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지속 마법 카드.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3275_1.jpg]] || 한글판 명칭 ||||||||'''필드 베리어'''|| || 일어판 명칭 ||||||||'''フィールドバリア'''|| || 영어판 명칭 ||||||||'''Field Barrier'''|| |||||||||| 지속 마법 || ||||||||||이 카드가 필드 위에 존재하는 한, 서로 필드 마법 카드를 파괴할 수 없으며, 필드 마법 카드의 발동도 할 수 없다. "필드 베리어"는 자신 필드 위에 1장밖에 앞면 표시로 존재할 수 없다.|| 이름 그대로 필드 마법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등장한 카드다. 원작 사용자는 [[다크 시그너]]인 [[미스티 로라]]. 이걸로 자신의 필드 마법 [[세비지 콜로세움]]을 [[이자요이 아키]]의 [[블랙 로즈 드래곤]]의 파괴 효과로부터 보호한 후 [[지박신|지박신 코카라이아]]를 어드밴스 소환했다. 조금 변칙적인 방법으로는 필드 마법을 사용하는 상대를 견제하기 위해서, 상대가 필드 마법을 쓰기 전에 먼저 이걸 발동하여 필드 마법을 못 쓰게 하는 응용법도 있다. 이전에는 '필드 마법 카드를 파괴할 수 없다' 텍스트가 조금 다른 처리라서, 카드를 파괴하는 효과의 대상으로도 할 수 없었다. 이후 재정이 변경되어 지정은 할 수 있지만 파괴되지 않는 처리로 바뀌었다. 다만 바운스나 제외에는 무력하니 주의. [[빙결계의 용 브류나크]]나 [[코즈믹 싸이크론]], [[봉황날개의 폭풍]], [[사 제왕 가이우스]], [[해룡신-네오다이달로스]] 등으로 필드 마법을 바운스, 제외해버리면, 이 카드 때문에 필드 마법을 깔지 못하는 뭣같은 상황이 벌어진다. [[사신의 대재해]] 같은 카드가 발동될 경우엔 필드 마법은 남고 이 카드만 파괴된다. 필드 마법 덱에는 1장 쯤은 반드시 넣어야 하는 카드로 보일지도 모르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우선 말림의 문제도 있지만 가장 큰 문제는 이 카드의 발동에 체인으로 [[싸이크론]], [[더스트 토네이도]], [[썬더 브레이크(유희왕)|썬더 브레이크]] 등으로 필드 마법을 먼저 날려버리면 이 카드 때문에 필드 마법을 발동할 수 없는 서글픈 상황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유희왕 ARC-V]]로 넘어가면서 이루어진 룰 개정 때문에, 2014/3/21 자부터 '''2장의 필드 마법이 공존 가능하다.'''는 재정이 나왔지만 '필드 마법의 발동이 불가능하다.'는 효과 때문에 상대의 필드 마법의 발동을 막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사실상 전과 동일. 일러스트가 미묘한데, 필드 전체에 보호막이 생긴 것이 아니라 그냥 필드 마법카드 위에 자그만한 보호막이 하나 생긴 것 뿐이다. [[분류:유희왕/OCG/지속 마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