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피지)] ||
<-7><:> [[파일:피지 국기.svg|width=20]]''' {{{#000 피지 외교 관련 틀}}}''' [[파일:피지 국장.svg|width=20]]|| ||<-7><:><#fff,#1f202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멜라네시아의 외교)] [include(틀:피지의 대외관계)] [include(틀:피지 관련 문서)] ---- }}} || [목차] == 개요 == [[피지]]의 외교에 관한 문서. 피지는 영국의 지배를 받다가 독립했다. 그리고 [[영연방]] 회원국에 속해 있다. 하지만 호주, 뉴질랜드와는 갈등이 존재하며 2010년대부터 [[중국]], [[러시아]]와의 협력을 늘리고 있다. 2022년 5월 27일에 남태평양 도서국으로서는 처음으로 [[IPEF]]에 가입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214567?sid=104|#]] == [[아시아]] ==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크기=40)] [[대한민국]]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한국-피지 관계)] === [include(틀:국기, 국명=북한, 출력=, 크기=40)] [[북한]]과의 관계 === [[북한]]과는 1975년 수교하였다. 하지만 1987년 [[북한]]의 지령을 받은 김현희의 [[대한항공]]기 공중 테러사건 때 테러를 규탄하는 의사에서 1988년 단교하였다. 2002년에 재수교했다.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크기=40)] [[일본]]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일본-피지 관계)] 피지는 영국의 지배에서 벗어난 뒤에 수교했다. 일본과는 교류가 활발한 편이며 영향력이 강하다. 2022년 5월 8일에 하야시 외무상이 팔라우를 방문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163831?sid=104|#]]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출력=, 크기=40)] [[중국]]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중국-피지 관계)] 새로운 정권이 새로운 외교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2017년 11월 바이니마라마 총리 정권은, 영국과 호주의 간섭에서 벗어나고 싶어하며 실제로 [[중국]]과 손을 잡고 있다. 많은 중국인들이 인력과 경제력으로 피지에 병원도 짓고(nabua hospital, 2017년 거의 완공하고 환자를 받기 시작), 수도 수바 버스터미널 옆에 바다 위에 있는 다리를 건설하고 있다. 중국인들로서는 피지 시민권을 얻으면 자식을 마음대로 낳을 수 있고(중국에선 1가정 1자녀 정책) 조금 더 느긋한 삶을 즐길 수 있다. 거기에다 중국은 피지에도 인프라 건설, 투자확대 등을 통해서 외교적인 영향력을 강화하고 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421&aid=0003434827|#]] 2020년 10월에 중국대사관 소속 외교관이 피지 주재 타이베이상무대표처 관계자를 폭행하여 병원 치료를 받았다는 뉴스가 보도되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1954864?sid=104|#]] === [include(틀:국기, 국명=인도, 출력=, 크기=40)] [[인도]]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인도-피지 관계)] == [[유럽]] == ===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출력=, 크기=40)] [[영국]]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영국-피지 관계)] ===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출력=, 크기=40)] [[러시아]]와의 관계 === 러시아와는 교류, 협력을 하고 있다. 피지는 [[친러]]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양국은 태평양경제협의회의 회원국들이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03972441|#]] 2001년 3월 23일에 러시아측은 미르호가 피지 인근 해상에서 추락했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0061727|#]] 러시아는 2016년에 피지에 1,900만 달러 상당의 무기를 판매하면서 영향력을 강화하고 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8686443|#]] 그리고 피지를 포함한 태평양 국가들과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있다.[[https://www.asiatoday.co.kr/view.php?key=20181031010018513|#]]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일어나자 피지는 러시아를 견제하고 있다. 2022년 4월 14일에 피지 경찰이 러시아 [[올리가르히]]가 소유한 것으로 추정되는 호화 요트를 압류해 조사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13114574|#]] == [[아메리카]] ==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크기=40)] [[미국]]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미국-피지 관계)] == [[오세아니아]] == === [include(틀:국기, 국명=호주, 출력=, 크기=40)] [[호주]]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호주-피지 관계)] 피지와 호주는 영국의 지배에서 벗어나 공식수교했다. 양국은 [[영연방]]회원국이지만, 경제적으로 호주가 잘 살기 때문에 피지에 대해 경제적인 간섭을 하면서 피지는 호주에 대해 반감이 있다. 그러다보니 중국과의 관계를 강화하면서 호주를 견제하고 있다. === [include(틀:국기, 국명=뉴질랜드, 출력=, 크기=40)] [[뉴질랜드]]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뉴질랜드-피지 관계)] [[뉴질랜드]]는 사이클론 원조는 물론이고 1천540만 달러를 피지에 지원했고, 뉴질랜드 관광객들이 피지를 찾는 등 많은 도움을 주고 있지만, 최근 갈등이 벌어지고 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01&aid=0008686443|#]] 그리고 뉴질랜드와는 달리 [[친중]], [[친러]]성향을 더 많이 보이고 있다. === [include(틀:국기, 국명=통가, 출력=, 크기=40)] [[통가]]와의 관계 === [[통가]]와는 [[영연방]]에 가입되어 있지만, 미네르바 환초를 두고 영토갈등을 벌이고 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469&aid=0000450597|#]] == 지역별 관계 == * [[한국-피지 관계]] * [[일본-피지 관계]] * [[중국-피지 관계]] * [[인도-피지 관계]] * [[영국-피지 관계]] * [[미국-피지 관계]] * [[호주-피지 관계]] * [[뉴질랜드-피지 관계]] == 관련 문서 == * [[영연방]] * [[태평양 공동체]] * [[IPEF]] * [[대국관계일람/오세아니아 국가]]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피지, version=470, paragraph=9)] [[분류:피지의 외교]][[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