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河南市廳(德豊·新長)驛 / Hanam City Hall(Deokpung·Sinjang) Station}}} ||<-3> {{{+2 '''하남시청'''}}}'''(덕풍·신장)'''{{{+2 '''역'''}}} || ||<-3> [[수도권 전철 5호선|[[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31]]]] || || [[방화역|{{{#!html
방화 방면}}}]][[하남풍산역|하남풍산]][br]← 1.4 ㎞ || [[수도권 전철 5호선|{{{#!html
5호선
(557)
}}}]] || [[하남검단산역|{{{#!html
하남검단산 방면}}}]][[하남검단산역|하남검단산]][br]1.6 ㎞ → || ||<-3>{{{#!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신장초교 사거리, 너비=100%, 높이=100%)]}}}|| ||<-3> '''다국어 표기''' || || [[영어]] ||<-2> Hanam City Hall[br](Deokpung·Sinjang) || || [[한자]] ||<-2> 河南市廳(德豊·新長) || || [[중국어]] ||<-2> 河南市厅(德丰·新长) || || [[일본어]] ||<-2> [ruby(河南市庁, ruby=ハナンシチョン)][br]([ruby(徳豊, ruby=トクプン)] · [ruby(新長, ruby=シンジャン)]) || ||<-3> '''주소''' || ||<-3> [[경기도]] [[하남시]] 하남대로 지하 820 ([[신장동(하남)|신장동]] 510-2 번지) || |||<-3> '''운영 기관''' || || [[수도권 전철 5호선|{{{#ffffff 5호선}}}]] ||<-2> [[서울교통공사|[[파일:서울교통공사_Logo.svg|width=120]]]] || ||<-3> '''개업일''' || || [[수도권 전철 5호선|{{{#ffffff 5호선}}}]] ||<-2><|2> 2021년 3월 27일 || || [[하남선]] || ||<-3> '''노선거리표''' || || [[상일동역|{{{#!html
상일동 방면}}}]][[하남풍산역|하남풍산]][br]← 1.4 ㎞ || '''[[하남선]]'''[br]{{{#black,#ffffff 하남시청[br]}}} || [[하남검단산역|{{{#!html
하남검단산 방면}}}]][[하남검단산역|하남검단산]][br]1.6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수도권 전철 5호선]] 557번, [[경기도]] [[하남시]] 하남대로 지하 820 ([[신장동(하남)|신장동]] 510-2번지)소재. 병기역명은 '''덕풍·신장'''이다. 하남 구시가지에 있는 신장초교사거리 밑에 지어졌으며, [[상대식 승강장]]이다. 역이 [[덕풍동]]과 [[신장동]] 사이에 위치해 있어서 덕풍·신장이 들어가 있다. [[미사역]] ~ [[하남검단산역]] 구간은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지만, [[경기도]]와 [[하남시]] 소유의 구간이기 때문에[* [[서울 지하철 7호선]] [[까치울역]]~[[상동역(도시철도)|상동역]] 구간이 [[부천시]] 소유이고, [[삼산체육관역]]~[[부평구청역]]이 [[인천시]] 소유이지만 서울교통공사에서 운영하는 것과 같은 사례이다.] 이 역에서는 서울 전용 정기권을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서울 전용 정기권을 태그하면 승차가 불가능하고, 하차시 1회 추가 차감된다.] == 역 주변 정보 == 인근에 신장초등학교, 에코타운아파트, 하남문화예술회관, 신장성당, 신장사거리, 덕풍시장, 신장시장 등이 있다. 한편 주역명인 하남시청은 도보로 약 800m 거리에 있다. [[대림역|대림(구로구청)역]]과 [[구로구|구로구청]]의 거리와 비슷하다. 기존 계획 당시 하남시청역을 시청 앞에 두기로 했으나 수요조사 후 [[한국애니메이션고등학교]] 앞에 예정이던 검단산역과 통합되어 현 하남검단산역으로 옮겨졌다. 2020년 11월 기준으로 하남시청역의 일부 출입구의 공사가 지지부진하여 2020년 12월 27일 개통은 힘들 것 같다는 우려가 있었는데, 결국 그 우려는 강일역 지연과 함께 현실이 되어 개통이 2021년 3월 27일로 연기되었다. == 승강장 == ||<-4> [[하남풍산역|하남풍산]] ↑ || || {{{#ffffff 하}}} || ㅣ || ㅣ || {{{#ffffff 상}}} || ||<-4> ↓ [[하남검단산역|하남검단산]] || || {{{#ffffff 상}}} ||<|2>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5호선]] ||[[강동역|강동]]·[[왕십리역|왕십리]]·[[김포공항역|김포공항]]·[[방화역|방화]] 방면|| || {{{#ffffff 하}}} ||[[하남검단산역|하남검단산]] 방면|| == 여담 == === 환승역 === [[교산신도시]] 개발로 [[수도권 전철 3호선]]을 이 역까지 연결하는 계획이 있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서 공사 비용을 모두 부담하기로 결정하면서 예비타당성 조사가 면제되어 빠른 연장 개통이 가능해졌다. 하지만 정부에서 [[3기 신도시]] 공급을 연기하면서, 3호선 환승이 가능하기까지는 꽤 오랜 시간이 필요할 것 같다. 거기에 3호선 연장이 경전철로 대체된다는 소문이 돌고, 국토부에서 트램이라는 카드까지 꺼내들었으나 감일지구 입주민들과 하남시민들의 반발로 3호선 원안이 고수될 것으로 보인다. 예비타당성 조사는 면제되었지만, 공기업예비타당성조사는 피할 수 없어 현재 B/C 0.58을 0.7 이상으로 높이는 것이 큰 관건으로 남아있다. 한편 일부 언론에서 하남시가 3호선 환승역을 하남시청역이 아닌 하남검단산역으로 변경요청하였다는 이야기도 나왔으나 오보로 밝혀졌으며, 하남시 도시개발과장의 반박에 의하면 이미 환승역에 관해서는 변경계획 없이 확정되어 있는 사항이라고 한다. GTX D 노선 하남 종착역으로 3.5호선 환승 계획 추진 중인 하남시청 역이 유력하다는 하남시청 홈페이지 시민소통 답변이 있었다.<2020.09.17> [[분류:2021년 개업 예정인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건설 중인 철도역]][[분류:수도권 전철 5호선]][[분류:미개통역]][[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하남선]][[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