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일반계 고등학교]][[분류:하남시의 고등학교]][[분류:1970년 개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 [include(틀:회원수정2)]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경기도 하남시의 고등학교)] ||[[파일:main555.jpg|width=120%]]|| [youtube(s3a6pHCbvRg, width=900, height=500)] ||<-2> '''{{{#e3b63b,#c3971c {{{+1 하남고등학교}}}[br]河南高等學校[br]Hanam High School}}}''' || ||<-2> [[파일:W08BySS.jpg|width=200]] || || {{{#e3b63b,#c3971c '''{{{+1 표 어}}}'''}}} || {{{#e3b63b,#c3971c ''' 전인적 인간 '''}}}[br]{{{#e3b63b,#c3971c ''' 知·情·義'''}}} || || {{{#white '''개교'''}}} || [[1970년]] [[3월 18일]] 정윤학교 || || {{{#white '''유형'''}}} || [[일반계 고등학교]] || || {{{#white '''성별'''}}} || [[남녀공학]] || || {{{#white '''학교법인'''}}} || 정윤학원 || || {{{#white '''교장'''}}} || 조태봉 || || {{{#white '''교감'''}}} || 변철환 || || {{{#white '''교훈'''}}} || 하나님을 경외하는 것이 지식의 근본이다 || || {{{#white '''건학이념'''}}} || 하나님을 경외함으로 영육이 건강하고 [br] 매사에 성실과 창의로 임하면서[br] 즐거운 학교생활 속에서[br] 그리스도의 참사랑을 실천하는 [br]하남인을 육성한다. || || {{{#white '''학생 수'''}}} || 850명 (남 415명, 여 435명)[*기준 [[2023년]]] || || {{{#white '''교직원 수'''}}} || 65명 (남 37명, 여 28명)[*기준] || || {{{#white '''관할 교육청'''}}} || [[경기도교육청]] || || {{{#white '''주소'''}}} || [[경기도]] [[하남시]] 미사강변남로 39(망월동) || || {{{#white '''전화번호'''}}} || Tel. 031-792-3083(평일~17:00) / 031-791-6386(당직실/야간,휴일) Fax. 031-793-8481(행정실) / 031-791-3592(교무실) || || {{{#white '''홈페이지'''}}} || [[https://hanam-h.goegh.kr/hanam-h/main.d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2> [include(틀:지도, 장소=하남고등학교, 너비=100%, 높이=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기독교 신앙을 바탕으로 {{{#c55 지성}}} · {{{#blue 인성}}} · {{{#green 영성}}}을 [br] 겸비한 인재양성의 요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하남고|[[파일:W08BySS.jpg|width=61%]]]]}}}||{{{#!wiki style="margin: -5px 0" {{{-2 2023학년도 하남고등학교}}}[br]'''{{{+1 주요 행사 및 학사일정}}}'''}}} ||}}}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1학기 일정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3월 2일''' || 개학식 및 입학식 || || '''3월 18일''' || 개교기념일 || || '''4월 20일''' || 