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탬파베이 레이스/로스터)] ---- ||
'''{{{#fff 피트 페어뱅크스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FFF [[텍사스 레인저스|{{{#FFFFFF 텍사스 레인저스}}}]] 등번호 46번}}}''' || || 진머 고메즈[br](2019) || {{{+1 →}}} || '''{{{#FFFFFF 피트 페어뱅크스[br](2019)}}}''' || {{{+1 →}}} || [[테일러 게리에리]][br](2019) || ||<-5> '''{{{#ffffff [[탬파베이 레이스|{{{#ffffff 탬파베이 레이스}}}]] 등번호 44번}}}''' || || [[헌터 우드]][br](2019) || {{{+1 →}}} || '''피트 페어뱅크스[br](2019)''' || {{{+1 →}}} || [[케반 스미스]][br](2020~2021) || ||<-5> '''{{{#ffffff [[탬파베이 레이스|{{{#ffffff 탬파베이 레이스}}}]] 등번호 29번}}}''' || || [[토미 팸]][br](2018~2019) || {{{+1 →}}} || '''피트 페어뱅크스[br](2020~)''' || {{{+1 →}}} || [[현역#s-2]]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20B3E4D-DEBC-4A7D-8F45-A795BC2C9AF8.jpg|width=100%]]}}} || ||<-2> '''탬파베이 레이스 No.29''' || ||<-2> '''{{{#092c5c {{{+2 피트 페어뱅크스}}}[br] Pete Fairbanks}}}''' || || '''본명''' ||피터 앤더슨 페어뱅크스[* 실제 발음에서는 n과 s 사이 k가 묵음이 되므로 '페어뱅스'가 된다. 다만 표기법은 이를 반영하지 않는다.][br]Peter Anderson Fairbanks || ||<|2> '''출생''' ||[[1993년]] [[12월 16일]] ([age(1993-12-16)]세) || ||[[위스콘신|위스콘신 주]] [[밀워키]]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학력''' ||[[미주리 대학교]] || || '''신체''' ||198cm, 102kg || || '''포지션''' ||[[중간계투]][* [[마무리 투수]]나 프라이머리 [[셋업맨]]으로 활약한다.]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2015 MLB 신인드래프트|2015년 드래프트]] 9라운드 (전체 258번, [[텍사스 레인저스|TEX]]) || || '''소속팀''' ||[[텍사스 레인저스]] (2019) [br]'''[[탬파베이 레이스]] (2019~)''' || || '''계약''' ||2023 - 2025 / $12,000,000[*option $7M~11M for 2026 with a $1M buyout] || || '''연봉''' ||2024 / $3,666,667 || || '''SNS''' ||[[https://www.instagram.com/pete_af/|[[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탬파베이 레이스]] 소속 우완 투수. == 선수 경력 == === [[텍사스 레인저스]] === 웹스터그로브스 고등학교 시절 [[토미 존 수술]]을 받은 후 [[미주리 대학교]]로 진학했으며, 이후 2015년 9라운드 전체 258번으로 [[텍사스 레인저스]]에 지명되었다. 대학 시절 성적이 그렇게 뛰어난 것도 아니고 토미 존 서저리 이력도 있었지만, 이 때부터 이미 구속만큼은 빨랐고 프로필에서 보이듯 신체조건이 우월해 텍사스에서 로또픽 느낌으로 긁어보았다. 지명 후 싱글A까지는 선발로 기용되었으나 2017년 하이싱글A 승격과 함께 불펜으로 자리잡았다. 그러나 팔꿈치 통증이 재발해 다시 한 번 [[토미 존 서저리]]를 받으며 두 번째로 팔꿈치에 칼을 댔고, 2018년까지 재활에 매진했다. 그렇게 긴 재활을 마치고 2019년 복귀해 하이싱글A와 더블A에서 연달아 위력적인 피칭을 보이며 순식간에 트리플A 승격에 성공했고, 6월 8일, [[조 팔룸보]]와 닉 가드와인이 [[DFA]]된 자리에 콜업되면서 처음 메이저 무대를 밟았다. 이후 올스타 브레이크까지 주로 패전조로 출전했고, 이 기간동안 8경기에서 8⅔이닝 ERA 9.35 15K 7BB 4피홈런을 기록했다. === [[탬파베이 레이스]] === 2019년 7월 13일, [[탬파베이 레이스]]로 트레이드되었다. 상대는 내야 유망주 [[닉 솔락]]. 