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373a3c,#dddddd '''{{{+1 핑퐁}}}''' (2014)[br]ピンポン THE ANIMATIO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www.pingpong-anime.tv/img_visual003.jpg|width=100%]]}}} || ||<-2>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
'''{{{#373a3c,#dddddd 장르}}}''' ||[[스포츠]] || || '''{{{#373a3c,#dddddd 원작}}}''' ||[[마츠모토 타이요]] || || '''{{{#373a3c,#dddddd 감독}}}''' ||<|2>[[유아사 마사아키]] || || '''{{{#373a3c,#dddddd 시리즈 구성}}}''' || || '''{{{#373a3c,#dddddd 부감독}}}''' ||[[최은영(애니메이터)|최은영]] || || '''{{{#373a3c,#dddddd 캐릭터 디자인}}}''' ||<|2>[[이토 노부타케]] || || '''{{{#373a3c,#dddddd 총 작화감독}}}''' || || '''{{{#373a3c,#dddddd 미술 감독}}}''' ||Aymeric Kevin || || '''{{{#373a3c,#dddddd 색채 설계}}}''' ||츠지타 쿠니오(辻田邦夫) || || '''{{{#373a3c,#dddddd 촬영 감독}}}''' ||나카무라 슌스케(中村俊介) || || '''{{{#373a3c,#dddddd 편집}}}''' ||키무라 카시코(木村佳史子) || || '''{{{#373a3c,#dddddd 음향 감독}}}''' ||키무라 에리코(木村絵理子) || || '''{{{#373a3c,#dddddd 음악}}}''' ||[[우시오 켄스케]] || || '''{{{#373a3c,#dddddd 치프 프로듀서}}}''' ||야마모토 코지(山本幸治)^^[[후지 테레비]]^^ || || '''{{{#373a3c,#dddddd 프로듀서}}}''' ||오카야스 유카(岡安由夏)^^[[후지 테레비]]^^[br]신타쿠 요헤이(新宅洋平) || || '''{{{#373a3c,#dddddd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후지오 츠토무(藤尾 勉) || || '''{{{#373a3c,#dddddd 애니메이션 제작}}}''' ||[[타츠노코 프로덕션]] || || '''{{{#373a3c,#dddddd 제작}}}''' ||애니 핑퐁 [[제작위원회]] || || '''{{{#373a3c,#dddddd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14년 4월|2014. 04. 11.]] ~ 2014. 06. 20. || || '''{{{#373a3c,#dddddd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후지 테레비]]([[노이타미나]])[br](금) 00:50[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애니플러스]] / (목) 22:00 || || '''{{{#373a3c,#dddddd 편당 러닝타임}}}''' ||22분 || || '''{{{#373a3c,#dddddd 화수}}}''' ||11화 || || '''{{{#373a3c,#dddddd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373a3c 15세 이상 시청가}}}]] || || '''{{{#373a3c,#dddddd 관련 사이트}}}''' ||[[http://www.pingpong-anime.tv/|[[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pingpong_anime, 크기=25)]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만화 [[핑퐁]]을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애니메이션/2014년 4월|2014년 4월]], [[후지TV]] [[노이타미나]] 시간대로 1쿨 11화 방영. 감독은 [[유아사 마사아키]]. 부감독 [[최은영(애니메이터)|최은영]]. 유아사 감독이 콘티를 다 그린 작품이지만 최은영의 연출색도 강하게 나오는 작품이다. == 특징 == [[죠죠러]]가 많은 [[니코동]]에서조차 해당 분기 니코동 선호 랭킹 1위인 죠죠 3부에 이어 2위에 핑퐁이 랭크되기도 했다. [[마츠모토 타이요]] 특유의 작화를 재현하면서 유아사 마사아키가 좋아하는 [[키무라 케이이치로]]의 작화, 연출 스타일을 재현해 융합시킨 것이 특징. 이 작품이 나올 때 제작사 [[타츠노코 프로덕션]]이 디지털 작화를 하는 [[WEB계 애니메이터]]를 육성하고 있던 시기라 디지털 작화 애니메이터가 많이 참가했다. [vimeo(101069769)] 작중 플래시가 사용된 장면. 이렇게 연출과 작화에 플래시를 사용하기도 한다. == [[핑퐁#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핑퐁, 앵커=등장인물)] == 음악 == === 주제가 === ==== OP ==== ||<-2>
