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필리핀)] ||
<-7><:> [[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20]]''' {{{#000,#ddd 필리핀 외교 관련 틀}}}''' [[파일:필리핀 국장.svg|width=20]]|| ||<-7><:><#fff,#2d2f34>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동남아시아의 외교)] [include(틀:필리핀의 대외관계)] [include(틀:필리핀 관련 문서)] ---- }}} || [목차] == 개요 == [[필리핀]]의 [[외교]]를 설명하는 문서. == [[아시아]]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6]] [[대한민국]]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한필관계)] === [[파일:중국 국기.svg|height=16]] [[중국]]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중국-필리핀 관계)] === [[파일:일본 국기.svg|height=16]] [[일본]]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일본-필리핀 관계)] [[일본]]의 경우 [[독도]], [[센카쿠 열도]], [[쿠릴 열도]] 등의 영토 분쟁을 가진 민감한 사항이 존재하게 되는 [[대한민국|주]][[중국|변]][[러시아|국]]과 달리 대체적으로 우호한 편이다. 그리고 역사적으로도 일본인들도 필리핀에 거주한 경우도 있다. 그러나 양국 관계의 민감한 사항인 [[위안부]] 문제가 최근 들어서 최대의 핫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거기에다 일본은 필리핀을 점령했을 당시에는 '''[[마닐라 대학살]]'''을 저지른 적도 있었고 [[바탄 죽음의 행진]]까지 자행한 적이 있었다. 그리고 일본이 필리핀을 점령했을 당시에 필리핀인들도 일본에 저항하는 운동을 펼치기도 했다. 2018년 4월 27일에 필리핀은 마닐라 만 산책로에 세워진 일본군 위안부 추모 동상을 기습 철거시켰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01&aid=0010054623|#]][[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421&aid=0003343449|#]] 2019년에도 이틀 만에 철거한 일이 있었다.[[https://m.news.naver.com/read.nhn?mode=LSD&sid1=104&sid2=235&oid=001&aid=0010562291|#]] 하지만 2019년 2월 5일에 파나이 섬의 카티클란의 사유지에 위안부 추모 동상이 세워졌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28&aid=0002442202|#]] 필리핀내에도 예전에 필리핀으로 건너간 일본인들도 거주하고 있고 태국과 마찬가지로 필리핀인들중에도 일본인을 조상으로 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일본 애니]]도 필리핀에서 인기가 많은 편이라서 DVD가 발매되기도 한다. 그리고 일본에도 필리핀인 공동체가 형성되어 있고 필리핀인 혼혈들도 많은 편이다. 그리고 [[AKB48]]이 뿌리가 된 [[MNL48]]이 생겨나기도 했다. 2019년 5월 31일에 NHK는 방일중인 로드리고 두테르테 대통령이 후쿠시마산 해산물의 일부 수입금지를 해제(!)했다고 보도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11&aid=0003563654|#]] 두테르테의 집에 [[아베]] 총리가 방문하는 등 일본과는 친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 === [[파일:대만 국기.svg|height=16]] [[대만]]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대만-필리핀 관계)] === [[파일:북한 국기.svg|height=16]] [[북한]]과의 관계 === 과거에 북한과 많은 교역을 했었으나, 북한의 지속적인 도발로 2017년부로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9/08/0200000000AKR20170908185200084.HTML?from=search0|북한과의 교역을 전면 중단했다]] === [[파일:쿠웨이트 국기.svg|height=16]] [[쿠웨이트]]와의 관계 === [[쿠웨이트]]와는 대체로 그럭저럭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쿠웨이트에도 가정부로 일하러 온 필리핀인들이 많지만, 최근(2018년)에 쿠웨이트에서 일어난 필리핀 가정부가 살해당한 뒤 시신이 유기된 사건이 일어나자 필리핀과 갈등이 생겨났고 필리핀에서는 쿠웨이트를 규탄하는 시위가 일어났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01&aid=0009880378|#]] 이에 필리핀 정부는 학대받는 필리핀 가정부들을 구출하는 작전을 펼치고 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01&aid=0010039229|#]] 하지만 쿠웨이트측이 반발하면서 필리핀 대사를 추방하는 조치까지 취하는 등 외교갈등이 시작되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25&aid=0002817301|#]] 그러다가 필리핀과 쿠웨이트측은 가사도우미의 인권을 보호하는 협약을 체결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01&aid=0010082140|#]] 2018년 7월 23일(현지시간)에 쿠웨이트의 SNS스타가 필리핀 가사노동자들의 권익을 무시하는 발언으로 여론의 뭇매를 받았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0230072|#]]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height=16]] [[사우디아라비아]]와의 관계 === [[사우디아라비아]]와는 쿠웨이트와 마찬가지로 그럭저럭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에도 필리핀인 노동자들이 이주해서 일하고 있다. 