부활절 세족식 || || '''4월 25일[br]~4월 28일''' || 1학기 1차 지필평가 || || '''5월 15일''' || 팝스 || || '''5월 20일''' || 설립자님 추도식 || || '''5월 26일''' || 학생자치회 정부회장 선거 || || '''6월 28일[br]~7월 4일''' || 1학기 2차 지필평가 || || '''7월 21일''' || 방학식 ||}}}}}}}}}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2학기 일정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8월 16일''' || 2학기 개학식 || || '''8월 23~25일''' || 수련회, 수학여행 || || '''10월 16일[br]~10월 19일''' || 2학기 1차 지필평가 || || '''11월 24일''' || 미리크리스마스 || || '''11월 16일''' || 3학년 대학수학능력시험 || || '''11월 20일[br]~11월 27일''' || 3학년 2학기 2차 지필평가 || || '''12월 7일[br]~12월 13일''' || 1,2학년 2학기 2차 지필평가 || || '''12월 29일''' || 기독합창제 || || '''12월 29일''' || 방학식 || || '''2023년[br]2월 2일''' || 개학식 || || '''2023년[br]2월 7일''' || 졸업식 및 종업식 || }}}}}}}}} || || {{{-2 [[https://hanam-h.goegh.kr/hanam-h/na/ntt/selectNttInfo.do?mi=7405&bbsId=4206&nttSn=1008790|하남고 홈페이지 학사일정]] 참조}}}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기도]] [[하남시]] [[망월동]]에 위치한 [[일반계 고등학교]]. 초대 이사장 송정윤이 1963년에 재단법인 가나안 기독학원을 인가했으며, 1970년에 정윤학교라는 이름으로 개교했다. 2020년, 개교 50주년을 맞이했다. == 연혁 == ||
'''날짜''' || '''연혁''' || || [[1963년|{{{#white 1963년}}}]] [[3월 20일|{{{#white 3월 22일}}}]] ||재단법인 가나안 기독학원 인가. 송정윤 초대 이사장 취임|| || [[1970년|{{{#white 1970년}}}]] [[3월 18일|{{{#white 3월 18일}}}]] ||정윤학교 개교 및 제1회 입학식|| || [[1993년|{{{#white 1993년}}}]] [[3월 2일|{{{#white 3월 2일}}}]] ||교명 변경 "하남고등학교"|| || [[2004년|{{{#white 2004년}}}]] [[11월 1일|{{{#white 11월 1일}}}]] ||학칙변경 30학급 인가|| || [[2015년|{{{#white 2015년}}}]] [[7월 3일|{{{#white 7월 3일}}}]] ||제5대 이사장 박세원 취임|| || [[2020년|{{{#white 2020년}}}]] [[1월 8일|{{{#white 1월 8일}}}]] ||제45회 졸업식, 정진보 교장 퇴임|| || [[2020년|{{{#white 2020년}}}]] [[3월 20일|{{{#white 3월 20일}}}]] || {{{#f55 하남고등학교 개교 50주년}}} || || [[2022년|{{{#white 2022년}}}]] [[2월 11일|{{{#white 2월 11일}}}]] ||제47회 졸업식, 김광욱 교장 퇴임|| || [[2022년|{{{#white 2022년}}}]] [[3월 2일|{{{#white 3월 2일}}}]] ||제50회 입학식, 한용섭 교장 취임|| || [[2023년|{{{#white 2023년}}}]] [[8월 18일|{{{#white 8월 18일}}}]] ||한용섭 교장 퇴임, 조태봉 교장 취임|| == 교육목표 == ||
