스테판]]||1996||민주주의 이행과 통합의 문제들(Problems of democratic transition and consolidation: Southern Europe, South America, and post-communist Europe)||'''19,000'''|| ||[[제임스 C. 스콧]]||1998||국가처럼 보기(Seeing like a State)||'''17,000'''|| ||[[로버트 퍼트넘]]||2000||나 홀로 볼링(Bowling alone)||'''50,000'''|| == [[법학]] == ||<#EEEEEE><:> '''저자''' ||<#EEEEEE><:> '''연도''' ||<#EEEEEE><:> '''제목''' ||<#EEEEEE><:> '''피인용수''' || ||[[카를 슈미트]]||1922||정치 신학(Politische Theologie: Vier Kapitel zur Lehre von der Souveränität)||'''10,000'''[* 독일어+영어+프랑스어+포르투갈어]|| ||[[카를 슈미트]]||1932||정치적인 것의 개념(Der Begriff des Politischen)||'''12,000'''[* 독일어+영어+에스파냐어]|| ||[[한스 켈젠]]||1934||순수 법학(Reine Rechtslehre: Mit einem Anhang: Das Problem der Gerechtigkeit)||'''16,000'''[* 독일어+영어+에스파냐어+포르투갈어]|| ||[[로널드 드워킨]]||1977||법과 권리(Taking Rights Seriously)||'''18,000'''|| ||[[위르겐 하버마스]]||1992||사실성과 타당성(Faktizität und Geltung)||'''30,000'''[* 독일어+영어+에스파냐어+포르투갈어]|| == [[경제학]] == ||<#EEEEEE><:> '''저자''' ||<#EEEEEE><:> '''연도''' ||<#EEEEEE><:> '''제목''' ||<#EEEEEE><:> '''피인용수''' || ||[[애덤 스미스]]||1776||[[국부론]](An inquiry into the nature and causes of the wealth of nations)||'''50,000'''|| ||[[토마스 맬서스]]||1798||[[인구론]](An essay on the principle of population)||'''15,000'''|| ||[[데이비드 리카도]]||1817||정치경제학 및 과세의 원리(Principles of political economy and taxation)||'''11,000'''|| ||[[존 스튜어트 밀]]||1848||정치경제학 원리(Principles of political economy)||'''10,000'''|| ||[[알프레드 마샬]]||1890||경제학 원리(Principles of Economics)||'''34,000'''|| ||[[존 메이너드 케인스]]||1921||확률론(A treatise on probability)||'''10,000'''|| ||[[로널드 코즈]]||1933||"기업의 본질"(The nature of the firm)||'''43,000'''|| ||[[조지프 슘페터]]||1934||경제 발전의 이론(Theorie der wirtschaftlichen Entwicklung)||'''20,000'''[* 독일어+영어+포르투갈어]|| ||[[존 메이너드 케인스]]||1936||[[https://ko.wikipedia.org/wiki/%EA%B3%A0%EC%9A%A9,_%EC%9D%B4%EC%9E%90_%EB%B0%8F_%ED%99%94%ED%8F%90%EC%9D%98_%EC%9D%BC%EB%B0%98_%EC%9D%B4%EB%A1%A0|고용, 이자, 화폐에 관한 일반이론]](An inquiry into the nature and causes of the wealth of nations)||'''37,000'''|| ||[[조지프 슘페터]]||1939||경기 순환(Business Cycles)||'''11,000'''|| ||[[조지프 슘페터]]||1942||[[https://ko.wikipedia.org/wiki/%EC%9E%90%EB%B3%B8%EC%A3%BC%EC%9D%98,_%EC%82%AC%ED%9A%8C%EC%A3%BC%EC%9D%98,_%EB%AF%BC%EC%A3%BC%EC%A3%BC%EC%9D%98|자본주의, 사회주의, 민주주의]](Capitalism, Socialism, Democracy)||'''55,000'''[* 영어+독일어+프랑스어+에스파냐어]|| ||[[존 폰 노이만]], [[오스카 모르겐슈테른]]||1944||게임 이론과 경제 행위(Theory of games and economic behavior)||'''34,000'''|| ||[[칼 폴라니]]||1944||[[https://ko.wikipedia.org/wiki/%EA%B1%B0%EB%8C%80%ED%95%9C_%EC%A0%84%ED%99%98|거대한 전환]](The Great Transformation)||'''30,000'''|| ||[[프리드리히 하이에크]]||1944||[[https://ko.wikipedia.org/wiki/%EB%85%B8%EC%98%88%EC%9D%98_%EA%B8%B8|노예의 길]](The Road to Serfdom)||'''13,000'''|| ||[[프리드리히 하이에크]]||1945||"사회에서의 지식의 활용"(The Use of Knowledge in Society)||'''16,000'''|| ||[[루트비히 폰 미제스]]||1949||인간 행동(Human Action: A Treatise on Economics)||'''10,000'''|| ||[[케네스 애로우]]||1951||[[https://ko.wikipedia.org/wiki/%EC%82%AC%ED%9A%8C%EC%A0%81_%EC%84%A0%ED%83%9D%EA%B3%BC_%EA%B0%9C%EC%9D%B8%EC%9D%98_%EA%B0%80%EC%B9%98|사회적 선택과 개인의 가치]](Social choice and individual values)||'''19,000'''|| ||[[조지프 슘페터]]||1954||경제 분석의 역사(History of economic analysis)||'''10,000'''|| ||[[사이먼 쿠즈네츠]]||1955||"경제 성장과 수입 불평등"(Economic growth and income inequality)||'''13,000'''|| ||[[로버트 솔로우]]||1956||"경제성장론에의 기여"(A contribution to the theory of economic growth)||'''26,000'''|| ||[[로버트 솔로우]]||1957||"기술 변화와 총생산함수"(Technical change and the aggregate production function)||'''15,000'''|| ||[[프랑코 모딜리아니]], [[머턴 H. 