'''{{{#373a3c,#dddddd OP[br]唯一人[br]유일인}}}'''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Px9FvddtgpM, width=100%)]}}} || ||<-2> '''{{{#373a3c,#dddddd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373a3c,#dddddd Full ver.}}}''' || || '''노래''' ||<|4> 폭탄 조니(爆弾ジョニー) || || '''작사''' || || '''작곡'''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3> [[오오히라 신야]] || || '''연출''' || || '''작화감독''' || || '''원화''' || [[니시이 료스케]], 西味鋺楠, 伍柏諭, [[니호 토모유키]], [[사키야마 호쿠토]], [[미야자와 야스노리]], [[하시모토 신지(애니메이터)|하시모토 신지]], [[오오히라 신야]]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 ED ==== ||<-2>
'''{{{#373a3c,#dddddd ED[br]僕らについて[br]우리에 관하여[* 곡이 두 가지 버전이 있는데, '“그 히어로와” 우리에 관하여(“あのヒーローと” 僕らについて)'와 '“그 새벽과” 우리에 관하여(“あの夜明け前の” 僕らについて)'가 있다. 두 곡은 편곡이 다르며 돌아가면서 쓰고 있다.]}}}'''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373a3c,#dddddd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373a3c,#dddddd Full ver.}}}''' || || '''노래''' || [[메렝게]] || || '''작사''' ||<|2> 쿠보 켄지(クボケンジ) || || '''작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엔딩 애니메이션''' || [[최은영(애니메이터)|최은영]]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 삽입곡 === ||<-2>
'''{{{#373a3c,#dddddd 6화 삽입곡[br]MIDNIGHT FLIGHT~ひとりぼっちのクリスマス・イブ[br]MIDNIGHT FLIGHT~혼자만의 크리스마스 이브[* 1987년 발표된 하마다 쇼고의 노래로 작중에서는 [[콩웬거]]가 부른다.]}}}'''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2VIAU6FqpP0, width=100%)]}}} || ||<-2> '''{{{#373a3c,#dddddd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373a3c,#dddddd Full ver.}}}''' || || '''노래''' ||<|3> 하마다 쇼고(浜田省吾) || || '''작사''' || || '''작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2>
'''{{{#373a3c,#dddddd 12화 삽입곡[br]手のひらを太陽に}}}'''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373a3c,#dddddd Full ver.}}}''' || || '''작사''' || [[야나세 타카시]]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 회차 목록 == * 전화 각본 / 콘티: [[유아사 마사아키]] * 전화 총 작화감독: [[이토 노부타케]] ||
'''회차''' || '''제목'''[*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 '''연출''' || '''작화감독''' || '''방영일''' || || #1 || 風の音がジャマをしている[br]바람소리가 방해를 한다 || 쿠보타 타케히로[br](久保田雄大) || [[이토 노부타케]] || 日: 2014.04.11.[br]韓: 2014.04.17. || || #2 || スマイルはロボット[br]스마일은 로봇 ||<-2> 이토 히데키[br](伊藤秀樹) || 日: 2014.04.18.[br]韓: 2014.04.24. || || #3 || 卓球に人生かけるなんて気味が悪い[br]탁구에 인생을 걸다니 불쾌해 || 아라카와 마사츠구[br](荒川眞嗣) || 이토 노부타케[br]토다 사야카[br](戸田さやか) || 日: 2014.04.25.[br]韓: 2014.05.01. || || #4 || 絶対に負けない唯一の方法は闘わないことだ[br]절대로 지지 않는 방법은 싸우지 않는 거다 || 우에노 후미히로[br](上野史博) || 아베 히로키[br](阿部弘樹)[br][[핫토리 켄지]][br](服部憲治) || 日: 2014.05.02.[br]韓: 2014.05.08. || || #5 || どこで間違えた?[br]어디서부터 잘못된 거지? || 우츠노미야 마사키[br](宇都宮正記) || 이시쿠라 켄이치[br](石丸賢一) || 日: 2014.05.09.[br]韓: 2014.05.15. || || #6 || おまえ誰より卓球好きじゃんよ!![br]넌 누구보다 탁구를 좋아하잖아!! || 쿠보타 타케히로 || [[아사노 나오유키]][br]토다 사야카[br]이토 노부타케 || 日: 2014.05.16.[br]韓: 2014.05.22. || || #7 || イエス マイコーチ[br]예스, 마이 코치 || [[이토 료타]] || 니시가키 쇼코[br](西垣庄子)[br]시바타 켄지[br](柴田健児) || 日: 2014.05.23.