<-7><:>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5deg, #003764 20%, transparent 20%, transparent 90%, #E4032E 90%)" [[하남고|[[파일:W08BySS.jpg|width=45]]]]'''[br] {{{+1 {{{#575757,#DDD 하남고등학교 역점사업 }}}}}}'''}}}|| ||<-7><^|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left" ---- * 인성교육을 통한 행복한 학교 * 학생자치 중심의 세계민주시민 교육 * 수업과 평가의 혁신을 이루는 교원전문적 학습 * 학생의 다양한 진로를 반영한 학생선택 교육과정 * 창의, 협력, 능동적 인재 양성을 위한 맞춤형 교육의 활성화 ---- }}}}}} }}} || ||
<-7><:>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5deg, #003764 20%, transparent 20%, transparent 90%, #E4032E 90%)" [[하남고|[[파일:W08BySS.jpg|width=45]]]]'''[br] {{{+1 {{{#575757,#DDD 하남고등학교 교육목표 }}}}}}'''}}}|| ||<-7><^|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left" ---- * 참되고 실력있는 경천애인 인재육성 * 기본과 실력을 갖춘 창의적인 인재육성 * 꿈을 찾아 자신의 진로를 개척하는 인재육성 * 나눔과 배려로 타인을 존중하는 인재 육성 ---- }}}}}} }}} || ||
<-7><:>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5deg, #003764 20%, transparent 20%, transparent 90%, #E4032E 90%)" [[하남고|[[파일:W08BySS.jpg|width=45]]]]'''[br] {{{+1 {{{#575757,#DDD 하남고등학교 교수운영방침 }}}}}}'''}}}|| ||<-7><^|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left" ---- * 기독교 신앙에 바탕을 둔 사랑과 봉사를 실천하는 하남인 * 창의적인 사고와 실력, 탐구능력을 갖춘 하남인 * 이웃을 사랑하고 남을 배려하는 솔선수범의 하남인 * 문화적 소양과 통합적 사고력을 지닌 교양있는 하남인 * 질문과 토론이 살아있는 수업을 전개하는 하남인 ---- }}}}}} }}} || == 교육환경 == 과거에는 시골인 하남에서도 가장 사람이 없기로 유명한 동네였다. 미사강변도시가 개발되면서 천지개벽 수준으로 주변 건물들이 생겨날 즈음, 학교 일부 면적[* 당시 상당한 금액이었다고 한다.]을 판 돈과 지원금을 받아 지금의 신관을 짓게 된다. 동문들이 몰라볼 정도로 바뀌었다고 한다. == 교육 과정[* 2021년 1학년 기준이다. 입학연도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 있다.] == || [[하남고|[[파일:W08BySS.jpg|height=30]]]] || || {{{#ffffff '''국어과 교육과정'''}}} || ||<^|1> {{{#!wiki style="margin:0 -10px -5px" {{{#black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D1D1D,#e2e2e2 || {{{#ffffff '''1학년 1학기'''}}} || {{{#ffffff '''1학년 2학기'''}}} || {{{#ffffff '''2학년 1학기'''}}} || {{{#ffffff '''2학년 2학기'''}}} || {{{#ffffff '''3학년 1학기'''}}} || {{{#ffffff '''3학년 2학기'''}}} || || 국어 || 국어 || 문학 || 독서 || 화법과 작문/언어와 매체 [택1] [br] 심화 국어/고전 읽기 [택1] || 화법과 작문/언어와 매체 [택1] [br] 심화 국어/고전 읽기 [택1] || ||<-2> 학기당 4시간 ||<-2> 학기당 4시간 ||<-2> 학기당 각각 3시간 || }}}}}}}}}}}}}}} || || [[하남고|[[파일:W08BySS.jpg|height=30]]]] || || {{{#ffffff '''수학과 교육과정'''}}} || ||<^|1> {{{#!wiki style="margin:0 -10px -5px" {{{#black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D1D1D,#e2e2e2 || {{{#ffffff '''1학년[br] 1학기'''}}} || {{{#ffffff '''1학년[br] 2학기'''}}} || {{{#ffffff '''2학년 1학기'''}}} || {{{#ffffff '''2학년 2학기'''}}} || {{{#ffffff '''3학년 1학기'''}}} || {{{#ffffff '''3학년 2학기'''}}} || || 수학 || 수학 || 수학Ⅰ[br] 기하/확률과 통계 [택1]|| 수학 II [br] 기하/확률과 통계 [택1] || 미적분/경제 수학 [택1] [br] 수학과제 탐구/고급 수학Ⅰ [택1] || 미적분/경제 수학 [택1] [br] 수학과제 탐구/고급 수학Ⅰ [택1] || ||<-2> 학기당 4시간 ||<-2> 학기당 4시간 // 2시간 ||<-2> 학기당 각각 2시간 || }}}}}}}}}}}}}}} || || [[하남고|[[파일:W08BySS.jpg|height=30]]]] || || {{{#ffffff '''영어과 교육과정'''}}} || ||<^|1> {{{#!wiki style="margin:0 -10px -5px" {{{#black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D1D1D,#e2e2e2 || {{{#ffffff '''1학년 1학기'''}}} || {{{#ffffff '''1학년 2학기'''}}} || {{{#ffffff '''2학년 1학기'''}}} || {{{#ffffff '''2학년 2학기'''}}} || {{{#ffffff '''3학년 1학기'''}}} || {{{#ffffff '''3학년 2학기'''}}} || || 영어 || 영어 || 영어Ⅰ || 영어Ⅱ || 영어 독해와 작문 // [br] 영어권 문화/영미 문학 읽기 [택1] || 심화 영어 독해Ⅰ// [br] 영어권 문화/영미 문학 읽기 [택1] || ||<-2> 학기당 4시간 ||<-2> 학기당 4시간 ||<-2> 학기당 4시간 // 2시간 || }}}}}}}}}}}}}}} || || [[하남고|[[파일:W08BySS.jpg|height=30]]]] || || {{{#ffffff '''사회과, 과학과 교육과정'''}}} || ||<^|1> {{{#!wiki style="margin:0 -10px -5px" {{{#black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D1D1D,#e2e2e2 || {{{#ffffff '''1학년 1학기'''}}} || {{{#ffffff '''1학년 2학기'''}}} || {{{#ffffff '''2학년 1학기'''}}} || {{{#ffffff '''2학년 2학기'''}}} || {{{#ffffff '''3학년 1학기'''}}} || {{{#ffffff '''3학년 2학기'''}}} || ||<-2> 한국사 / 통합사회 / 통합과학 / 과학탐구실험 ||<-2> 한국지리/윤리와 사상/정치와 법/경제/세계사[br]물리학Ⅰ/화학Ⅰ/생명과학Ⅰ/지구과학Ⅰ[택3] ||<-2> 세계지리/생활과 윤리/사회·문화/동아시아사 [br]물리학Ⅱ/화학Ⅱ/생명과학Ⅱ/지구과학Ⅱ[택2] //[br] 여행지리/고전과 윤리/과학사/생활과 과학 [택1[* 졸업요건 때문에 2학년 때 사탐3개를 선택한 학생은 반드시 과학사나 생활과 과학을 들어야 졸업이 가능하다. 