밀러]]||1958||"자본 비용, 금융 공사와 투자 이론"(The cost of capital, corporation finance and the theory of investment)||'''23,000'''|| ||[[월트 휘트먼 로스토우]]||1960||"경제 성장의 단계들"(The stages of economic growth: A non-communist manifesto)||'''14,000'''|| ||[[프리드리히 하이에크]]||1960||자유헌정론(The Constitution of Liberty)||'''13,000'''|| ||[[로널드 코즈]]||1960||"사회적 비용의 문제"(The problem of social cost)||'''33,000'''|| ||[[밀턴 프리드먼]]||1962||[[https://ko.wikipedia.org/wiki/%EC%9E%90%EB%B3%B8%EC%A3%BC%EC%9D%98%EC%99%80_%EC%9E%90%EC%9C%A0|자본주의와 자유]](Capitalism and Freedom)||'''20,000'''|| ||[[케네스 애로우]]||1962||"경험 학습의 경제적 함의"(The economic implications of learning by doing)||'''14,000'''|| ||[[케네스 애로우]]||1963||"경제적 복지와 발명을 위한 자원 배분"(Economic welfare and the allocation of resources for invention)||'''14,000'''|| ||[[밀턴 프리드먼]]||1970||"사업의 사회적 가능성이 그 이익을 늘린다"(The social responsibility of business is to increase its profits)||'''16,000'''|| ||[[에른스트 슈마허]]||1973||작은 것이 아름답다(Small is beautiful)||'''12,000'''|| ||[[피셔 블랙]],[[마이런 숄즈]]||1973||[[블랙-숄즈 모형|옵션과 회사채무의 평가(The pricing of options and corporate liabilitiesl)]]||'''38,000'''|| ||[[올리버 윌리엄슨]]||1975||시장과 계층(Markets and Hierarchies)||'''40,000'''|| ||[[조지프 스티글리츠]], [[애비너시 딕시트]]||1977||"독점 경쟁과 최적 생산 다양성"(Monololistic competition and optimum product diversity)||'''11,000'''|| ||[[올리버 윌리엄슨]]||1979||"거래 비용 경제학: 계약 관계의 지배"(Transaction-Cost Economics: The governance of contractional relations)||'''12,000'''|| ||[[조지프 스티글리츠]], [[앤드류 웨이스]]||1981||"불완전 정보 시장에서의 선별 금융"(Credit rationing in market with imperfect information)||'''18,000'''|| ||[[더글러스 노스]]||1981||경제사에서 구조와 변화(Structure and Change in Economic History)||'''11,000'''|| ||[[아마르티야 센]]||1982||가난과 기근(Poverty and Famine)||'''12,000'''|| ||[[로버트 루카스 주니어]]||1988||경제 발전의 역학(On the mechanics of economic development)||'''31,000'''|| ||[[더글러스 노스]]||1990||제도, 제도 변화와 경제적 성과(Institutions, institutional change and economic performance)||'''68,000'''|| ||[[엘리너 오스트롬]]||1990||[[공유지의 비극|공유의 비극을 넘어 : 공유자원 관리를 위한 제도의 진화(Governing the commons: The evolution of institutions for collective action)]]||'''37,000'''|| ||[[폴 로머]]||1990||[[내생성장이론|내생적 기술변화(Endogenous technological change)]]||'''29,000'''|| ||[[폴 크루그먼]]||1991||지리와 무역(Geography abd Trade)||'''14,000'''|| ||[[폴 크루그먼]]||1991||"수확 체증과 경제 지리"(Increasing returns and economic geography)||'''14,000'''|| ||[[아마르티야 센]]||1992||불평등의 재검토(Inequality reexamined)||'''11,000'''|| ||[[아마르티야 센]]||1999||자유로서의 발전(Development as freedom)||'''35,000'''|| ||[[폴 크루그먼]], [[후지타 마사히사]], [[앤서니 베너블스]]||2001||공간 경제학(The Spatial Economics)||'''12,000'''|| ||[[대런 애스모글루]], [[사이먼 존슨]], [[제임스 A. 