또한, 가정부로도 일하는 경우도 많이 있고 필리핀 무슬림들도 메카로 자주 오는 경우도 많이 있다. [[코로나19]]가 발생하자 사우디 정부는 코로나19로 사망한 필리핀 이주노동자 수백 명의 시신을 가져갈 것을 필리핀 정부에 요구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3&aid=0009928309|#]] 다만 사우디아라비아의 많은 고용주들이 필리핀 근로자를 학대하는 경우가 많아서 갈등을 빚고 있다. === [[파일:싱가포르 국기.svg|height=16]] [[싱가포르]]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싱가포르-필리핀 관계)] [[싱가포르]]와는 생각외로 사이가 안 좋은 편이다. 필리핀인들중에는 싱가포르로 가서 일하는 경우가 흔하고 싱가포르에도 필리핀 여성들이 가정주부로 일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경제적으로 싱가포르가 필리핀보다 부유한 편이라서 싱가포르인들중에는 필리핀인들을 모욕하는 경우가 많고 거기에다 필리핀인 가정부가 싱가포르에서 학대받는 경우가 많다. ===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height=16]] [[말레이시아]]와의 관계 === [[말레이시아]]와는 종교적인 문제 때문에 사이가 좋지 않다. 또한, [[사바(말레이시아)|사바]]주를 두고 말레이시아와 필리핀은 영토갈등을 벌이고 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469&aid=0000477117|#]] 필리핀의 테오도로 록신 외무장관이 트위터에 사바주는 말레이시아에 없다라고 쓰자 말레이시아측이 반발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1780374|#]] ===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height=16]] [[인도네시아]]와의 관계 === 양국은 영해 분쟁이라든지 종교 문제라든지 여러가지 문제로 인한 갈등을 겪고 있다. 하지만 두나라 다 [[말레이시아]]와 적대관계라서 그런지 말레이시아와 외교분쟁이 일어나면 [[오월동주|서로 편먹고 견제하는 모습을 자주 보여준다.]] === [[파일:베트남 국기.svg|height=16]] [[베트남]]과의 관계 === 1954년 필리핀과 [[베트남국]]이 수교했으며, 남베트남 패망 이후 관계가 단절되었다가 1976년 통일 베트남과 수교했다. 동남아시아에서 의외로 관계가 좋은 나라 중의 하나이다. 필리핀도 스프래틀리 군도(난사 군도) 분쟁 때문에 반중이 심한데, 베트남도 역시 오랜 역사적 이유로 인한 반중 감정과 더불어 스프래틀리 군도 문제로 중국과도 안 좋은 공통점이 있기 때문이다. 심지어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베트남에서는 반중시위가 나타날 때 가끔 필리핀을 지지하는 경우도 있다. 역사적으로 필리핀은 [[남베트남]]의 편을 들어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기 때문에 일부 갈등이 있다. === [[파일:캄보디아 국기.svg|height=16]] [[캄보디아]]와의 관계 === 대외적으로 필리핀은 친미국가, 캄보디아는 친중국가로 갈리지만 캄보디아와도 사이가 나쁘지 않은 편이다. === [[파일:브루나이 국기.svg|height=16]] [[브루나이]]와의 관계 === 브루나이는 필리핀에서 비교적 가깝지만 [[영어]]를 쓰는 동질성이 있고, 다른 동남아시아 주변 국가와의 관계는 다소 좋은 편이다. 브루나이의 우방국인 싱가포르와는 대조적인 부분 === [[파일:미얀마 국기.svg|height=16]] [[미얀마]]와의 관계 === 필리핀과는 서로 가장 관계가 적은 나라이다. 그렇지만, 미얀마 군부에 대해서는 필리핀 정부가 규탄한 적이 있다. === [[파일:이스라엘 국기.svg|height=16]] [[이스라엘]]과의 관계 === 필리핀과 이스라엘 양국은 미국과의 교류와 협력을 많이 하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리고 이스라엘로 성지순례를 하러 오는 가톨릭 신자들도 적지 않은 편이다. 필리핀이 스페인의 식민 지배를 받던 시절, 스페인으로 부터 필리핀에 많은 유대인들이 넘어온 적이 있었으며 이스라엘의 건국을 찬성했던 33개국중 하나가 바로 필리핀이였다. 2014년에는 필리핀 정부가 이스라엘로 부터 장갑차를 구매하였으며, 2017년 이스라엘은 마라위 전투에서 ISIL과 교전하던 필리핀을 지원해줬다. 2023년 10월에는 하마스의 테러를 비난하여 필리핀은 이스라엘을 지지하였다. == [[유럽]] == === [[파일:바티칸 국기.svg|height=16]] [[바티칸]]과의 관계 === [[바티칸]]과도 종교적으로 우호 관계이다. 