이과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여행지리나 고전과 윤리를 들어야 한다.]] || ||<-2> 학기당 3시간 / 3시간 / 3시간 / 1시간 ||<-2> 학기당 각각 3시간 ||<-2> 학기당 각각 3시간 // 2시간 || }}}}}}}}}}}}}}} || || [[하남고|[[파일:W08BySS.jpg|height=30]]]] || || {{{#ffffff '''예술 체육 교양 교육과정'''}}} || ||<^|1> {{{#!wiki style="margin:0 -10px -5px" {{{#black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D1D1D,#e2e2e2 || {{{#ffffff '''1학년 1학기'''}}} || {{{#ffffff '''1학년 2학기'''}}} || {{{#ffffff '''2학년 1학기'''}}} || {{{#ffffff '''2학년 2학기'''}}} || {{{#ffffff '''3학년 1학기'''}}} || {{{#ffffff '''3학년 2학기'''}}} || || 체육 // 음악[* 1~5반은 음악이 1학기이고 미술이 2학기이다. 6~10반은 그반대이다] // [br] 기술가정[* 1~5반은 기술가정이 1학기이고 정보이 2학기이다. 6~10반은 그반대이다] || 체육 // 미술 // [br] 정보 ||<-2> 운동과 건강 // 중국어Ⅰ/일본어Ⅰ [택1] // [br] 음악 감상과 비평/미술 감상과 비평 [택1] // [br] 종교학/철학 [택1] ||<-2> 스포츠 생활 // 한문 // [br] 중국어 회화Ⅰ/일본어 회화Ⅰ[택1] || ||<-2> 학기당 2시간 // 3시간 // 3시간 ||<-2> 학기당 2시간 // 2시간 // 2시간 // 1시간 ||<-2> 학기당 1시간 // 3시간 // 1시간 || }}}}}}}}}}}}}}} || == 학교 특징 == === 교육 === [youtube(-u80QkdhwZU, width=800, height=500)] * 하남지역 최초로 [[도전 골든벨]] 하남고등학교 편을 방송한다. 그리고 골든벨을 울려 9월 8일 하남고등학교 편에서 제 128대 골든벨이 탄생하였다. 하남고는 광복70주년 역사통일골든벨 [* 110대 전진웅 학생], 하남고등학교 편 {{{#f55 두번의 골든벨을 배출하는 쾌거를 달성했다.}}} * 2013년부터 우열반이 폐지되고 학생들의 진학률에 관해 관심이 많아졌는데, 별다른 문제없이 높은 진학률을 선보였다. 특히 공부하는 애들이 안하게 될 것이라는 편견을 깨고, 오히려 안 하던 애들이 공부를 잘하게 되었다. * 2019년부터 교육청의 승인을 받아 [[영재교육|영재학급]]을 운영하고 있다. 인문사회와 수과학이며, 1,2학년을 합쳐 각각 20명을 선발한다.[* 골든벨 만점자도 영재학급 출신이다.] * 특별히 사교육을 받지 않아도 정규 수업시간 이후 교사들이 보충학습, 야간 자율학습 등을 지도한다. 특히 보충학습에는 일반 교과목이 아닌 입시 논술을 가르치는 등, 수시에 대한 보충학습도 한다. * 전반적으로 문학캠프, 인문학 프로그램 등 다양한 활동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위와 같은 노력의 일환으로 에듀 콘서트라는 일종의 교육봉사를 기획하여 부스활동을 2019년부터 하고 있다. * 금융감독원이 주관하는 금융공모전에 매년 참여하여, 꾸준한 성과를 보여왔다, 2019년에는 최우수학교로 선정되어 {{{#f55 교육부장관 표창을 받기도 했다.}}} * {{{#f55 유네스코 학교로 선정됐다.}}} 이에 따라 유네스코 위크 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 === 학교생활 === * 하남시의 유일한 사립 고등학교이자 기독교 미션스쿨. 이로인해 아침마다 조회 대신 '''"경건회"'''라는 아침 묵상과, 일주일에 한시간 예배를 드린다. 교칙 상 종교의 자유를 주장할 수 있으나 여태까지 그런 사례는 없다. * 종교 관련 활동이 꽤 존재한다. 기독합창제. 반별특송, 성품에세이 등. * 사립학교의 특징으로, 교직원이 다른 곳으로 발령나지는 않는다. 