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태풍 명칭)] [목차] == 개요 == 하구핏(Hagupit)은 [[필리핀]]에서 제출한 [[태풍]]의 이름으로, [[타갈로그어]]로 '''채찍 따위로 때림'''을 의미하는 명사다.--2020년에는 말 그대로 우리나라 장마에 채찍질을 가했다.-- == 2002년 제18호 태풍 == [include(틀:2002년 태풍)] || [[2002년|{{{#FFF '''2002년'''}}}]] [[태풍|{{{#FFF '''태풍'''}}}]] || || 제17호 [[엘레(태풍)#s-2|엘레]] → '''제18호 하구핏''' → 제19호 [[장미(태풍)#s-2|장미]] || |||||| '''{{{+5 {{{#!html 2002년 제18호 태풍 하구핏}}}}}}''' || ||<#3594D3> {{{#ffffff 위성사진}}}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3594D3> {{{#ffffff 진로도}}}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3594D3> {{{#ffffff 활동 기간}}} ||||<:> 2002년 9월 11일 ~ 2002년 9월 12일 || ||<#3594D3> {{{#ffffff 영향 지역}}} ||||<:> [[필리핀]], [[중국]] [[광시 좡족 자치구]], [[하이난 성]], [[베트남]] || || {{{#white 태풍 등급}}} ||<-2><:> {{{#000 '''열대폭풍'''}}}[*JTWC] || || {{{#white 10분 등급}}} ||<-2><:> {{{#000 '''열대폭풍'''}}}[*JMA] || ||<#3594D3> {{{#ffffff 태풍 크기}}} ||||<:> '''소형(직경 560km)''' || ||<#3594D3> {{{#ffffff 최저 기압}}} |||| '''990hPa''' || ||<|2><#3594D3> {{{#ffffff 최대 풍속}}} ||<:>1분 평균 || '''23m/s''' || ||<:>10분 평균 || '''23m/s''' || == 2008년 제14호 태풍 == [include(틀:2008년 태풍)] || [[2008년|{{{#FFF '''2008년'''}}}]] [[태풍|{{{#FFF '''태풍'''}}}]] || || 제13호 [[실라코#s-3]] → '''제14호 하구핏''' → 제15호 [[장미(태풍)#s-3|장미]] || |||||| '''{{{+5 {{{#!html 2008년 제14호 태풍 하구핏}}}}}}''' || ||<#3594D3> {{{#ffffff 위성사진}}}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3594D3> {{{#ffffff 진로도}}}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3594D3> {{{#ffffff 활동 기간}}} ||||<:> 2008년 9월 19일 ~ 9월 25일 || ||<#3594D3> {{{#ffffff 영향 지역}}} ||||<:> 필리핀, 일본 류큐 제도, 대만, 중국, 베트남 || || {{{#white 태풍 등급}}} ||<-2><:> {{{#000 '''4등급'''}}}[*JTWC] || || {{{#white 10분 등급}}} ||<-2><:> {{{#000 '''매우 강한 태풍'''}}}[*JMA] || ||<#3594D3> {{{#ffffff 태풍 크기}}} ||||<:> '''대형(직경 1050km)''' || ||<#3594D3> {{{#ffffff 최저 기압}}} |||| '''935hPa''' || ||<|2><#3594D3> {{{#ffffff 최대 풍속}}} ||<:>1분 평균 || '''62m/s''' || ||<:>10분 평균 || '''46m/s''' || == 2014년 제22호 태풍 == [include(틀:2014년 태풍)] || [[2014년|{{{#FFF '''2014년'''}}}]] [[태풍|{{{#FFF '''태풍'''}}}]] || || 제21호 [[실라코#s-4]] → '''제22호 하구핏''' → 제23호 [[장미(태풍)#s-4|장미]] || |||||| '''{{{+5 {{{#!html 2014년 제22호 태풍 하구핏}}}}}}''' || ||<#3594D3> {{{#ffffff 위성사진}}}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3594D3> {{{#ffffff 진로도}}}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3594D3> {{{#ffffff 