솔락이 팜 좋은 탬파 팀내 유망주 랭킹에서 12위에 랭크되어있고 레이스 팬들도 나름 기대를 걸었던데 비해 페어뱅크스는 솔락보다 나이도 많고 2019 시즌 메이저에서의 활약도 영 아니었으며 탬파베이 이적 후 유망주 랭킹에서도 24위로 다소 처지기 때문에 손해보는것 아니냐는 평도 나왔다. 다만 탬파베이는 유망주가 워낙 넘쳐나는 팀이기에 중복 자원 유망주를 댓가로 더 낮은 랭크지만 팀에 필요한 포지션에 있거나 랭크는 낮아도 툴은 괜찮아서 발전의 여지가 있는 유망주를 받아오는 트레이드를 자주 하는 편이며, 특히 솔락의 경우 주 포지션인 2루에 메이저에는 [[조이 웬들]], [[브랜든 라우]]가 있고 마이너에도 팀에서도 중상위권 이상으로 평가받는 유망주인 [[비달 브루한]]이나 [[테일러 월스]]가 있어서 자리가 없었기에 트레이드한 것이다.[* 이는 2019 시즌 종료 후 탬파베이가 [[토미 팸]]을 트레이드하면서 [[제이크 크로넨워스]]를 같이 보낸 것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크로넨워스 역시 트리플A에서 준수한 성적을 내고 메이저 콜업 가능성도 거론되었지만, 탬파베이에는 자리가 없었기에 트레이드 카드로 쓰인 것.] ==== 2019 시즌 ==== 탬파베이로 이적 후 13경기에 나와 12⅓이닝 ERA 5.11 13K 3BB 1피홈런을 기록했다. 텍사스 시절보다 꽤 좋아진 모습을 보여줬으나 아직은 불안하다는 평가. ==== 2020 시즌 ==== 포텐이 터지며 27경기 26⅔이닝 6승 3패 ERA 2.70 39K 14BB 2피홈런을 기록했고, [[디에고 카스티요]], [[닉 앤더슨]]과 함께 필승조를 구축했다. ==== 2021 시즌 ==== 시즌 초반에 회전근개 염좌로 한 달 가까이 이탈했다가, 복귀 이후 필승조로 여전히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거의 0점대 ERA에 가까울 정도로 호투중이었으나, 6월 16일과 17일 이틀 연속으로 끝내기를 허용하는 등 6월 중순 이후 급격히 흔들리면서 ERA가 3점대까지 올라갔다. 다행히도 7월 들어서는 다시 안정감을 찾고 필승조 역할을 적절히 수행하는 중. 7월 28일 [[뉴욕 양키스]]전에서 투구 도중에 어깨 통증으로 호소하며 두 타자만 상대하고 강판되었고, 결국 다음날 IL에 등재되었다. 이후 약 한달간의 재활 과정을 거친 후 8월 27일 로스터에 복귀했다. 팀 불펜진에 큰 도움이 되리라 예상했으나, 9월 들어 피안타율이 .381에 이를 정도로 먼지나게 얻어맞으며 점점 2019년으로 회귀중이다. 다행히 9월 하순 들어서는 어느 정도 페이스를 되찾았지만, 하이 레버리지 상황에서는 잘 기용되지 않고 있다. ==== 2022 시즌 ==== 개막 직전인 3월 27일 시범경기에서 투구 도중 왼쪽 옆구리 통증으로 도중에 강판됐고 공을 잡지 못하는 순수 회복 기간만 6주라는 진단을 받았다. 재활 및 리햅 등판 등을 감안하면 7월 즉, 길면 전반기까진 결장이 불가피한 상황. 이후 재활을 거쳐 올스타전 직전인 7월 17일에 복귀했다. 복귀 후 24경기 24이닝 8세이브 ERA 1.13으로 호투했다. 특히나 '''38K 3BB'''라는 볼삼비로 올해 페어뱅크스의 구위가 절정에 달했음을 보여줬다. [[앤드루 키트릿지]]의 부상으로 레이스가 집단 마무리 체제를 굴리는 와중에도 불펜진이 단단하게 버틸 수 있는 원동력을 제공했다. ==== 2023 시즌 ==== 개막을 두어 달 앞둔 1월 27일, 3년 $12M 규모의 연장계약을 체결했다. 1년 $7M~11M의 연장 옵션이 존재한다. 정규시즌 들어 쾌조의 페이스를 보이며 ERA 0을 유지, [[마무리 투수]] 자리를 꿰차고 있었으나, 4월 28일 [[시카고 화이트삭스]] 원정 경기에서 부상으로 중도에 교체되었다. 당초 작년에도 어느 정도 증세를 보였던 [[레이노 증후군]] 증세인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이후 검진 결과 별도의 부상임이 알려지면서 15일 IL에 이름을 올리게 되었다. 다행히도 증상이 심하지 않아 15일 채우고 바로 복귀했다. 페어뱅크스가 빠진 사이 레이스 불펜진이 명성에 걸맞지 않게 [[뉴욕 양키스]] 원정에서 탈탈 털리며 불안감을 보여준 상황이라[* 기존 필승조들이 죄다 이탈한 이후로는 뎁스가 많이 얇아졌다. [[콜린 포셰]]는 성적은 좋지만 WHIP가 높고 하이 레버리지 상황에서는 아직 불안하며, 이를 보조해줄 [[제일런 빅스]]는 제구가 안되고 [[개럿 클레빈저]]도 필승조 상황에서 불안감을 보이더니 십자인대 파열로 나가리됐다. 우완은 더 심각해서 [[라이언 톰슨]]이 부진한 가운데 [[케빈 켈리]]도 갑작스레 준 필승조 역할을 수행하다 보니 성적이 영 좋지 않다. 