그래서 20년, 30년동안 교직원으로 일해온 교사들도 있다. 10년동안 근무할 경우 근속기념 금반지를 받는다고 한다. * 금요일마다 강당(교회)에서 꽤 많은 문화활동을 진행한다. 공연이나 금융 교육 등. * 휴대폰을 걷는 반과 걷지 않는 반이 있다.[* 규정은 다음과 같다 제23조【전자기기 관리】 교내에서는 다음 각 항과 같은 사항을 준수해야 한다. ① 학교에서 휴대폰 소지는 각 학급별로 학년 초에 학급회의를 열어, 일괄수거 혹은 개인자율보관을 한다. 개인자율보관의 경우에 개인별 휴대폰 소지는 허용하되, 수업시간 휴대폰 사용으로 인한 수업 진행 방해 및 타 학생의 학습권 침해예방을 위해 수업시간에 휴대폰이나, 전자기기 등의 사용을 금한다. 이를 위해 수업 시간에는 개인 사물함에 보관한다.] * 하남지역 내에 유일하게 학교 가디건이 존재한다. * 1학년때에는 수련회를 가고(양평 미리내), 2학년 때에는 제주도로 수학여행을 간다. 2학기가 개학하자마자 1,2학년이 동시에 떠나는 것이 특징이다. * 페이스북 학교 계정이 있지만, 학교 분위기 상 학교실적을 홍보할 때는 제외하고는 그리 활발한 편은 아니다 * 정윤제라는 학교 축제가 있지만, 다른 학교에 비해 그리 규모가 크지 않다 === 알아두면 유용한 학칙 === ==== 13조 (교복) ==== >① 교복은 학교장이 정한 착용 기준, 착용 기간에 따라 착용해야 한다 >② 교복의 색상, 디자인, 섬유 혼용율 등은 <표1>과 <표2>의 교복 사양서에 정한 것과 반드시 동일해야 한다. 또한, 남녀별 교복 착용 기준은 <표3>의 교복 착용 기준표와 같다. >③ 교복은 본교 학생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본교에서 규정한 성별, 계절별로 구분된 교복(동복, 춘추복, 하복), 생활복(추동 생활복 포함), 셔츠, 넥타이, 조끼 등을 착용하여야 하며, 변형된 교복, 바지, 셔츠 및 유사 교복의 착용을 금하며, 사복과 혼합하여 입거나 사복만 입는 것도 불허한다. >④ 교복(동복·춘추복·하복·생활복 등)의 착용과 혼용 착용 시기는 다음 각 호와 같이 정하고 공지하되, 학생 개인이 계절별 특성에 맞추어 자율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동복 시기에 하복 반바지 착용은 금한다. 1. 동 복 : 11월 1일~3월 31일 2. 하 복 : 5월 1일~8월 31일 3. 춘추복 : 4월 1일~4월 30일, 9월 1일~10월 31일 >⑤ 동복 상의(혹은 학교 후드티)의 바깥에 패딩이나 코트류의 방한 의류를 입을 수 있다. 다만, 학생의 신분에 어울리지 않는 과도한 가격의 의류는 지양한다. >⑥ {{{#f55 방한용 덧옷, 조끼 등의 착용 여부 및 색상·형태 등에 대해서는 학생 개인이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일과 시간 중에 하절기 교복과 생활복의 안에 긴팔티셔츠(래시가드 등 포함) 착용과 하절기 교복과 생활복에 토시착용은 금한다. 만약 긴팔을 입고 싶으면, 추동 생활복으로 대체할 수 있다.}}} >⑦ 여학생의 경우 교복 치마와 바지의 구매나 착용여부를 개인이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⑧ 남학생은 제13조 2항에 규정된 남학생 교복을, 여학생은 제13조 2항에 규정된 여학생 교복을 착용한다. >⑨ 넥타이는 동복이나 춘추복을 입고 등교시, 하교시, 학교 주요행사(예를 들어 전체조회, 예배, 입학식, 졸업식 등) 시에는 반드시 착용하며, 평상시에는 자율적으로 한다. >⑩ {{{#f55 등교 후부터 하교 전까지 학교 일과 시간에 학교 체육복(일반 체육복 금지)으로 환복을 허용하나, 학교 주요행사(전체조회, 예배 등) 시에는 교복으로 환복해야 한다.}}} >⑪ {{{#f55 혹한기에 기상청의 한파주의 발령 시 (혹은 그에 상응한다고 학교장이 판단하는 경우) 학교장 재량으로 자율복 착용을 허용할 수 있다.}}} >⑫ {{{#f55 등교와 하교 시에는 교복을 입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자전거 등교와 하교 시에는 체육복 바지는 허용한다.