로빈슨]]||2001||"비교 발전의 식민지적 기원"(The colonial origins of comparative development)||'''12,000'''|| ||[[조지프 스티글리츠]]||2002||세계화와 그 불만(Globalization and its discontents)||'''16,000'''|| ||[[리처드 탈러]],[[캐스 선스타인]]||2008||[[넛지|넛지 : 똑똑한 선택을 이끄는 힘(Nudge: Improving decisions about health, wealth, and happiness)]]||'''14,000'''|| ||[[대런 애스모글루]], [[제임스 A. 로빈슨]]||2012||[[https://ko.wikipedia.org/wiki/%EA%B5%AD%EA%B0%80%EB%8A%94_%EC%99%9C_%EC%8B%A4%ED%8C%A8%ED%95%98%EB%8A%94%EA%B0%80|국가는 왜 실패하는가]](Why Nations Fail)||'''12,000'''|| ||[[토마 피케티]]||2013||[[21세기 자본|21세기 자본(About capital in the twenty-first century)]]||'''12,000'''|| == [[자연과학]] == ||<#EEEEEE><:> '''저자''' ||<#EEEEEE><:> '''연도''' ||<#EEEEEE><:> '''제목''' ||<#EEEEEE><:> '''피인용수''' || || 올리버 로리 외 || 1951 || PROTEIN MEASUREMENT WITH THE FOLIN PHENOL REAGENT || '''224,000''' [* '''세계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논문이다.'''] || || Novoselov 외 || 2004 || Electric Field Effect in [[그래핀|Atomically Thin Carbon Films]] || '''69,000''' || || J. Maldacena || 1999 || The Large N Limit of Superconformal Field Theories and Supergravity || '''23,000''' || || H. M. Rietveld || 1969 || A profile refinement method for nuclear and magnetic structures[* 분말 X선 회절실험 결과를 구조분석에 사용하는 방법론이다.] || '''20,000''' || || S. G. Samko 외 || 1993 || [[분수계 미적분학|Fractional integrals and derivatives: Theory and Applications]] || '''14,000''' || || M. V. Berry[* 2000년도에 개구리 공중부양 실험으로 [[이그노벨상]]을 공동수상했다.] || 1984 || [[베리 위상|Quantal Phase]] Factors Accompanying Adiabatic Changes || '''11,000''' || || J. B. Pendry 외 || 1999 || Magnetism from conductors and enhanced nonlinear phenomena[* [[메타물질]]을 구현하는 방법론을 처음으로 제시하였음.] || '''11,000''' || || D. R. Smith 외 || 2000 || [[메타물질|Composite Medium]] with Simultaneously Negative Permeability and Permittivity[* 메타물질이라는 용어를 최초로 사용.] || '''11,000''' || == [[공학]] == ||<#EEEEEE><:> '''저자''' ||<#EEEEEE><:> '''연도''' ||<#EEEEEE><:> '''제목''' ||<#EEEEEE><:> '''피인용수''' || || He, K. 외 || 2016 || Deep Residual Learning for Image Recognition || '''158,000''' || || Krizhevsky, Sustkever, Hinton || 2012 || Imagenet classification with deep convolutional [[인공신경망|neural networks]] || '''129,000''' || || [[클로드 섀넌]] || 1948 || [[엔트로피|통신의 수학적 이론(A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 '''96,000''' || || D. G. Lowe || 2004 || Distinctive image features from scale-invariant keypoints || '''69,000''' || || Vaswani, A. 외 || 2017 || [[Attention Is All You Need]] || '''69,000''' || || Y. LeCun 외 || 2015 || [[딥 러닝|Deep learning]] || '''38,000''' || || Donoho, D. L. || 2006 || Compressed sensing || '''33,100''' || || Candès, E. J., [[테렌스 타오]] 외 || 2006 || Robust Uncertainty Principles: Exact Signal Reconstruction From Highly Incomplete Frequency Information || '''18,000''' || || Moore, G. E. || 1965 || [[무어의 법칙|Cramming more components]] onto integrated circuits || '''16,000''' || || David Silver 외 || 2016 || Mastering the game of Go with [[알파고|deep neural networks and tree search]] || '''15,000''' || || Volodymyr Mnih 외 || 2013 || Playing Atari with [[강화학습|Deep Reinforcement Learning]] || '''11,000''' || || Rice, J. R. || 1968 || [[J-integral|A path independent integral]] and the approximate