결국 불펜에 믿을 사람이 [[제이슨 애덤]] 한 명인데 그 애덤 마저도 지난 시즌의 압도적인 포스에 비하면 조금 불안하다.] 페어뱅크스의 복귀가 그 어느 때보다도 반가운 상황. == 피칭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EahWgkbk5M)]}}}|| 백스윙이 짧은 특유의 투구폼[* 이 투구폼은 [[조요한]]과의 유사점을 보인다. 공교롭게도 조요한 역시 큰 체구에서 나오는 뛰어난 패스트볼의 구위로 타자들을 윽박지르는 유형의 불펜 투수이다.]에서 뿜어져나오는 포심 패스트볼은 2022 시즌 기준 평균 구속 99mph[* 약 159km/h], 최고 구속 '''100.8mph'''[* 약 161km/h]에 달하는 위력적인 구종이다. 다만 압도적인 구속이나 준수한 회전수에 비하면 무브먼트 자체는 평균정도에 속하며, 이 때문에 페어뱅크스에게는 패스트볼 못지않게, 혹은 그 이상으로 세컨 피치인 슬라이더가 중요하다. 거의 파워커브 수준으로 종무브먼트가 강한 페어뱅크스의 슬라이더는 평속 87~88mph로 패스트볼과 상당한 구속차를 보이면서 강력한 종 무브먼트를 보여주므로 긁히는 날에는 하이패스트볼+종슬라이더 조합으로 상대 타자를 쉽게 공략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다만 이런 스타일의 파워피처 대다수가 그렇듯 제구력이 그닥 좋지 않다. 텍사스 시절에는 이 때문에 볼질로 불리한 카운트에 몰리다가 가운데로 강속구 꽂았더니 그걸 노리고 있던 타자에게 얻어맞는 그림이 자주 나오기도 했다. 그리고 패스트볼 무브먼트가 A급이라기엔 다소 모자라서 로케이션이 어긋나면 안타나 뜬금포를 간간이 얻어맞곤 한다. 보직은 다르지만 [[타일러 글래스노우]]와 유사한 타입.[* 이쪽은 심지어 보직이 선발이라서 2020년에 페이스가 좋지 않을 때는 패스트볼-하드커브 투피치로 한계가 오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빈번했다. 다행히도 2021년에 체인지업 장착에 성공하며 완벽히 살아났으나, 이번엔 팔꿈치 부상에 발목을 잡혔다.] 그래도 탬파베이 이적 후 커맨드가 개선되며 하이패스트볼이 좀 더 날카롭게 잘 들어가 성적이 꽤 향상되었다. == 연도별 성적 == ||<-18>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피트 페어뱅크스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2019 || [[텍사스 레인저스|TEX]]/[[탬파베이 레이스|TB]] || 21 || 2 || 3 || 2 || 3 || 21 || 6.86 || 25 || 5 || 10 || 0 || 28 || 1.667 || 71 || 0.0 || -0.7 || || 2020 ||<|4> [[탬파베이 레이스|TB]] || 27 || 6 || 3 || 0 || 7 || 26⅔ || 2.70 || 23 || 2 || 14 || 2 || 39 || 1.388 || 153 || 0.6 || 0.5 || || 2021 || 47 || 3 || 6 || 5 || 14 || 42⅔ || 3.59 || 40 || 2 || 21 || 1 || 56 || 1.430 || 113 || 1.0 || 0.1 || || 2022 || 24 || 0 || 0 || 8 || 6 || 24 || 1.13 || 13 || 1 || 3 || 0 || 38 || 1.015 || 162 || 1.2 || 1.3 || || 2023 || 49 || 2 || 4 || 25 || 2 || 45⅓ || 2.58 || 26 || 3 || 20 || 4 || 68 || 0.667 || 327 || 1.3 || 1.5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5시즌) || 168 || 13 || 16 || 40 || 32 || 159⅔ || 3.21 || 127 || 13 || 68 || 7 || 229 || 1.221 || 129 || 4.1 || 2.7 || == 여담 == == 같이 보기 == * [[야구 관련 인물(MLB)]] [include(틀:탬파베이 레이스/로스터/상세)]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1993년 출생]][[분류:2019년 데뷔]][[분류:밀워키 출신 인물]][[분류:미주리 대학교 출신]][[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텍사스 레인저스/은퇴, 이적]][[분류:탬파베이 레이스/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