[br]韓: 2014.05.29. || || #8 || ヒーロー見参[br]히어로 등장 || [[허평강]] || 이시마루 켄이치[br]토다 사야카[br]아사노 나오유키 || 日: 2014.05.30.[br]韓: 2014.06.05. || || #9 || 少し泣く[br]조금만 울고 || 이토 료타 || 토다 사야카[br]아사노 나오유키[br]오쿠다 요시코[br](奥田佳子)[br]시바타 켄지[br]니시가키 쇼코 || 日: 2014.06.06.[br]韓: 2014.06.12. || || #10 || ヒーローなのだろうが!![br]히어로잖아!! || [[최은영(애니메이터)|최은영]] ||<|2> 이토 노부타케[br]아사노 나오유키[br]토다 사야카[br]니시가키 쇼코 || 日: 2014.06.13.[br]韓: 2014.06.19. || || #11 || 血は鉄の味がする[br]피는 쇠맛이 난다 || 유아사 마사아키 || 日: 2014.06.20.[br]韓: 2014.06.26. || == 평가 == 한국에서는 특유의 그림체 때문에 기피하는 팬들도 많았지만 시청하고 감명받은 팬들에 의해 수많은 리뷰가 나오고 좋은 평가를 받으며 갓퐁(GOD + 핑퐁)이란 별명으로 불리며 '깔끔한 작화 = 좋은 애니메이션'이라는 고정관념을 깨는 사례가 되었다.[* 실제로도 그렇다. 최근 외관이 화려하고 예쁜 디자인의 캐릭터를 내세운 작품들은 캐릭터 외관과 예쁜 디자인 빼고는 좋게 볼것이 없다는 평이 많은것처럼, 겉모습이 모든것이 아니다. [[미야자키 하야오]], [[토미노 요시유키]] 등이 이런 입장을 가지고 있다.] 디자인이 특이해서 작화 또한 상당히 안정되어 있고 그 마츠모토 타이요 특유의 그림체가 제대로 살아나며 연출이 돋보인다. [[http://bbs2.ruliweb.daum.net/gaia/do/ruliweb/family/1360/read?articleId=1446438&objCate1=&bbsId=G003&searchKey=subjectNcontent&itemGroupId=&itemId=15&sortKey=depth&searchValue=%25EB%25A9%2594%25EC%25B9%25B4%25EC%25BF%25A0%25EC%258B%259C%25ED%258B%25B0&platformId=|니코동 2014년 봄 시즌 애니 선호도 랭킹]]에서 1위를 했다. 죠죠는 잘 보면 유저 평가부문에선 1위로 압도적이지만, 애니 등급을 매기는 부분에서 핑퐁이 압도적으로 AA 평가가 많기 때문에 죠죠가 3위로 랭크인 하고 있다. 판매량은 3,800장으로 그렇게 높은 수치는 아니지만, 34,000엔짜리 컴플리트 BOX 세트만 발매된 것을 감안하면 꽤나 준수한 판매량이다. 또 유아사 마사아키가 애니메이션 회사인 [[사이언스 SARU]]에서 성공적으로 작품 활동을 이어 나간 것도 이 작품덕이라 생각하면 그 영향력은 엄청났다고 할 수 있다. == 원작과의 차이점 == [[마츠모토 타이요]]가 당시에 그리고 싶었지만 그리지 못했던 전개나 새 캐릭터 추가를 비롯해 세월의 흐름을 맞추기 위해 변경된 부분이 있다. * 애니판 오리지널 캐릭터로 카자마 이사장, 유리에, 콩의 어머니가 추가되었다. * 연도가 2014년으로 변경. * 공식 규칙이 변경되어 1게임 21점 제에서 11점 제로 변경되었다. * 스마일의 [[루빅스 큐브]]가 게임기로 변경되었다. (후에 성인이 된 스마일은 루빅스 큐브를 사용한다) 디자인을 보면 게임보이 어드밴스인 듯 하다. * 코이즈미의 나이가 72세로 변경. * ~~코이즈미의 집에 로봇 청소기가 있다~~ * 원작에서 페코는 소각로에다 라켓을 폐기하나, 애니판에서는 강에 던져 폐기한다. 일본 학교에 소각로가 사라졌기 때문. 그리고 이는 결말에서 중요하게 등장한다. * 몇몇 상황의 대사가 변경되었다. * 결말 부분에 내용이 추가되었다. == 수상 == * 2014년 문화청 미디어 예술제 애니메이션 부문 심사위원 추천작에 선정되었다. 같이 추천된 작품으로는 [[킬라킬]], [[잔향의 테러]], [[충사|충사 속장]], [[도라에몽(애니메이션)|도라에몽]] 등이 있다. * 도쿄 애니메이션 어워드 페스티벌(TAAF) 2015에서 TVA 부분 그랑프리를, 캐릭터 디자인과 총작화감독을 받았던 이토 노부타케가 애니메이터상을, 그리고 본작의 스마일을 연기한 우치야마 코우키가 성우상을 수상했다. == 둘러보기 == ||<-5>
'''[[노이타미나]] 방영작''' (2014년 2분기) || || [[은수저 Silver Spoon/애니메이션#둘러보기|은수저 Silver Spoon 시즌 2]][br][[사무라이 플라멩코#둘러보기]] || → || '''핑퐁 THE ANIMATION'''[br][[류가죠 나나나의 매장금#애니메이션]] || → || [[잔향의 테러#둘러보기]][br][[PSYCHO-PASS#둘러보기|PSYCHO-PASS 신편집판]]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핑퐁, version=324)] [[분류:핑퐁]][[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14년 2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타츠노코 프로덕션]][[분류:일본 만화 원작 애니메이션]][[분류:구기 애니메이션]][[분류:스포츠물/탁구]][[분류:유아사 마사아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