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F60> '''{{{#FFF {{{+1 하늘다람쥐속}}}(구세계하늘다람쥐)[br]Old world flying squirrel}}}''' || ||<-2> [[파일:external/deskbg.com/12-424304.jpg|width=100%]] || ||<#F93> '''학명''' || ''' ''Pteromys'' '''[br]Cuvier, 1800[* 속명인 Pteromys는 라틴어로 날개 달린(Ptero) [[쥐]](Mys)를 의미한다.] || ||<-2><#F96>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포유류|포유강]]^^Mammali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설치류|설치목]]^^Rodentia^^||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다람쥐과^^Sciuridae^^||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하늘다람쥐속^^''Pteromys''^^'''|| ||<-2><#f96>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 ||<-2><#fff> * [[대륙하늘다람쥐]](''P. volans'') * [[일본산하늘다람쥐]](''P. momonga'') || ||<:><#ffffff> [[파일:russian_flyingsquirrel 1.jpg |width=100%]]||<:><#ffffff> [[파일:japanese_dwarf_flyingsquirrel 0b.jpg |width=100%]]|| || '''[[대륙하늘다람쥐]]'''[br]''Pteromys volans'' || '''[[일본산하늘다람쥐]]'''[br]''Pteromys momonga'' || [목차] [clearfix] == 개요 == 총 15속으로 구성된 날다람쥐족(Pteromyini) 중 하나이며, 주 서식지가 [[한반도]]를 포함한 [[유라시아]] [[대륙]]과 [[일본]] [[열도]]이기 때문에 구세계하늘다람쥐(Old world flying squirrel)으로 불려지기도 한다.[* 북중미의 미국하늘다람쥐속(''Glaucomys'')이 신세계하늘다람쥐(New world flying squirrel) 이명을 가지고 있다.] [[아시아]]에는 다양한 날다람쥐족 동물들이 분포하고 있는 반면, [[유럽]]에서는 [[대륙하늘다람쥐]] 1종만이 발견되었다. == 특징 == 앞다리와 뒷다리 사이에 익막이라는 신축성 높은 피부조직을 가지고 있어 고저차를 이용한 [[글라이더|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능한 한 [[나무]] 위에서만 생활하는 수상성 동물이며, 여타 소형 [[설치류]]처럼 나무열매, 나무껍질, 과일, 씨앗 등을 비롯한 각종 [[식물]] 등을 주된 먹이로 삼는다. == 종류 == 대표적인 종은 2개에 불과하나 생김새 및 특정 [[유전자]]의 차이에 따른 [[아종]]들이 존재한다. === 대륙하늘다람쥐 === * [[대륙하늘다람쥐]](''Pteromys volans'') - [[유라시아]] 대륙 일대의 원종, 개체수 비율이 가장 높다. * [[하늘다람쥐]](''Pteromys volans aluco'') - 대륙하늘다람쥐 아종, [[한반도]] 일대 서식이 확인되었다. * [[북방하늘다람쥐]](''Pteromys volans orii'') - 대륙하늘다람쥐 아종, [[일본]] [[홋카이도]] 전역 서식이 확인되었다. === 일본산하늘다람쥐 === * [[일본산하늘다람쥐]](''Pteromys momonga'') - 일본 [[혼슈]]의 원종, 세부적인 차이로 인해 별도 분류되었다. == 기타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Glaucomys_volans_Birdfeeder.jpg|width=500]] 제한적인 서식지 환경과 방생 개체로 인한 잡종 발생의 원천 차단과 2급 멸종위기동물이자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천연기념물]] 제328호인 하늘다람쥐의 보호를 위해 [[애완동물]]로 키우는 것은 불가능하다. 다른 [[속]]인 미국하늘다람쥐속 중 미국남부하늘다람쥐(Glaucomys volans)는 비교적 커다란 [[귀]]와 갈색 위주의 체모 정도를 제외하면 하늘다람쥐와 닮았기 때문에 혼동되는 경우가 잦다. 하지만 [[종]]은 물론 아예 [[속]]부터 다른 걸 보면 짐작할 수 있듯이 교잡이 불가능하여 원칙적으로 사육교배 된 개체에 한하여 수입이 가능했다. 그러나 국내 한 업체의 여론 몰이로 미국 하늘다람쥐(''Glaucomys volans'')가 오래 전 부터 한국에 합법적으로 수입되고 있다며 분양 광고 되어왔지만, 이는 사실이 아닌 걸로 보인다. 이는 [[https://www.nationalgeographic.com/animals/article/florida-flying-squirrels-smuggled-abroad-exotic-pets|2020년 네셔널지오그래픽 공식 웹사이트에서 기사]]로 내보냈을 정도로 큰 이슈가 되었던 부분. 당시 [[https://higoodday.com//news/879111|한국어로 된 기사]]도 있었다. 그리고 2022년 최근 환경일보에서도 또 다른 관련 기사가 나왔으니 궁금하다면 [[https://www.hkb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78910|환경 일보 기사]] 참고. '''기사 내용이 사실이라면 국내 유통 되고 있는 대부분의 애완용 하늘다람쥐는 야생동물이기 때문에 코로나 바이러스와 같은 질병을 퍼뜨릴 수 있어 매우 위험하니 아이가 있는 가정에서는 특별히 입양을 주의하는 것이 좋다.''' [[분류:하늘다람쥐속]]