활동 기간}}} ||||<:> 2014년 12월 1일 ~ 12월 11일 || ||<#3594D3> {{{#ffffff 영향 지역}}} ||||<:> 북마리아나 제도, 필리핀, 베트남 || || {{{#white 태풍 등급}}} ||<-2><:> {{{#000 '''5등급'''}}}[*JTWC] || || {{{#white 10분 등급}}} ||<-2><:> {{{#000 '''맹렬한 태풍'''}}}[*JMA] || ||<#3594D3> {{{#ffffff 태풍 크기}}} ||||<:> '''중형(직경 830km)''' || ||<#3594D3> {{{#ffffff 최저 기압}}} |||| '''905hPa''' || ||<|2><#3594D3> {{{#ffffff 최대 풍속}}} ||<:>1분 평균 || '''80m/s''' || ||<:>10분 평균 || '''59m/s''' || 특이하게도 비슷한 시기에 필리핀에 이와 같은 강도로 영향을 주는 태풍들이 대다수 제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태풍은 피해도 적었고, 크리스마스 시즌도 아니였기에 제명되지 않았다. == 2020년 제4호 태풍 == [include(틀:2020년 한반도 폭우 사태)] [include(틀:2020년 태풍)] || [[2020년|{{{#FFF '''2020년'''}}}]] [[태풍|{{{#FFF '''태풍'''}}}]] || || 제3호 [[실라코#s-5]] → '''제4호 하구핏''' → 제5호 [[장미(태풍)#s-5|장미]] || |||||| '''{{{+5 {{{#!html 2020년 제4호 태풍 하구핏}}}}}}''' || ||<#3594D3> {{{#ffffff 위성사진}}} ||||[[파일:Hagupit202008030440Z.jpg|width=100%]] || ||<#3594D3> {{{#ffffff 진로도}}} ||||[[파일:Hagupit2020trackfix.png|width=100%]] || ||<#3594D3> {{{#ffffff 활동 기간}}} ||||<:> [[2020년]] [[8월 1일]] 21시 ~ [[2020년]] [[8월 6일]] 9시[* 나무위키의 태풍 관측값은 일본 기상청의 기록을 따른다. 왜 이런지 궁금하면 [[프란시스코(2019년 태풍)#s-6|2019년 제8호 태풍 프란시스코의 여담 문단]]을 참조.] || ||<#3594D3> {{{#ffffff 영향 지역}}} ||||<:> [[일본]] 류큐 제도, [[대만]], '''[[중국]] [[저장 성]]''', [[장쑤 성]], [[산둥성]], [[한국]][* 태풍특보가 발효되지는 않았지만 한반도에 상륙해 장마를 연장시키는등의 영향을 주었다.], [[북한]], [[러시아]][* 러시아에 영향을 주는 시점에는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도''' 이미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된 이후라 간접 영향을 받았다고 보는 것이 정확하다.], [[미국]] [[알래스카 주]]|| || {{{#white 태풍 등급}}} ||<-2><:> {{{#000 '''1등급'''}}}[*JTWC] || || [[템플릿:태풍#s-2.2.3|{{{#white 10분 등급}}}]] ||<-2><:> {{{#000 '''강한 태풍'''}}}[*JMA] || ||<#3594D3> {{{#ffffff 태풍 크기}}} ||||<:> '''중형(직경 605 km)''' || ||<#3594D3> {{{#ffffff 최저 기압}}} |||| '''975 hPa''' || ||<|2><#3594D3> {{{#ffffff 최대 풍속}}} ||<:>1분 평균 || '''39 m/s''' || ||<:>10분 평균 || '''36 m/s''' || ||<:><|4>{{{#ffffff 피해상황}}}||<:>사망자|| '''17명''' || ||<:>피해총액 || '''4억 1,100만 달러'''[* 2020 USD] || 2020년 8월 1일 21시에 발생하였다. 필리핀 동부 해상에서 92W 열대요란으로 발달하다가 필리핀 루손 섬 북동쪽 해상에서 발생하였다. JTWC에서 부여한 번호는 03W. === 기록 === |||| 순간최대풍속(m/s) || || 전라 || 진도 18.5 || || 충청 || '''부여 21.3''' 홍성 14.1 세종 11.6 || === 8월 1일 === 이 날 21시에 태풍 이름 명명권을 가진 일본 기상청(JMA)에서 필리핀 루손 섬 북동쪽 해상의 열대요란을 열대폭풍(TS)[* 최대 풍속 18~24m/s. 