}}} >⑬ 슬리퍼와 실내화(구멍 뚫린 크룩스 형태 포함)는 교내 착용은 가능하나, 강당 입실 및 등하교시, 체육활동 시 금지한다. >⑭ 복장 착용에 있어서 개인적으로 특별한 사유가 있는 학생은 학부모님과 담임교사가 상담 후, 담임교사에게 ‘특별 복장 착용 허가 확인서’(양식 따로 없음)를 발급받은 경우에 이를 허용할 수 있다. 단, 확인서는 항시 지참해야 한다. ==== 14조 (두발) ==== >① {{{#f55 학생의 두발 길이는 제한하지 않으나, 학생 스스로 단정하고 깨끗하게 관리한다.}}} >② {{{#f55 파마(permanent, 고대기 포함)나 염색 및 헤어스타일 중 일명 ‘스크래치’는 모두 금한다.}}} >③ 선천적으로 머리카락이 흰색, 갈색 등 검은색이 아니거나 곱슬인 학생에 한하여 학부모님과 담임교사가 상담 후 담임교사에게 ‘두발 관련 허가 확인서’(양식 따로 없음)를 발급받은 경우에 이를 허용할 수 있다. 확인서는 항시 지참해야 한다. ==== 15조 (화장) ==== >① {{{#f55 학생은 자신의 용모를 단정하게 하고, 건강한 생활을 위해 가벼운 피부 화장(선블록, 비비크림, 입술보호용 틴트 및 립스틱 등)을 하거나, 목걸이나 반지 등의 가벼운 액세서리 등을 착용할 수 있다. 그러나 귀걸이(귀찌, 투명 귀걸이 포함), 피어싱, 문신, 헤나 등과 같이 신체변형을 하는 부분은 금지한다. }}} >② 색조 화장(예를 들어 아이라이너, 아이새도우, 볼터치, 블러셔, 펄(글리터), 마스카라, 컨투어링, 매니큐어 등) 및 타학생에게 위화감을 줄 수 있는 고가(일명 명품 브랜드물품)의 액세서리, 신발, 가방 등의 착용은 금지한다 ==== 18조 (소지품 검사) ==== >① 학생의 소지품은 교육상 필요한 것에 한하여 허용한다. >② 학생은 음란물(음란미디어, 음란서적 등), 흡연 관련물(담배 라이터, 성냥등), 주류, 향정신성 의약품(본드, 부탄가스, 환각제 등), 흉기류(공구류, 칼등), 화기 및 전열기(헤어 드라이기, 고데기 등), 화장 및 미용도구, 학생 신분에 맞지 않는 사치 성향의 물건을 소지하여서는 안 된다. 단, 부득이한 사유로 사전에 교사의 허락을 받은 경우에는 소지할 수 있다. >③ 학생들의 안전을 위협하거나 교내 질서를 해칠 수 있다고 판단되는 합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 담임교사 혹은 학생자치부 교사에 의한 소지품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④ {{{#f55 소지품 검사는 교육목적상 필요한 경우로 제한하고, 불가피하게 학생의 소지품 검사를 하는 경우 그 검사는 최소한의 정도에 그쳐야 하며,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전체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일괄검사는 지양한다. }}} >⑤ 소지품 검사 시 학생과 학부모는 교사의 전문적·교육적 판단을 존중하여야 하며, 교사는 학생에게 소지품 검사의 이유를 충분히 설명하도록 한다. ==== 23조 (휴대폰) ==== >① {{{#f55 학교에서 휴대폰 소지는 각 학급별로 학년 초에 학급회의를 열어, 일괄수거 혹은 개인자율보관을 한다. 개인자율보관의 경우에 개인별 휴대폰 소지는 허용하되, 수업시간 휴대폰 사용으로 인한 수업 진행 방해 및 타 학생의 학습권 침해예방을 위해 수업시간에 휴대폰이나, 전자기기 등의 사용을 금한다. 이를 위해 수업 시간에는 개인 사물함에 보관한다.}}} === 학교 일과 === [youtube(MXOxM67akq0, width=800, height=500)] <월요일~금요일> * 8:00 등교 * 8:10~8:20 아침 경건회 * 8:20~8:30 교사 전달사항 * 8:30~12:10 오전 수업(1교시~4교시) * 12:10~1:20 점심시간 * 1:20~4:10 오후 수업 * 4:30~6:00 1타임 자율학습, 방과후수업 * 6:00~7:00 석식시간 * 7:00~10:00 2타임 자율학습 === 학교시설 === * 2023년 기준 건물은 1학년동(지하1층~4층+5층 음악실[* 미술실에 비해 매우 시설이 크고, 잘 되있다. 