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세계의 육군)] [include(틀:필리핀 관련 문서)] ||<-2>
{{{#fff {{{+2 '''필리핀 육군'''}}}[br]Hukbong Katihan ng Pilipinas[br]Philippine Army}}} || ||<-2> [[파일:필리핀 육군 엠블럼.svg|width=200]] || || {{{#ffffff '''설립'''}}} ||1935년 || || {{{#ffffff '''현역'''}}} ||101,000명 || || {{{#ffffff '''예비군'''}}} ||100,000명 || || {{{#ffffff '''주요임무'''}}} ||필리핀 국토 방위, 지상전 || || {{{#ffffff '''현 육군 참모 총장'''}}} ||안드레스 C. 센티노 || || {{{#ffffff '''통수권자'''}}} ||[[봉봉 마르코스]] || || {{{#ffffff '''군기'''}}} || [[파일:필리핀 육군기.svg|width=200]] [[]] || || {{{#ffffff '''홈페이지'''}}} ||[[https://www.army.mil.ph/]] || || {{{#ffffff '''참전'''}}} ||[[제2차 세계 대전]] [[6.25 전쟁]] [[베트남 전쟁]] [[걸프 전쟁]] [[이라크 전쟁]] [[CPP-NPA-NDF 반란]] [[모로 분쟁]] || [목차] [clearfix] == 개요 == 필리핀 육군은 [[필리핀군]]에서 가장 오래되고 규모가 큰 조직이다. 2022년 기준으로, 지상전을 담당하는 20만여명의 병력을 보유하고 있다. 1935년 필리핀 자치령 육군으로 출발해 [[필리핀 공산당 반란]]과 [[모로 분쟁]], [[베트남 전쟁]] 등 국내외 전쟁과 반군 소탕작전에 참여해왔다. == 장비 == [include(틀:현대전/필리핀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필리핀 기갑차량)] === 기갑차량 === ||<-7>
{{{#FFFFFF '''필리핀 육군의 전차''' }}} || || {{{#ffffff '''이름''' }}} || {{{#ffffff '''종류''' }}} || {{{#ffffff '''제조국''' }}} || {{{#ffffff '''운용''' }}} || {{{#ffffff '''비축''' }}} || {{{#ffffff '''추가''' }}} || {{{#ffffff '''비고''' }}} || ||[[ASCOD|ASCOD 2 사브라]] || 경전차 || 스페인 / 이스라엘 || 1대 || || 17대 ||최대 144대 도입 계획 || ||[[판두르 II|판두르 II 사브라]] || 차륜형 경전차 || 체코 / 이스라엘 || || || 10대 || || ||<-7> {{{#FFFFFF '''필리핀 육군의 장갑차량''' }}} || || {{{#ffffff '''이름''' }}} || {{{#ffffff '''종류''' }}} || {{{#ffffff '''제조국''' }}} || {{{#ffffff '''운용''' }}} || {{{#ffffff '''비축''' }}} || {{{#ffffff '''추가''' }}} || {{{#ffffff '''비고''' }}} || ||[[M113|M113A1/A2 FSV]] || 화력지원차량 || 미국 / 이스라엘 || 18대 || || || || ||[[M113|M113A2 IFV]] || IFV || 미국 / 이스라엘 || 3대 || || || || ||[[AIFV|AIFV-25]] || IFV || 미국 || 38대 || || || || ||[[AIFV|PIFV-12.7]] || IFV || 미국 || 13대 || || || || ||[[AIFV|ACV-15]] || APC || 튀르키예 || 6대 || || || || ||[[VBTP-MR 과라니]] || APC || 브라질 || || || 28대 || || ||[[M113|M113A1]] || APC || 미국 || 50대 || || || || ||[[M113|M113A2]] || APC || 미국 || 114대 || || || || ||[[M113|M113A2+]] || APC || 미국 || 20대 || || || || ||<-7> {{{#FFFFFF '''필리핀 육군의 포병장비''' }}} || || {{{#ffffff '''이름''' }}} || {{{#ffffff '''종류''' }}} || {{{#ffffff '''제조국''' }}} || {{{#ffffff '''운용''' }}} || {{{#ffffff '''비축''' }}} || {{{#ffffff '''추가''' }}} || {{{#ffffff '''비고''' }}} || ||[[K-136 다연장로켓|K-136]] || 다연장로켓 || 대한민국 || 18문 || || || || ||[[ATMOS 2000]] || 자주곡사포 || 이스라엘 || 12문 || || || || ||[[RMS6L|카돔 120]] || 자주박격포 || 이스라엘 || 15문 || || || || ||카돔 81 || 자주박격포 || 이스라엘 || 5문 || || || || === 보병장비 === [[파일:attachment/필리핀군/2.jpg|width=400]] 필리핀 육군 특수임무대의 모습. 이들은 특수부대인만큼 필리핀군 내에서 최정예라 사진 제일앞의 병사가 들고있는 것처럼 [[M4 카빈|M4A1]]을 지급받는다. 하지만 몇몇 병사들만 그렇고 사진 오른쪽에서 두 번째 병사가 손에 쥐고 있는 것처럼 [[M16A1]]에 삼각형 총열덮개가 부착된 3~40년 넘어가는 [[CAR-15|AR 계열]]도 여전히 사용중이다. 그래도 국가에서 취급 잘해주는 정예군이라고, 대한민국이 특전사에게 일반 전투복과는 다른 특전복을 지급하듯이 타 부대와는 다른 특이한 패턴의 전투복을 지급받는다. 다만 다른 장비들까지 완전히 다른 물건을 줄 순 없었는지 군장은 일반 보병들이 쓰는 하네스에 자신들이 입는 옷의 위장색과 맞추기 위한 흰칠을 조금씩 해서 사용한다. [[파일:Screenshot_20200905-023947_YouTube.jpg|width=400]] 필리핀 내 반군과의 전쟁을 다룬 [[바이스#s-6]] 다큐멘터리. 최근에는 그래도 디지털 컴뱃셔츠에 옵스코어도 간간이 착용한다. [[CAR-15#s-2.2.2|M653]]이라는 M16A1 카빈을 사용하는 모습이 자주 보인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서, title=필리핀군, version=238)] [[분류:나라별 육군]][[분류:필리핀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