최소 열대폭풍 등급은 되어야 태풍으로 승격되고 이름이 부여된다.]로 승격시키고 이름 하구핏(Hagupit)을 부여했다. 발생 직후인 8월 1일 밤 기준, 대만이나 중국 동부를 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중국 동부 해안 상륙 후인 약 72시간 후쯤 방향을 북동쪽으로 틀어 '''한반도로 향할 가능성'''도 있다는 예상도 나왔다. '''한반도로 향할 경우'''에는 중국 동부 해안에 이미 상륙하고 오기 때문에 열대저압부 상태로 접근하겠지만 수증기 유입으로 장마전선을 더욱 더 활성화시켜 집중호우가 심해질 가능성이 있다. === 8월 2일 === 한국이 [[2020년 한반도 폭우 사태|폭우]]로 난리난 와중에 하구핏의 수증기가 서해상에 강한 비구름을 크게 만들면서 예상보다 더 많은 비가 내리고 있다. 이름 그대로, 비구름에 채찍질을 하듯이.[[https://news.v.daum.net/v/20200802110159497|#1]] [[https://news.v.daum.net/v/20200802140830794|#2]] [[https://news.v.daum.net/v/20200802203132387|#3]] 태풍 하구핏이 [[일본]] [[오키나와현]] [[이시가키]] 섬에 접근하면서 2020년 8월 2일 15시 태풍정보부터 [[일본 기상청]]의 매시간 태풍정보 발표가 시작되었다. === 8월 3일 === 2020년 8월 3일 오전 7시 22분에 [[이시가키]] 섬에서 순간최대풍속 36.4m/s를 기록하였다. 태풍 하구핏이 [[일본]] [[오키나와현]] [[이시가키]] 섬 부근 해상을 벗어나면서 2020년 8월 3일 15시 태풍정보부터 [[일본 기상청]]의 매시간 태풍정보 발표가 종료되었다. === 8월 4일 === [[파일:hagupit_effect.jpg|width=345]] 하구핏이 2020년 8월 4일 오전 3시경 중국 저장성 원저우 지역에 상륙했다. 공기 흐름을 보듯, 한반도상의 장마전선으로 수증기가 향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 8월 5일 === 한국 기상청 기준 8월 5일 3시경에 중국 상하이 북서쪽 약 16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1,000hPa의 [[열대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 하지만 나무위키는 일본 기상청의 기록을 따르며,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 '''아직까지는 열대폭풍의 세력을 잃지 않고 활동 중'''이다. 한국 기상청과 JTWC 기준 8월 5일 9시경에 [[열대저기압]]으로 약화되어 중국 [[산둥성]] 남쪽을 지나고 있다. 한국 기상청과 JTWC는 이 시점에서 태풍 하구핏의 예보를 종료하였다. '''태풍의 지위를 잃고 소멸한 것으로 간주하였기 때문'''이다. 일본 기상청 기준 8월 5일 21시경, '''마침내 한반도 서해안에 진입'''하였다. 이미 북한의 황해도 해안 일대와 한국의 서해 5도는 태풍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기 시작했다. 단, 2020.11.27에 발표된 일본기상청 사후해석에는 산둥성 남쪽에서 열대저압부로 약화된것으로 수정되었다. === 8월 6일 === 일본 기상청 기준 8월 6일 3시경, 태풍 하구핏이 중심기압 1,000hPa, 10분 평균 풍속 18m/s, 순간최대풍속 26m/s의 비교적 약한 세력으로 '''북한 옹진반도에 상륙'''하였다. 태풍의 직경이 445km로 태풍 크기 분류 상으로는 작은 편이나 남한의 수도권과 매우 근접한 위치이기에 상당한 수준의 강풍 피해가 우려된다. 일본 기상청 기준 8월 6일 9시에 [[북한]] [[강원도]] [[통천군]] 북동쪽 약 12km 부근 해상([[동해]])에서 중심기압 1,000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중국]]에 상륙하면서 장마전선에 태풍 하구핏의 수증기 유입이 많이 되었고, [[8월 6일]] 9시에 [[온대저기압]]이 되면서 장마전선의 일부가 되어 다시 한반도에 강풍과 호우로 영향을 주었다. [[분류:2002년 태풍]][[분류:2008년 태풍]][[분류:2014년 태풍]][[분류:2020년 태풍]][[분류:2020년 한반도 폭우 사태/태풍]][[분류:태풍/대한민국]][[분류:태풍/중국]][[분류:나무위키 태풍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