필리핀은 카톨릭 국가이다. === [[파일:러시아 국기.svg|height=16]] [[러시아]]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러시아-필리핀 관계)] [[러시아]]와는 [[로드리고 두테르테]]가 당선된 이후, 점점 많이 협력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무기도 러시아제 무기를 도입하고 2017년에 4월 또는 5월에 러시아를 방문할 예정을 보이는 등 러시아와 방위협력을 추진중이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01&aid=0008857026|#]][[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01&aid=0009004945|#]] 그리고 방위와 마약대처에도 협력을 추진중이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01&aid=0008872781|#]] 게다가 합동군사훈련도 추진중이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01&aid=0008941940|#]] 그리고 군사협력협정을 맺고 본격적인 군사교류에 나서고 있고,[[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01&aid=0009246042|#]] 필리핀에 무기를 지원하고 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01&aid=0009599528|#]] 2017년 5월 22일에 두테르테는 러시아를 방문하면서 푸틴과 국방협력 등을 논의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421&aid=0002745341|#]] 그리고 필리핀측이 러시아제 무기를 구입하고 러시아제 잠수함을 구입하자 미국은 우려를 표명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469&aid=0000322341|#]] === [[파일:스페인 국기.svg|height=16]] [[스페인]]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스페인-필리핀 관계)]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height=16]] [[포르투갈]]과의 관계 === 필리핀과 [[포르투갈]]은 [[이베리아 연합]] 시절에 스페인의 지배를 받은 공통점이 있으며, 그에 따라 필리핀에는 이베리아 연합 시절에 이주해온 포르투갈인의 후손들이 살고 있다. ===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height=16]] [[아이슬란드]]와의 관계 === [[아이슬란드]]와는 외교관계를 맺고 있었지만, 인권문제로 갈등을 빚자 두테르테 대통령은 아이슬란드와의 관계를 단절할 수 있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421&aid=0004096809|#]]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16]] [[영국]]과의 관계 === [[영국]]과는 매우 우호적인 편이다. 필리핀은 미국의 지배를 받았지만, 영어를 공용어로 지정하고 있어서 영국과는 가까운 편이고 교류도 활발하다. 그리고 필리핀인들도 영국에 거주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1953년]]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대관식]] 때에도 필리핀의 엘피디오 퀴리노 대통령은 전권 대사를 보내 경축하였다. == [[아메리카]] ==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16]] [[미국]]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미국-필리핀 관계)] [[1898년]] [[미국-스페인 전쟁]] 이후 [[스페인령 필리핀|스페인령]]에서 [[미국령 필리핀|미국령]] [[식민지]]가 된 이래 지식인들의 언어가 [[스페인어]]에서 [[영어]]로 교체된 것을 비롯해 미국으로부터 많은 문화적, 정치적 영향을 받게 되었다. 독립 이후에도 필리핀은 [[친미]] 기조를 띄며 [[주필미군]] 주둔, [[미국-필리핀 상호방위조약]] 체결로 [[냉전]]동안 미국의 우방국이었다. 하지만 민간에서 구 미국의 식민 지배에 대한 반감, 주필미군의 범죄 등을 거쳐 [[반미]] 감정이 자리잡으며 냉전 후에는 주필미군 철수 및 미비동맹 약화 등을 거쳐 교류가 줄어들었다. 또한 [[로드리고 두테르테]]가 필리핀의 대통령에 당선된 후, 마약 범죄에 대한 초강경 정책에 대해 미국을 위시로 하는 서방에서 규탄하자 사이가 멀어지고 있다. 물론 두테르테 대통령이 서방에 대한 언사가 과격하지만 미국과 적대하는 것이 아니고 본인도 반미가 아니라고 해명한 만큼 그렇게까지 나쁜 관계는 아니다. 또한 지방자치가 강한 필리핀은 두테르테의 의견, 친중만으로 미국과의 외교근간 전체가 좌우되는 정치구조의 국가도 아니다. 엄연히 필리핀 또한 미국의 비나토 동맹국이다. 