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신교]] [[찬송가]]. 통일찬송가 545장, 21세기 찬송가 493장이며 스코틀랜드 가곡 [[Annie Laurie|애니 로리]]의 곡조를 사용하고 있다. 가사는 다음과 같다. ||1절: 하늘 가는 밝은 길이 내 앞에 있으니 슬픈 일을 많이 보고 늘 고생하여도 하늘 영광 밝음이 어둔 그늘 헤치니 예수 공로 의지하여 항상 빛을 보도다 2절: 내가 염려하는 일이 세상에 많은 중 속에 근심 밖에 걱정 늘 시험하여도 예수 보배로운 피 모든 것을 이기니 예수 공로 의지하여 항상 이기리로다. 3절: 내가 천성 바라보고 가까이 왔으니 아버지의 영광집에 나 쉬고 싶도다 나는 부족하여도 영접하실 터이니 영광 나라 계신 임금 우리 구주 예수라.|| 통일찬송가에서는 작사자가 구한말 한국에서 활동한 미국 선교사 스왈른(Swallen, 한국 이름은 소안련)으로 실려 있었지만, 사실 이 곡은 19세기 미국의 잘 알려지지 않은 찬송 작사가 로지어(Lozier)의 작품이다.[* 스왈른이 한국어로 번안했기 때문에 와전된 것으로 추정된다.] 21세기 찬송가에서는 로지어가 지은 것으로 맞게 수정되었다. 개화기 때부터 지금까지 가사가 전혀 바뀌지 않은 채 찬송가집에서 빠지지 않고 불리는 찬송가. 1960년대에 예장합동 총회에서 원곡이 러브 송이라 하여 빼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곡 자체가 하도 널리 불려서 다시 수록되어 지금까지 불리고 있다. 이 찬송가는 예배 시간에는 잘 불리지 않고, 의외로 장례식장에서 널리 불린다. 카테고리는 '미래와 소망' 카테고리에 들어 있음에도 마치 '장례' 카테고리에 들어있는 것처럼 장례식용 찬송가 취급이다.[* 미래와 소망(새찬송가 479-494)에 속하는 현재 찬송가 479장과 480장도 원래는 '장례' 카테고리에 있었다.(통일찬송가 290, 293으로, 그 때는 '장례' 카테고리가 289-295장이었다.)] 정작 고인에 대한 추모나 부활에 대한 희망은 나타나 있지 않은데도, 장례식용 찬송가 취급을 받고 있다. 신앙 생활 오래 한 교인들조차도 예배 시간엔 한 번도 못 불러 봤다고 할 정도. 이는 원곡인 애니 로리의 멜로디 자체가 상당히 구슬픈 느낌인 이유도 한몫 한다. 다만 교단 성향에 따라서 일부 군소교회에서는 일반적인 예배때도 간혹 부를 때가 있긴 하다. 게다가 [[http://blog.naver.com/biblemission?Redirect=Log&logNo=130180059762|과거에는 생각보다 꽤 대중적으로 많이 불렸던 듯 하다.]] 그러다 밝은 느낌의 찬송가와 CCM 등이 대세가 되면서 지금과 같은 이미지가 정착한 듯 하다. 그래도 대놓고 장례식 전용(...)인 [[요단강|해보다 더 밝은 천국]]보다는 대접이 좀 나은 셈. [[손양원]]목사의 아들인 손동인이 [[여순 사건]]당시 죽기전에 부른 찬양이다 [[분류:찬송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