analysis of strain concentration by notches and cracks || '''10,000''' || == 그외 == ||<#EEEEEE><:> '''저자''' ||<#EEEEEE><:> '''연도''' ||<#EEEEEE><:> '''제목''' ||<#EEEEEE><:> '''피인용수''' || ||Baron & Kenny||1986||The [[변인|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55,000'''|| ||[[앨버트 반두라|Bandura]]||1986||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53,000'''|| ||[[앨버트 반두라|Bandura]]||1977||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42,000'''|| ||Hofstede||1980||[[조직문화|Culture's consequences: International differences in work-related values]]||'''42,000'''|| ||Ajzen & Fishbein||1977||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41,000'''|| ||[[대니얼 카너먼|Kahneman]] & Tversky||1979||[[전망이론|Prospect theory: An analysis of decision under risk]]||'''38,000'''|| ||Maslow||1970||Motivation and personality||'''36,000'''|| ||Tversky & [[대니얼 카너먼|Kahneman]]||1974||Judgment under uncertainty: [[휴리스틱|Heuristics]] and [[편향|biases]]||'''35,000'''|| ||Axelrod||2006||[[팃포탯|The evolution of cooperation]]||'''33,000'''|| ||[[찰스 다윈|Darwin]]||1859||[[종의 기원|The origin of species by means of natural selection]]||'''30,000'''|| ||Festinger||1962||A theory of [[인지부조화|cognitive dissonance]]||'''30,000'''|| ||Hofstede||1991||[[조직문화|Cultures and organizations]]: Software of the mind||'''30,000'''|| ||Hardin||1968||[[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28,000'''|| ||Diener||2000||Subjective [[웰빙|well-being]]: The science of happiness and a proposal for a national index||'''26,000'''|| ||Canny||1986||A computational approach to edge detection||'''25,000'''|| ||Miller||1956||[[정보처리이론|The magical number seven, plus or minus two: Some limits on our capacity for processing information]][* 작업기억에 있어 마법의 수 7±2를 의미한다. 한국어 위키백과에는 심리학 분야의 최대 피인용수를 기록한다고 설명되어 있긴 하지만, 당장 저 위의 조망 이론이나 사회적 인지 이론만 봐도...]||'''23,000'''|| ||Simon||1957||Administrative behavior||'''23,000'''|| ||[[리처드 도킨스|Dawkins]]||1976||[[이기적 유전자|The selfish gene]]||'''21,000'''|| ||Simon||1981||The science of the [[인공지능|artificial]]||'''20,000'''|| ||Lander [[et al.]][* [[저자권]]을 갖는 모든 연구자들을 전부 적으려다간 표에 공간이 부족하다.(...) 농담이 아니고 정말이다. 현대의 첨단과학 연구가 연구자들 사이에서 어떤 식으로 진행되는지 보여주는 사례다.]||2001||[[인간게놈프로젝트|Initial sequencing and analysis of the human genome]]||'''20,000'''|| ||MacArthur & [[에드워드 윌슨|Wilson]]||1967||The Theory of Island Biogeography||'''16,000'''|| ||[[지그문트 프로이트|Freud]]||1900||[[꿈의 해석|The interpretation of dreams]]||'''15,000'''|| ||Maslow||1943||[[욕구계층이론|A theory of human motivation]]||'''15,000'''|| ||[[존 내시|Nash]]||1951||[[게임 이론|Non-cooperative games]]||'''11,000'''|| 보다보면 과연 그럴 만하다 싶은 책과 논문들이 많이 올라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대체로 철학적이든 [[연구방법론]]적이든 간에 핵심적인 뭔가를 건드리거나, 다양한 학제 간에 그 시사점과 응용 가능성이 극도로 높은 등의 이유로 인해 '''수많은 인접분야들의 [[기초연구]], [[응용연구]]에 도움이 되고 심지어 정부 [[정책]]의 입안에도 의미가 있는''' 것들이다. 즉 이들 문헌들을 쓴 저자들은 자기 분야 학자들뿐만 아니라 다른 분야 학자들에게까지 지적 영감을 주고 있다는 얘기다. 게다가 위 리스트에서 단행본의 경우 유명 대학교 추천도서 등에서 단골로 오르면서 많은 교양인들에게까지 읽히고 있는 중이다. [[분류:연구방법론]]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피인용수, version=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