미술실에 비해 최근에 음악실을 지었기 때문이다.] +미술실), 본관(급식실+체육관), 별관(교목실+자율학습공부방), 교회(강당+유치·초등부 식당) 4개이며 2~3학년생들이 본관을 이용하며 1학년동은 1학년이 사용하고 있다. * 1학년동의 가장 큰 문제점이었던 승강기가 20년에 드디어 설치되었다 * 1학년동에서 가장 비판적인 평가를 받은 요소인 화장실이 2022년 1학년동 모든 화장실을 다시 공사해서 개편했다. * 학교의 구역이 하남시의 타 고등학교에 비해 훨씬 넓어서 입학 후 몇달이 지나도록 학교의 운동장이 어딨는지 모르는 경우가 수두룩하다. * 미사강변도시의 개발과 함께 학교 근처에 다양한 시설들이 많다. * 방송부가 없는 것이 특징인데, 그 이유는 대부분의 활동을 강당[* 교회강당을 써서 강당이 매우 크다. 1,2학년이 다 들어가도 남는 정도의 크기] [* 최근에는 아날로그장비를 디지털로 바꾸고 프로젝터를 대형 화면으로 바꿔서 장비도 좋아졌다.]에서 직접 한다 == 출신 인물 == === 정계 === * [[허영(1961)]] - 정치인, 전 [[민생당]] 소속 위원 === 공직 === * [[대한민국 국군/장성급 장교/인사#s-3.16.1| 임영갑]] - 전 육군 소장, 육군본부 정보화기획실장 === 연예계 === * [[김갑수]] - 배우 * [[김재중]] - 가수, 보이그룹 [[동방신기]], [[JYJ]]의 멤버 * [[김준수(JYJ)]] - 가수, 보이그룹 [[동방신기]], [[JYJ]]의 멤버 * [[박유천]] - 가수, 보이그룹 [[동방신기]], [[JYJ]]의 멤버 * [[강민혁(CNBLUE)]] - 가수, 보이그룹 [[CNBLUE]]의 멤버 * [[다나(가수)]] - 가수, 뮤지컬 배우 === 체육계 === * [[김규은 / 감강찬|김규은]] - 전 피겨스케이트 선수 * [[한의혁]] - 축구선수 * [[박성수(1996)|박성수]] - 축구선수 === 문화예술계 === * [[곽시탈]] - 만화가 * [[제이크장]] - 기타리스트 * [[경도현]]- 현 [[스튜디오샤]] 멤버. 활동명은 도도. [[쿠팡플레이]] 제작 [[대학전쟁]]에 출연중.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11> 하남고등학교/미사1동행정복지센터 || [[서울 버스 3413|3413번]] || || [[하남 버스 83|83번]] || || [[하남 버스 87|87번]] || || [[하남 버스 3|3번]] || || [[하남 버스 5|5번]] || || [[하남 버스 50|50번]] || || [[하남 버스 3000|3000번]] || || [[경기광주 버스 9301|9301번]] || || [[하남 버스 9303|9303번]] || || [[하남 버스 9303-1|9303-1번]] || || [[하남 버스 9304|9304번]] || === 철도 === * [[수도권 전철 5호선]] [[미사역]] * [[수도권 전철 5호선]] [[강일역]] == 여담 == * 전학 원서 제출을 온라인으로 받지 않기 때문에 연초마다 원서 제출을 위해 학교 앞에 텐트가 설치되기도 한다. [[https://mobile.newsis.com/view_amp.html?ar_id=NISX20230206_0002182873]] * 지필 평가에 대해 여러 해프닝이 있었다. * 과거 2008년에 학교 내에 골프연습장을 설치했다가 그린벨트 규정을 어겨 뉴스에 나왔던 적이 있었다. [[http://www.ctnews.co.kr/sub_read.html?u_ip=121.133.199.98&uid=7565]] * 2023년 4월 20일 부활절 행사때 나눠준 달걀 일부가 상해있어 학교측에서 다시 환수하는 해프닝이 있었다. 하지만 이미 상한 달걀을 먹은 학생들이 복통을 호소하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