2016년 말 두테르테 대통령은 미국과 맺은 방위협정은 폐기하지는 않고 유지하겠다는 의견을 보였는데[[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03&aid=0007575967|#]] 이후 미국이 원조중단을 검토하자 미군주둔협정을 폐기할 방침을 보였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421&aid=0002457977|#]] 현재는 미군이 철수하면서 오히려 미군을 다시 주둔시키려는 움직임이 나오는 상황이다. [[남중국해]] 관련 이슈에서 필리핀이 친중노선을 타면서 미국의 입장에서 필리핀의 매력이 떨어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미국의 입장에서 중국 견제를 위한 선택지는 필리핀에 한정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필리핀의 이러한 입장이 계속될 경우 미국이 향후 필리핀보다 인도네시아나 말레이시아 등에 집중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된다. 하지만 아직은 미국과의 동맹이 계속되고 있어서 2018년 5월 29일에 남중국해 문제에서 미국과의 동맹을 재확인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22&aid=0003277507|#]] 그리고 필리핀은 미국과의 군사협력을 강화하고 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2&oid=001&aid=0010369135|#]] 필리핀과 미국간의 갈등이 생기자 두테르테 대통령은 미국인의 필리핀 입국시에 비자를 요구하는 것을 검토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03&aid=0009628330|#]] 미군의 필리핀 방문 협정을 필리핀이 종료하기로 했다.[[https://www.aljazeera.com/news/2020/06/philippines-backtracks-termination-military-deal-200602142554480.html|#]] 2022년 이후, 필리핀이 미국과의 협력을 확대하며 중국을 견제하기 시작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2/0003787108?sid=104|#]] === [[파일:멕시코 국기.svg|height=16]] [[멕시코]]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멕시코-필리핀 관계)] 생각보다 훨씬 관계가 밀접한 편인데 역사적으로 필리핀이 스페인의 식민지였던 시절 실질적으로는 멕시코의 [[누에바에스파냐]] 총독이 스페인 국왕을 대신해서 필리핀을 지배했기 때문이다. 오늘날 [[멕시코인]] 상당수가 필리핀이나 필리핀 화교 혈통을 적잖이 이어받기도 했다. ===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height=16]] [[베네수엘라]]와의 관계 === [[베네수엘라]]는 대체적으로 필리핀과 마찬가지로 [[스페인어]]의 잔재가 남을 정도로 과거 [[페소]]화를 공유할 정도로 유명하다. 베네수엘라 같은 경우 필리핀이 친미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비슷한 측면이 있으나, [[우고 차베스]] 대통령 취임 이후 관계가 크게 돈독하고 있어 [[미국]]에 대한 비판을 견제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베네수엘라 대사관은 [[마닐라]]에 마련된 것에 비하면, 필리핀 대사관이 [[카라카스]]에 두지 않고 있어 주미 필리핀 대사가 베네수엘라를 겸임하고 있다. 그리고 무역 관계로는 베네수엘라는 필리핀을 상대로 하는 비중도 Top 5에 이를 정도로 무역 활동이 아주 뛰어난 것으로 보인다. 양국간 외교 관계 수립은 1968년부터 시작되었다. === [[파일:캐나다 국기.svg|height=16]] [[캐나다]]와의 관계 === [[캐나다]]와는 2019년에 일어났던 쓰레기 문제로 인해 외교갈등을 빚었다. 그리고 필리핀은 캐나다와 외교갈등을 빚자 대사를 소환했고, 공직자의 캐나다 방문도 금지시켰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2&oid=001&aid=0010848200|#]] == [[오세아니아]] == === [[파일:호주 국기.svg|height=16]] [[호주]]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호주-필리핀 관계)]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height=16]] [[뉴질랜드]]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뉴질랜드-필리핀 관계)] == 지역별 관계 == * [[한국-필리핀 관계]] * [[일본-필리핀 관계]] * [[중국-필리핀 관계]] * [[대만-필리핀 관계]] * [[싱가포르-필리핀 관계]] * [[러시아-필리핀 관계]] * [[스페인-필리핀 관계]] * [[미국-필리핀 관계]] * [[멕시코-필리핀 관계]] * [[호주-필리핀 관계]] * [[뉴질랜드-필리핀 관계]] == 관련 문서 == * [[ASEAN|아세안]] * [[IPEF]]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동남아시아 국가]] == 관련 기사 ==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2/0003787108?sid=104|대만 다음은 우리?…중국에 돌아선 필리핀 [박종현의 아세안 코너]]] - 세계일보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79/0003724710?sid=104|美와 친하고 中과도 우호…주목받는 필리핀 마르코스의 균형외교(노컷뉴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필리핀, version=1303)] [[분류:필리핀의 외교]][[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